눌재공 이홍준 23

[중종실록] 성균관의 진사 이홍준이 상소하다

중종실록 15권, 중종 7년 4월 17일 신묘 5번째기사 1512년 명 정덕(正德) 7년성균관의 진사 이홍준이 상소하다○成均進士李弘準上疏陳時弊, 命下各該司, 採其可用者。성균관의 진사 이홍준이 상소하여 시폐(時弊)를 말하였는데, 각 해사(該司)에 내려 그 쓸 만한 것을 채택하게 하였다.【태백산사고본】 88책 15권 38장 A면【국편영인본】 14책 569면【분류】 정론-정론(政論) / 행정-중앙행정(中央行政) / 사상-유학(儒學)*http://sillok.history.go.kr/id/kka_10704017_005

[중종실록] 진사 이홍준 등의 진언을 시행하도록 해조에 명하다

중종실록 15권, 중종 7년 4월 17일 辛卯 1번째기사 1512년 명 정덕(正德) 7년진사 이홍준 등의 진언을 시행하도록 해조에 명하다○辛卯/下進士李弘準、生員曺孟謙等陳言于政院曰: "凡陳言, 若不取則已, 如或可取, 便當施行。 況求言之時, 有此陳言乎? 其語該曹。"진사(進士) 이홍준(李弘準)·생원(生員) 조맹겸(曹孟謙) 등의 진언(陳言)을 정원(政院)에 내리면서 이르기를,"무릇 진언을 취하지 않는다면 그만이거니와 취한다면 곧 시행해야 하는데, 하물며 직언(直言)을 구할 때에 이런 진언이 있는 데이겠는가. 이를 해조에 말하라.“하였다.【태백산사고본】 8책 15권 37장 B면【국편영인본】 14책 568면【분류】 정론-정론(政論)*https://sillok.history.go.kr/id/WKA_10704017_001

[강원도민일보][명경대] 선비 묘명과 할매 시

[강원도민일보][명경대] 선비 묘명과 할매 시남궁창성2023. 2. 16. 05:00*https://v.daum.net/v/20230216050041438*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1169440 ‘재주가 없는데 덕도 없으니 사람일 뿐(旣無才 又無德 人而已) 살아서는 벼슬 없고 죽어서는 이름 없으니 혼일 뿐(生無爵 死無名 魂而已) 걱정과 즐거움 다하고 모욕과 칭송도 그치니 남은 것은 흙뿐(憂樂空 毁譽息 土而已)’생몰 연대를 알 수 없는 조선시대 전기 이홍준(李弘準) 선생이 남긴 묘명이다. 스물일곱 자로 전 생애를 기록했다. 중종 실록에서는 중종 7년(1512년) 4월17일 진사(進士) 이홍준이 진언을 했다는 기록이 있다.점필재 김종직의 문인인 이..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행력 및 수록집 (hwp, pdf파일)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행력 및 수록집  [목차]□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행력□[시문집] 용재유고(慵齋遺稿)  *초간본 1824년, 중간본 1901년, 삼간본 1911년 간행□[국역서] 용재눌재양선생유고(慵齋訥齋先生遺稿) *2020년□용재공(慵齋公) 작품□[의서] 신선태을자금단(神仙太乙紫金丹) *1497년 간행□용재공(慵齋公) 수록집□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용재공(慵齋公) 배향서원(配享書院)□가장(家狀), 행장(行狀), 묘갈명(墓碣銘), 서(序), 발문(跋文)□눌재공(訥齋公) 이홍준(李弘準)□부록

訥齋 李弘準이 自身의 兄 李宗準을 爲해 쓴 〈慵齋墓銘〉과 ... 筆寫記 있는 [古今雜著] 1點

訥齋 李弘準이 自身의 兄 李宗準을 爲해 쓴 〈慵齋墓銘〉과 星湖 李瀷의 〈眉叟先生神道碑銘〉、朝鮮 後期의 文臣 趙德鄰의 글 9篇을 正書해 놓은, 筆寫記 있는 [古今雜著] 1點 눌재 이홍준이 자신의 형 이종준을 위해 쓴 〈용재묘명〉과 성호 이익의 〈미수선생신도비명〉、조선 후기의 문신 조덕린의 글 9편을 정서해 놓은, 필사기 있는 [고금잡저] 1점 눌재(訥齋) 이홍준(李弘準) 선생이 자신의 형 이종준(李宗準) 선생을 위해 쓴 〈용재묘명(慵齋墓銘)〉과 성호(星湖) 이익(李瀷) 선생이 찬(撰)한 〈미수선생신도비명(眉叟先生神道碑銘)〉、조선 후기의 문신 조덕린(趙德鄰) 선생의 글 9편을 정서(正書)해놓은, 필사기(筆寫記) 있는 [고금잡저(古今雜著)] 1점이다. 《용재묘명(慵齋墓銘)》은 문집《용재선생유고(慵齋先生遺稿)》..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관련 자료 모음 (hwp, pdf파일)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관련 자료 모음- 문집, 의서, 실록, 기·상량문·비문, 경광서원, 유적·유물 등 수록 -□용재유고(慵齋遺稿)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부]눌재유고([附]訥齋遺稿) -눌재공(訥齋公) 이홍준(李弘準)□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문집(文集)□신선태을자금단(神仙太乙紫金丹)◉神仙太乙紫金丹 -慵齋公 李宗準 醫書◉神仙太乙紫金丹 -조선의 만병통치학◉[고의서산책302] 山林經濟②◉고의서 산책(479) - 「紫金丹方」◉[山林經濟] 神仙太乙紫金丹◉[선본해제15] 태을자금단방(太乙紫金丹方)◉신선태을자금단(神仙太乙紫金丹)의 국어학적 연구□경광서원(鏡光書院), 백록리사(柏麓里社)◉鏡光書院 -慵齋公 配享書院◉鏡光書院 享祀祝文◉[安東의 書院 享祀] 鏡光書院◉柏麓里社靜觀樓上樑文◉[松巖集]..

[용재공 이종준, 눌재공 이홍준] 栢麓里社常享祝文(백록리사상향축문) <역문>

□용재공 이종준(慵齋公 李宗準), 눌재공 이홍준(訥齋公 李弘準)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③대사헌공(大司憲公) 승직(繩直) → 5世孫 ⑤금호공(琴湖公) 시민(時敏) → 6世孫 ②용재공(慵齋公) 종준(宗準), ③눌재공(訥齋公) 홍준(弘準) 栢麓里社常享祝文(백록리사상향축문) 天分之高。筆翰之逸。道消名流。遺芳益烈。 右慵齋先生 位 行著鄕邦。俗變文明。景仰遺風。永世椒馨。 右訥齋先生 位 ⓒ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 1988 *한국문집총간 > 용재유고 > 慵齋先生遺稿 附訥齋遺稿 / 附錄 > 鏡光記事 > 柏麓常享祝文 *http://db.itk..

[용재공 이종준, 눌재공 이홍준] 栢麓里社廟宇上樑文(백록리사묘우상량문) <역문>

□용재공 이종준(慵齋公 李宗準), 눌재공 이홍준(訥齋公 李弘準)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③대사헌공(大司憲公) 승직(繩直) → 5世孫 ⑤금호공(琴湖公) 시민(時敏) → 6世孫 ②용재공(慵齋公) 종준(宗準), ③눌재공(訥齋公) 홍준(弘準) 栢麓里社廟宇上樑文(백록리사묘우상량문) -눌은(訥隱) 이광정(李光庭) 遺風餘韻之猶在。已百年於精禋。天灾世變之不期。奄三遷于靈宇。于侐舃之重搆。庶肹蠁而有依。維文山南。乃士冀北。鄕多俊傑。豈非淑氣攸胎。俗化文明。實賴先民有作。慵齋李先生。佔畢賢弟。戊午名流。遭棼濁而芝焚。未展華國之巨手。並寒蠧而玉暎。猶想講道之餘香。訥齋李先生。從伯吹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