경주이씨 인물 과거/월성군파◆인물

월성군 6세손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용재공 16세손 이제민 2018. 12. 10. 12:19

월성군 6세손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③대사헌공(大司憲公) 승직(繩直) → 5世孫 ⑤금호공(琴湖公) 시민(時敏) → 6世孫 ②용재공(慵齋公) 종준(宗準)

 


○1454년(단종端宗 2, 갑술甲戌) 추정∼1499(연산군燕山君 5, 기미己未). 字는 중균(仲均)이요, 號는 용재(慵齋). ○성종(成宗) 정유(丁酉)에 진사(進士)하고 성종(成宗) 을사(乙巳)에 문과갑과(文科甲科) 이등(二等)으로 급제. 교리검상(敎理檢詳)에서 사인(舍人)으로 특진(特進)하고 어세겸추록(魚世謙推麓)으로 호당(湖堂)에 올라 사가독서(賜暇讀書)의 후은(厚恩)을 입고 수선(修選)에 올라 서장관(書狀官)으로 중국(中國) 북경(北京)에 가서 시(詩)와 서화(書畫)로 화도(華都) 진경(震驚)케 하니 후(後)에 우리나라에 오는 중국사신(中國使臣)은 선생(先生)의 시(詩)를 암송(暗誦)하며 극찬(克讚). ○외직(外職)으로 의성현령시(義城縣令時)에 국옥(鞠獄)의 명단(明斷)과 교관(校官)이 건이며 경상도지도(慶尙道地圖) 제작 또는 향자제(鄕子第)를 가르치는 등(等)의 선정(善政)을 있지 못하는 백성들이 불망비(不忘碑)를 세우고 칭송(稱頌)하였다. ○일찍이 점필재(佔畢齋) 김선생(金先生) 문하(門下)에 들어가 김한훤(金寒暄), 정일두(鄭一蠹), 김탁영(金濯纓), 권수헌(權垂軒), 박우졸(朴迂拙), 재제현(齋題賢)과 도의로 사귀다가 연산(燕山) 무오(戊午)에 구현(九賢)의 수현(首賢)으로 화(禍)를 입어 국살(鞫殺)당하였다. 중종(中宗) 병인(丙寅)에 소설복관(昭雪復官)하고 숙종조(肅宗朝)에 증홍문관부제학(贈弘文館副提學)에 은전이 내리고 경광서원(鏡光書院), 백록리사(栢麓理社), 주강정사(周岡精舍)에 입향(入享). ○문집(文集)이 반질 세전(世傳).
○配는 영가권씨(永嘉權氏) 작(綽)의 女. ○墓는 금계(琴溪) 사망동(沙芒洞), 지금의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 상하분(上下墳).
○묘지명(墓誌銘)은 사제(舍第) 홍준(弘準)이 짓고, 묘갈명(墓碣銘)은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이 지었으며 묘표음기(墓表陰記)는 목재(木齋) 홍여하(洪汝河)가 짓고, 가장(家狀)은 임여재(臨汝齋) 유규(柳氵+奎)가 지음. 유허비문(遺墟碑文)은 흥해(興海) 배동환(裵東煥)이 지음.

*출처: 1987년 경주이씨(慶州李氏) 대종보(大宗譜)

 

 

○1454년(추정)∼1499(연산군 5).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중균(仲鈞), 호는 용재(慵齋)·용헌(慵軒)·부휴자(浮休子)·상우당(尙友堂)·태정일민(太庭逸民)·장육거사(藏六居士). 안동 출신. 이만실(李蔓實)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대사헌 이승직(李繩直)이고, 아버지는 이시민(李時敏)이며, 어머니는 현감 권계경(權啓經)의 딸이다. 동생은 이홍준(李弘準)이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다.

○이종준은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에서 태어났다. 5세에 글을 익혀 7세에 글의 뜻을 통했다. 10세 때 아버지에게 “경서는 모두 성현이 전해 준 문자이고 때론 그 제자들이 기록한 것이다. 『주역(周易)』은 문왕(文王), 주공(周公), 공자(孔子) 세 성인이 직접 쓴 책이니 이야말로 진정한 성인의 책이다. 학자(學者)는 『주역』을 가장 중시해야 한다.”라고 말하면서 높이 평가하였다. 13세에 문장을 이루었는데 청수(淸秀)한 풍채에 도량이 쇄락(灑落)하여 신선이 하강한 듯했다고 한다.

○일찍이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에게 사사했는데 김종직이 “중균을 보면 가슴이 시원하게 트인다.”라고 했을 만큼 맑고 빼어난 풍채에 성품이 단아하였다. 김종직 문하에서 한훤당(寒喧堂) 김굉필(金宏弼),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 수헌(睡軒) 권오복(權五福), 우재(迂齋) 박한주(朴漢柱), 추강(秋江) 남효온(南孝溫) 등과 가까이 사귀며 도의로 상호 격려하였다.

○1485년(성종 16) 별시문과에 갑과로 급제하고 초급 관직을 거쳐 1487년 이조좌랑으로 일본 사신 호송관에 차출되었는데 호송관으로 동래에 이르렀을 때 왜사가 선생의 서화를 얻고 보물을 얻었다고 기뻐하였다. 그 뒤 홍문관교리를 지내고 호당에 뽑혀 사가독서하였다. 사간원정언 재임 중 외척이 권세를 잡을 조짐을 간하여 강직하기로 조정에 알려졌다. 1494년 의성군수로 제수되어 부임 초에 교궁(校宮)의 퇴폐함을 보고 녹봉을 털어 이건한 뒤 유망자를 모아 송시습례(誦詩習禮)를 하게 하였다.

○1498년(연산군 4)에 무오사화가 일어나자 김종직의 부관참시와 무오오현(戊午五賢)의 치죄를 반대하고 류자광(柳子光)을 극형토록 상주하였다가 오히려 죄를 받았다. 모진 고문에도 신색이 불변하며 말없이 땅바닥에 크게 ‘일(一)’자를 그어 표현하였다. 태장(笞杖) 80에 부령(富寧) 봉수노우역(烽燧爐于驛)으로 귀양 가던 도중 단천(端川) 마곡역(磨谷驛)에 이르러 송나라 이사중(李師中)이 바른말하다 귀양가는 당개(唐介-송나라 강릉사람)를 송별하면서 지은 시 한 수를 써서 붙였는데 함경도관찰사 이승건(李承健)이 이는 나라를 비방하고 왕을 기롱(譏弄: 헐뜯고 농간함)한 것이라고 조정에 고하였다.
그 시가 연산군을 원망하는 뜻을 품었다 하여 다시 서울로 압송되어 이듬해 장살당하였다. 홍귀달(洪貴達)이 그를 구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이종준은 시와 서화에 능하였으며 의약, 복서(卜筮), 음률에도 조예가 깊었다.

○문집으로는 『용재유고(慵齋遺稿)』가 있고, 의서로는 『산림경제(山林經濟)』등에 인용된 『신선태을자금단방(神仙太乙紫金丹方)』이 있다. 현재 장식화풍으로 그려진 「송학도(松鶴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점이 그의 전칭작품으로 전하고 있다. 공동 작품으로 「경상도지도(慶尙道地圖)」가 있다.

이홍준(李弘準)이 가장(家狀)을, 이현일(李玄逸)이 묘갈명을, 홍여하(洪汝河)가 묘표음기(墓表陰記)를, 배동환(裵東煥)이 유허비명(遺墟碑銘)을 지었다. 1506년(중종 1)에 신원되고 복관되었으며 숙종조에 홍문관부제학에 추증되었다. 경광서원(鏡光書院)과 백록리사(栢鹿里社)에 제향되었다.

*참고문헌: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국조방목(國朝榜目)』 『용재유고(慵齋遺稿)』 『허암유집(虛庵遺集)』 『이평사집(李評事集)』 『점필재집(佔畢齋集)』 『해동잡록(海東雜錄)』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
 

 

 

●[진사] 성종(成宗) 8년(1477) 정유(丁酉) 식년시(式年試) [진사]

 

●[문과] 성종(成宗) 16년(1485) 을사(乙巳) 알성시(謁聖試) 1등(一等) 2[亞元]위(2/16)
*https://yongjaegong.tistory.com/1345

 

生員 李宗準(생원 이종준)

字: 仲鈞(중균), 號: 慵軒(용헌)
本貫: 慶州(경주)

選拔人員: 16명 [一等3‧二等5‧三等8]

丁酉(정유) 司馬(사마)
選湖堂舍人甲子被禍(선호당사인갑자피화) 能文章善書畫(능문장선서화)

父: 生員(생원) 琴湖(금호) 李時敏(이시민)
祖父: 大司憲(대사헌) 李繩直(이승직)
曾祖父: 吏曹判書(이조판서) 李蔓實(이만실)
外祖父: 縣監(현감) 權啓經(권계경)
妻父: 進士(진사) 權綽(권작)
叔父: 主簿(주부) 李勿敏(이물민) 世宗(세종) 甲子(갑자) 旁(방)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 106])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관련 자료 모음 (hwp, pdf파일)
- 문집, 의서, 실록, 기·상량문·비문, 경광서원, 유적·유물 등 수록 -
*https://yongjaegong.tistory.com/231


⊙용눌재양선생유고(慵訥齋兩先生遺稿) (hwp, pdf파일)
-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눌재공(訥齋公) 이홍준(李弘準) -
*https://yongjaegong.tistory.com/95


⊙용재유고(慵齋遺稿)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문집 편집 (pdf파일)
*https://yongjaegong.tistory.com/1360


◈景賢堂記(경현당기) <역문>
-聞韶(문소) 金鴻洛(김홍락) 撰(찬)
https://yongjaegong.tistory.com/1426


◈鴨脚亭記(압각정기) <역문>
-山澤齋(산택재) 權泰時(권태시)
https://yongjaegong.tistory.com/1427


◈敬慕亭記(경모정기) <역문>
-永嘉(영가) 權相圭(권상규) 撰(찬)
https://yongjaegong.tistory.com/19


◈敬義齋記(경의재기) <역문>
-永陽(영양) 李泰龍(이태용)
https://yongjaegong.tistory.com/1424


◈栢麓里社廟宇上樑文(백록리사묘우상량문) <역문>
-눌은(訥隱) 이광정(李光庭)
https://yongjaegong.tistory.com/1422


◈栢麓里社常享祝文(백록리사상향축문)
https://yongjaegong.tistory.com/1423

◈經義齋上樑文(경의재상량문) <역문>
-速咸(속함) 朴世煥(박세환)
https://yongjaegong.tistory.com/1425


◈鏡光書院奉安文(경광서원봉안문) <역문>
-鶴沙(학사) 金應祖(김응조)
https://yongjaegong.tistory.com/1428


◈鏡光書院常享祝文(경광서원상향축문)
-이우당(二愚堂) 권환(權寏)
https://yongjaegong.tistory.com/1508


◈慵齋先生行狀(용재선생행장) <역문>
-豊山(풍산) 柳氵+奎(유규) 撰(찬)
https://yongjaegong.tistory.com/22


◈仲兄莊六堂公家狀(중형장륙당공가장) <역문>
-弟(제) 弘準(홍준)
https://yongjaegong.tistory.com/23


◈先兄藏六堂公墓誌(선형장륙당공묘지) <역문>
-弟(제) 弘準(홍준) 撰(찬)
https://yongjaegong.tistory.com/26


◈慵齋先生李公墓碣銘(용재선생이공묘갈명) <역문>
-葛庵(갈암) 李玄逸(이현일)
https://yongjaegong.tistory.com/24


◈慵齋李公墓石陰記(용재이공묘석음기) <역문>
-木齋 洪汝河(목재 홍여하) 撰(찬)
https://yongjaegong.tistory.com/25


◈慵齋李先生遺墟碑銘(용재이선생유허비명) 병서(幷序) <역문>
-興海(흥해) 裵東煥(배동환)
https://yongjaegong.tistory.com/27


◈慵齋先生墓竪碣告由文(용재선생묘수갈고유문)
-聞韶(문소) 金應煥(김응환) 撰(찬)
https://yongjaegong.tistory.com/1429


◈慵齋李先生遺墟告由文(용재이선생유허고유문)
-永陽(영양) 李龍九(이용구)
https://yongjaegong.tistory.com/28


◈祭先祖慵齋先生琴溪手植杏壇文(제선조용재선생금계수식행단문) [戊寅(무인)]
-晩悟(만오) 李相鉉(이상현) 撰(찬)
https://yongjaegong.tistory.com/1430


◈琴軍威墓碣(금군위묘갈)
-慵齋(용재) 李宗準(이종준)
https://yongjaegong.tistory.com/29



용재공 이종준 가계도(慵齋公 李宗準 家系圖)

大司憲公 文科 慶尙道觀察使 李繩直(대사헌공 문과 경상도관찰사 이승직)
  ||
延安李氏(연안이씨) 都監正郞 贈職戶曹判書 李亮(도감정랑 증직호조판서 이량)의 女
  ||  ├判官公 李不敏(판관공 이불민)
  ||  ├忠愍公 李命敏(충민공 이명민)
  ||  ├文科 主簿公 李勿敏(문과 주부공 이물민)
  ||  ├李靡敏(이미민)
  ||  └女 ═ 縣監 金巖(현감 김암)
  ||
興海裵氏(흥해배씨) 柏竹堂 裵尙志(백죽당 배상지)의 女
       └生員 琴湖公 李時敏(생원 금호공 이시민)
            ||
          安東權氏(안동권씨) 縣監 權啓經(현감 권계경)의 女
               ├忠順衛公 李崇準(충순위공 이숭준)
               ├文科 慵齋公 李宗準(문과 용재공 이종준) ═ 安東權氏(안동권씨) 進士 權綽(진사 권작)의 女
               │ └天有堂公 參奉 李德淵(천유당공 참봉 이덕연) ═ 原州邊氏(원주변씨) 生員 邊廣(생원 변광)의 女
               │      │*生父는 訓導公 李公準(훈도공 이공준)
               │      ├參奉公 李胤恭(참봉공 이윤공)
               │      ├琴厓公 參奉 李胤儉(금애공 참봉공 이윤검)
               │      ├慕先齋公 成均館大司成 李胤讓(모선재공 성균관대사성 이윤양)
               │      ├女 ═ 生員 權景銓(생원 권경전)
               │      └女 ═ 直長 權銘(직장 권명)
               │
               ├進士 訥齋公 李弘準(진사 눌재공 이홍준)
               ├訓導公 李公準(훈도공 이공준)
               ├女 ═ 春川朴氏(춘천박씨) 監司 朴緇(감사 박치)
               ├女 ═ 奉化琴氏(봉화금씨) 軍威縣監 琴啓(군위현감 금계)
               ├女 ═ 安東權氏(안동권씨) 司果 權碩衡(사과 권석형)
               └女 ═ 眞城李氏(眞城李氏) 參判 松齋 李堣(참판 송재 이우)
                          *松齋集(송재집) *父는 李繼陽(이계양)이고 李埴(이식)의 弟, 李滉(이황)은 姪

*참조: 1987년 경주이씨(慶州李氏) 대종보(大宗譜), 용재유고(慵齋遺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