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조문집 431

『용재눌재양선생유고慵齋訥齋兩先生遺稿』 해제 -임근실(林勤實)

『용재눌재양선생유고慵齋訥齋兩先生遺稿』 해제 임근실林勤實 단국대학교 사학과 박사 1. 머리말 사림士林은 조선 전기 정치·사회적 변화의 중심축이었고, 사화士禍는 영남 지역 학자의 삶을 변화시키는 변곡점이었다. 이 책은 조선 전기 영남 출신의 사림으로 정치활동을 하다가 무오사화戊午士禍에 희생된 이종준李宗準(1453∼1499)과 그의 아우 이홍준李弘準(?∼1523)의 문집인『용재눌재양선생유고慵齋訥齋兩先生遺稿』(이하 『용눌재유고』로 약칭)의 국역서이다. 이종준은 가학家學으로 학문의 기반을 닦은 후 김종직의 문하에서 수학한 학자였다. 이종준은 안동安東 금계리金溪里에서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문장에 재능이 있었다. 1485년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 좌랑, 홍문관 교리, 홍문관 부수찬, 사헌부 지평, 사간원 정언을 ..

용재눌재양선생유고 -안동역사인물국역총서11

용재눌재양선생유고 -안동역사인물국역총서11 용재눌재양선생유고(慵齋訥齋兩先生遺稿) 안동역사인물문집국역총서11/한국국학진흥원 저자: 이종준(李宗準)·이홍준(李弘準) 번역: 박미경(朴媄敬) 발행: 2020년 10월 30일 발행처: 한국국학진흥원 저자: 이종준李宗準(1453~1499) 자는 중균(仲勻), 호는 용재(慵齋),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저서로는 『용재눌재양선생유고』(1책)가 있다. 저자: 이홍준李弘準(?∼1523) 자는 군식(君式), 호는 눌재(訥齋),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저서로는 『용재눌재양선생유고』(1책)가 있다. 역자: 박미경(朴媄敬) 한국국학진흥원 고전국역위원(현) 경북대학교 중어중문학교 박사과정 졸업 『쌍봉선생문집』(공역), 『무송헌선생문집』, 『성재선생문집』 등 번역 용재눌재양선생유..

송재선생문집 -안동역사인물국역총서1

송재선생문집 -안동역사인물국역총서1 저자 : 이우 발행일 : 2018-08-30 사이즈 : 국배판 종류 : 국역서 페이지 : 622 2018년부터 새로이 안동시의 지원을 받아 안동의 빼어난 역사 인물들의 국역되지 않은 문집을 국역하여 새로이 발간하게 되었다. 그 첫 권은 바로 경북 안동 출신인 송재松齋 이우李堣(1469∼1517)의 문집이다. 이우는 바로 퇴계 이황의 숙부이다. 1498년 문과에 급제하고, 1506년 동부승지로 입직하던 날 중종반정이 일어나자 이에 가담한 공로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녹훈, 청해군靑海君에 봉해졌다. 1508년 진주 목사 등 여러 관직을 지냈고, 1515년에 안동 부사가 되었다. 문장이 맑고 전아典雅하다는 평을 받았고, 특히 시에 뛰어났다. 1. 해제 2. 제1권 - 관동행록 ..

용재눌재양선생유고 -용재공 이종준 문집 편집 (pdf파일 zip)

용재눌재양선생유고 -용재공 이종준 문집 편집 [눌재선생유고 가장] 선부군가장(先府君家狀) -눌재 이홍준 [눌재선생유고 가장] 선조고가선대부대사헌부군가장(先祖考嘉善大夫大司憲府君家狀) -눌재 이홍준 [눌재선생유고 가장] 중형장륙당가장(仲兄莊六堂家狀) -눌재 이홍준 [눌재선생유고 구묘문] 선형장륙당묘지(先兄莊六堂墓誌) -눌재 이홍준 [눌재선생유고 구묘문] 자제묘걀명(自製墓碣銘) -눌재 이홍준 [눌재선생유고 구묘문] 통훈대부행낙안군수남공묘갈명(通訓大夫行樂安郡守南公墓碣銘) -눌재 이홍준 [눌재선생유고 부록] 금계동지략(金溪洞誌畧) [눌재선생유고 부록] 묘갈음기(墓碣陰記) –와은 김한동 [눌재선생유고 부록] 백록리사상향축문(栢麓里社常享祝文) [눌재선생유고 부록] 부찰방공갈음명(附黃山察訪李公碣陰銘) -퇴계 이황 [눌..

[문과] 연산(燕山) 4년(1498) 무오(戊午) 식년시(式年試) 3등(三等) 15위(25/33)

이우(李堣) *금호공(琴湖公) 이시민(李時敏)의 사위[壻] [문과] 연산(燕山) 4년(1498) 무오(戊午) 식년시(式年試) 3등(三等) 15위(25/33) [인물요약] 자(字): 명중(明仲) 호(號): 송재(松齋) 생년: 기축(己丑) 1469년 (예종 1) 졸년: 정축(丁丑) 1517년 (중종 12) 향년: 49세 합격연령: 30세 본인본관: 진성(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