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이씨 인물 과거/월성군파◆인물 45

월성군 7세손 황산도찰방공(黃山道察訪公) 이덕장(李德璋)

월성군 7세손 황산도찰방공(黃山道察訪公) 이덕장(李德璋)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③대사헌공(大司憲公) 승직(繩直) → 5世孫 ⑤금호공(琴湖公) 시민(時敏) → 6世孫 ③눌재공(訥齋公) 홍준(弘準) → 7世孫 황산도찰방공(黃山道察訪公) 덕장(德璋) ○字는 경부(慶溥)이요, 성종임인생(成宗壬寅生). 음보(蔭補)로 황산도찰방(黃山道察訪) 중종갑신졸(中宗甲申卒). ○配는 풍산유씨(豐山柳氏) 진사(進士) 자온(子溫)의 女. 전서(典書) 종혜(從惠)의 后. ○墓는 상동(上同). 간좌합폄(艮坐合窆). 묘갈명(墓碣銘)은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찬(撰)..

월성군 7세손 천유당공(天有堂公) 이덕연(李德淵)

월성군 7세손 천유당공(天有堂公) 이덕연(李德淵)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③대사헌공(大司憲公) 승직(繩直) → 5世孫 ⑤금호공(琴湖公) 시민(時敏) → 6世孫 ②용재공(慵齋公) 종준(宗準) → 7世孫 천유당공(天有堂公) 덕연(德淵) ○생부(生父)는 공준(公準)이요, 字는 성원(聖源). 참봉불사(參奉不仕). ○墓는 순흥건정고대동(順興乾井古臺洞). ○配는 원주변씨(原州邊氏) 생원(生員) 광(廣)의 女. 부사직(副司直) 희(希)의 칠대손(七代孫). 군수(郡守) 영(寧)의 증손(曾孫). 안동(安東) 권철경(權哲經)의 외손(外孫).. *출처: 198..

월성군 7세손 돈녕도정공(敦寧都正公) 이사종(李嗣宗)

월성군 7세손 돈녕도정공(敦寧都正公) 이사종(李嗣宗)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①계천군(鷄川君) 종직(從直) → 5世孫 ①현감공(縣監公) 길상(吉祥) → 6世孫 ③현감공(縣監公) 오(䎸) → 7世孫 돈녕도정공(敦寧都正公) 사종(嗣宗) ○字는 대건(大建) 연산(燕山) 을묘(乙卯, 1495)年 진사(進士). 영안(令按) 국조실록칙(國朝實錄則) 공지입조위관사적(公之立朝位官事蹟)이 소소재록(昭昭載錄)하니 약거기대자칙(若擧其大者則) 안동부사(安東府使), 성주목사(星州牧使), 장단부사(長湍府使), 철원부사등(鐵原府使等) 시직(是職)이 개외력자이재철원시(..

월성군 6세손 훈도공(訓導公) 이공준(李公準)

월성군 6세손 훈도공(訓導公) 이공준(李公準)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③대사헌공(大司憲公) 승직(繩直) → 5世孫 ⑤금호공(琴湖公) 시민(時敏) → 6世孫 ④훈도공(訓導公) 공준(公準) ○1471년(성종 2, 신묘)生. 훈도(訓導). ○配는 진성이씨(眞城李氏). ○墓는 금계(琴溪) 사망동(沙芒洞). 간좌(艮坐) 상하분(上下墳). 유갈(有碣) 문소(聞韶) 김창기(金昌祺) 지음. *출처: 1987년 경주이씨(慶州李氏) 대종보(大宗譜) ◈訓導月城李公墓碣銘(훈도월성이공묘갈명) 幷序(병서) -聞韶(문소) 金昌棋(김창기) 撰(찬) https://yon..

월성군 6세손 눌재공(訥齋公) 이홍준(李弘準)

월성군 6세손 눌재공(訥齋公) 이홍준(李弘準)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③대사헌공(大司憲公) 승직(繩直) → 5世孫 ⑤금호공(琴湖公) 시민(時敏) → 6世孫 ③눌재공(訥齋公) 홍준(弘準) ○1523년(중종 18, 계미)卒. 字는 군식(君式)이요, 號는 눌재(訥齋). 성종(成宗) 무오(戊午)에 진사(進士)를 하고 무오화후(戊午禍後) 세로(世路)에 뜻이 없어 감사(監司)가 이재행(以才行)으로 천(薦)하되 칭질불사(稱疾不仕)하고 상구(甞搆) 외영당(畏影堂) 어내성현(於奈城縣)하고 소요자적(逍遙自適)하니 사재영가지(事載永嘉誌) 향백록리사(享栢麓里社)..

월성군 6세손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월성군 6세손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③대사헌공(大司憲公) 승직(繩直) → 5世孫 ⑤금호공(琴湖公) 시민(時敏) → 6世孫 ②용재공(慵齋公) 종준(宗準) ○1454년(단종端宗 2, 갑술甲戌) 추정∼1499(연산군燕山君 5, 기미己未). 字는 중균(仲均)이요, 號는 용재(慵齋). ○성종(成宗) 정유(丁酉)에 진사(進士)하고 성종(成宗) 을사(乙巳)에 문과갑과(文科甲科) 이등(二等)으로 급제. 교리검상(敎理檢詳)에서 사인(舍人)으로 특진(特進)하고 어세겸추록(魚世謙推麓)으로 호당(湖堂)에 올라 사가독서(賜暇讀書)..

월성군 6세손 충순위공(忠順衛公) 이숭준(李崇準)

월성군 6세손 충순위공(忠順衛公) 이숭준(李崇準)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③대사헌공(大司憲公) 승직(繩直) → 5世孫 ⑤금호공(琴湖公) 시민(時敏) → 6世孫 ①충순위공(忠順衛公) 숭준(崇準) ○字는 흥생(興生)이요, 충순위(忠順衛). 일찍부터 문명(文名)이 높았으나 무오피화후친명(戊午被禍後親命)을 따라 임관(任官)에는 뜻을 끊고 오직 몸을 닦는 학문(學文)에만 힘을 쓰며 임번(林樊)에서 종로(終老)하셨다. ○配는 청주정씨(淸州鄭氏) 사직(司直) 인로(仁老)의 女. ○墓는 안동(安東) 하회(河回) 소지동(小池洞)에 유좌(酉坐) 상하분(上下墳..

월성군 6세손 이건석(李乾石)

월성군 6세손 이건석(李乾石)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③대사헌공(大司憲公) 승직(繩直) → 5世孫 ②충민공(忠愍公) 명민(命敏) → 6世孫 ④건석(乾石) ○일휘(一諱)는 희준(喜準). 선고피화(先考被禍)때 공(公)은 강보 三月이어서 중문(中門) 밖에 살던 난모(亂母)가 숨겨 화(禍)를 면(免)하게하고 적소(謫所)에 계시는 중부(仲父) 미민(靡敏)께서 양훈(養訓)하시고 공유언장(工遺言狀)을 세전(世傳)토록 하셨다. *출처: 1987년 경주이씨(慶州李氏) 대종보(大宗譜) 이건석 가계도(李乾石 家系圖) 大司憲公 文科 慶尙道觀察使 李繩直(대사헌공 ..

월성군 6세손 이맹준(李孟準)

월성군 6세손 이맹준(李孟準)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③대사헌공(大司憲公) 승직(繩直) → 5世孫 ①판관공(判官公) 불민(不敏) → 6世孫 맹준(孟準) ○墓는 영천남면(榮川南面) 신곡유좌(新谷酉坐). *출처: 1987년 경주이씨(慶州李氏) 대종보(大宗譜) 이맹준 가계도(李孟準 家系圖) 大司憲公 文科 慶尙道觀察使 李繩直(대사헌공 문과 경상도관찰사 이승직) || 延安李氏(연안이씨) 都監正郞 贈職戶曹判書 李亮(도감정랑 증직호조판서 이량)의 女 || ├判官公 李不敏(판관공 이불민) || │ || || │全義李氏(전의이씨) 鎭山郡守 李英幹(진산군수 ..

월성군 6세손 모암공(慕巖公) 이치정(李致禎)

월성군 6세손 모암공(慕巖公) 이치정(李致禎)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②판서공(判書公) 양직(良直) → 5世孫 ②추암공(追巖公) 진강(臻剛) → 6世孫 ③모암공(慕巖公) 치정(致禎) ○字는 중사(仲師), 號는 모암(慕巖). 성종(成宗) 정미(丁未, 1487)生. 을사(乙巳) 문과(文科)로 행예조정랑(行禮曹正郎). ○配는 광산김씨(光山金氏) 흠(欽)의 女. ○墓는 당북산(堂北山) 갑좌합폄(甲坐合窆). *출처: 1987년 경주이씨(慶州李氏) 대종보(大宗譜) ◈通訓大夫行禮曹佐郎慕巖公墓碣銘(통훈대부행예조좌랑모암공묘갈명) -文化(문화) 柳寅瑗(유인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