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이씨 인물 과거/월성군파◆인물

월성군 6세손 눌재공(訥齋公) 이홍준(李弘準)

용재공 16세손 이제민 2018. 12. 10. 12:23

월성군 6세손 눌재공(訥齋公) 이홍준(李弘準)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③대사헌공(大司憲公) 승직(繩直) → 5世孫 ⑤금호공(琴湖公) 시민(時敏) → 6世孫 ③눌재공(訥齋公) 홍준(弘準)


○1523년(중종 18, 계미)卒. 字는 군식(君式)이요, 號는 눌재(訥齋). 성종(成宗) 무오(戊午)에 진사(進士)를 하고 무오화후(戊午禍後) 세로(世路)에 뜻이 없어 감사(監司)가 이재행(以才行)으로 천(薦)하되 칭질불사(稱疾不仕)하고 상구(甞搆) 외영당(畏影堂) 어내성현(於奈城縣)하고 소요자적(逍遙自適)하니 사재영가지(事載永嘉誌) 향백록리사(享栢麓里社)하며 유유고(有遺稿)하다.

*출처: 1987년 경주이씨(慶州李氏) 대종보(大宗譜)

 

 

○조선 전기 안동 출신의 유생.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군식(君式), 호는 눌재(訥齋). 할아버지는 대사헌을 지낸 이승직(李繩直), 아버지는 이시민(李時敏), 어머니는 안동권씨(安東權氏)로 현감을 지낸 권계경(權啓經)의 딸이다. 형이 용재(慵齋) 이종준(李宗準)이다.

[활동사항]
○이홍준은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에서 태어났으며, 1486년(성종 17) 진사시에 합격했다. 연산군의 정사가 위태로움을 보고 지은 시에서 “삶이 없으면 죽음도 없는데, 삶이 있으니 죽음도 있는 게지. 생사는 모두 아득한데, 조물주는 시작과 끝이 없구나.”라고 읊었다. 그 뒤 무오사화(戊午士禍)로 형 이종준이 참변을 당하자 세상사에 뜻을 버리고 가족을 이끌고 안동부 내성현(奈城縣, 현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일대)으로 내려와 자취를 숨겼다.

○향리에서 가례(家禮)를 준수하고 남전여씨(藍田呂氏)의 유규(遺規)를 바탕으로 내성동약(奈城洞約)를 행하면서 후진을 깨우쳐 내성현의 기풍을 크게 바꾸었다. 내성동약의 좌목(座目)에는 서로 준수할 것을 맹세한 사람들의 이름이 수록되어 있어서 당시 내성현을 주도하고 있던 양반 사족들의 향안으로 볼 수도 있다. 이홍준은 은덕(隱德)으로 문장을 만들어 질박함을 감추고 있는 데다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술에 취한 듯 몽롱한 기분을 느끼게 한다고 했다.

[저술 및 작품]
○문집 『눌재선생유고(訥齋先生遺稿)』가 『용눌재양선생유고(慵訥齋兩先生遺稿)』에 수록되어 전한다.

[묘소]
○묘소는 내성현(奈城縣) 북쪽 문수산(文殊山) 아래 은봉(銀峯) 동쪽 서향의 언덕에 있다.

[상훈과 추모]
○김한동(金翰東)이 묘갈음기(墓碣陰記)를, 김형모(金瀅模)가 행장을 지었다. 향리의 사림들이 형 이종준과 함께 백록리사(柏麓里社)에 배향하였다.

[참고문헌] 『용눌재양선생유고(慵訥齋兩先生遺稿)』 송지향, 『안동향토지』(대성문화사, 1983)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月城李氏家訓(월성이씨가훈)
-訥齋(눌재) 李弘準(이홍준)
https://yongjaegong.tistory.com/31


◈訥齋公行狀(눌재공행장)
-後學聞韶(후학문소) 金瀅模(김형모) 謹撰(근찬)
https://yongjaegong.tistory.com/32


◈成均進士訥齋公墓誌銘(성균진사눌재공묘지문) <역문>
-弘準(홍준) 自製(자제)
https://yongjaegong.tistory.com/30


◈書自製墓銘後(서자제묘명후)
-訥隱(눌은) 李光庭(이광정)
https://yongjaegong.tistory.com/34


◈訥齋先生墓碑陰記(눌재선생묘비음기) <역문>
-聞韶(문소) 臥隱(와은) 金翰東(김한동) 撰(찬)
https://yongjaegong.tistory.com/33


◈訥齋先生改碣告由文(눌재선생개갈고유문)
-永嘉(영가) 權一燮(권일섭) 撰(찬)
https://yongjaegong.tistory.com/1431


◈通訓大夫行樂安郡守南公墓碣文(통훈대부행낙안군수남공묘갈문) <역문>
-訥齋(눌재) 李弘準(이홍준)
https://yongjaegong.tistory.com/35



눌재공 이홍준 가계도(訥齋公 李弘準 家系圖)

大司憲公 文科 慶尙道觀察使 李繩直(대사헌공 문과 경상도관찰사 이승직)
  ||
延安李氏(연안이씨) 都監正郞 贈職 戶曹判書 李亮(도감정랑 증직호조판서 이량)의 女
  || ├判官公 李不敏(판관공 이불민)
  || ├忠愍公 李命敏(충민공 이명민)
  || ├文科 主簿公 李勿敏(문과 주부공 이물민)
  || ├李靡敏(이미민)
  || └女 ═ 縣監 金巖(현감 김암)
  ||
興海裵氏(흥해배씨) 柏竹堂 裵尙志(백죽당 배상지)의 女
     └生員 琴湖公 李時敏(생원 금호공 이시민)
        ||
        安東權氏(안동권씨) 縣監 權啓經(현감 권계경)의 女
            ├忠順衛公 李崇準(충순위공 이숭준)
            ├文科 慵齋公 李宗準(문과 용재공 이종준)
            ├進士 訥齋公 李弘準(진사 눌재공 이홍준)
            │ ├黃山道察訪公 李德璋(황산도찰방공 이덕장) ═ 豐山柳氏(풍산유씨) 進士 柳子溫(진사 유자온)의 女
            │ │ ├旌閭 李艿(정려 이잉)
            │ │ │ └女 ═ 金克寬(김극관)
            │ │ │
            │ │ ├旌閭 李茹(정려 이여)
            │ │ ├生員公 李葎(생원공 이률)
            │ │ ├生員 參奉公 李苞(생원 참봉공 이포)
            │ │ │ └李天經(이천경)
            │ │ │
            │ │ └女 ═ 宜城李氏(의성이씨) 生員 李薰(생원 이훈)
            │ │
            │ ├女 ═ 眞城李氏(진성이씨) 參奉 李希侗(참봉 이희동)
            │ │ ├進士 李文魁(진사 이문괴)
            │ │ ├生員 李文台(생원 이문태)
            │ │ ├參奉 李文井(참봉 이문정)
            │ │ └女 ═敦河(돈하)
            │ │
            │ ├女 ═ 奉化琴氏(봉화금씨) 府使 琴椅(부사 금의)
            │ │ ├奉事 琴應鍾(봉사 금응종)
            │ │ ├生員 琴應賓(봉사 금응빈)
            │ │ └女 ═ 縣監 權東美(현감 권동미)
            │ │
            │ ├女 ═ 宜寧余氏(의령여씨) 部將 余漢珪(부장 여한규)
            │ │ └判官 余寅得(판관 여인득)
            │ │
            │ ├女 ═ 東萊鄭氏(동래정씨) 參奉 鄭穆蕃(참봉 정목번)
            │ │ ├都承旨 文奉 鄭惟一(도승지 문봉 정유일)
            │ │ ├女 ═李淑仁(이숙인)
            │ │ └女 ═ 朴緘(박함)
            │ │
            │ └女 ═ 李麟(이인)
            │     ├李忠寬(이충관)
            │     ├李士寬(이사관)
            │     ├女 ═ 南好禮(남호예)
            │     └女 ═ 公州李氏(공주이씨) 參奉 李碩幹(참봉 이석간)
            │
            ├訓導公 李公準(훈도공 이공준)
            ├女 ═ 春川朴氏(춘천박씨) 監司 朴緇(감사 박치)
            ├女 ═ 奉化琴氏(봉화금씨) 軍威縣監 琴啓(군위현감 금계)
            ├女 ═ 安東權氏(안동권씨) 司果 權碩衡(사과 권석형)
            └女 ═ 眞城李氏(진성이씨) 參判 松齋 李堣(참판 송재 이우)
                        *松齋集(송재집) *父는 李繼陽(이계양)이고 李埴(이식)의 弟, 李滉(이황)은 姪

*참조: 1987년 경주이씨(慶州李氏) 대종보(大宗譜), 용재유고(慵齋遺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