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인물 (二)/눌재공◆이홍준 28

[중종실록] 성균관의 진사 이홍준이 상소하다

중종실록 15권, 중종 7년 4월 17일 신묘 5번째기사 1512년 명 정덕(正德) 7년성균관의 진사 이홍준이 상소하다○成均進士李弘準上疏陳時弊, 命下各該司, 採其可用者。성균관의 진사 이홍준이 상소하여 시폐(時弊)를 말하였는데, 각 해사(該司)에 내려 그 쓸 만한 것을 채택하게 하였다.【태백산사고본】 88책 15권 38장 A면【국편영인본】 14책 569면【분류】 정론-정론(政論) / 행정-중앙행정(中央行政) / 사상-유학(儒學)*http://sillok.history.go.kr/id/kka_10704017_005

[중종실록] 진사 이홍준 등의 진언을 시행하도록 해조에 명하다

중종실록 15권, 중종 7년 4월 17일 辛卯 1번째기사 1512년 명 정덕(正德) 7년진사 이홍준 등의 진언을 시행하도록 해조에 명하다○辛卯/下進士李弘準、生員曺孟謙等陳言于政院曰: "凡陳言, 若不取則已, 如或可取, 便當施行。 況求言之時, 有此陳言乎? 其語該曹。"진사(進士) 이홍준(李弘準)·생원(生員) 조맹겸(曹孟謙) 등의 진언(陳言)을 정원(政院)에 내리면서 이르기를,"무릇 진언을 취하지 않는다면 그만이거니와 취한다면 곧 시행해야 하는데, 하물며 직언(直言)을 구할 때에 이런 진언이 있는 데이겠는가. 이를 해조에 말하라.“하였다.【태백산사고본】 8책 15권 37장 B면【국편영인본】 14책 568면【분류】 정론-정론(政論)*https://sillok.history.go.kr/id/WKA_10704017_001

[강원도민일보][명경대] 선비 묘명과 할매 시

[강원도민일보][명경대] 선비 묘명과 할매 시남궁창성2023. 2. 16. 05:00*https://v.daum.net/v/20230216050041438*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1169440 ‘재주가 없는데 덕도 없으니 사람일 뿐(旣無才 又無德 人而已) 살아서는 벼슬 없고 죽어서는 이름 없으니 혼일 뿐(生無爵 死無名 魂而已) 걱정과 즐거움 다하고 모욕과 칭송도 그치니 남은 것은 흙뿐(憂樂空 毁譽息 土而已)’생몰 연대를 알 수 없는 조선시대 전기 이홍준(李弘準) 선생이 남긴 묘명이다. 스물일곱 자로 전 생애를 기록했다. 중종 실록에서는 중종 7년(1512년) 4월17일 진사(進士) 이홍준이 진언을 했다는 기록이 있다.점필재 김종직의 문인인 이..

[민음사/하루에 한 문장] 2022. 9. 1 ─ 이홍준, 「자명(自銘)」

[민음사/하루에 한 문장] 2022. 9. 1 ─ 이홍준, 「자명(自銘)」 재주 없는 데다 덕 또한 없으니 사람일 뿐. ─ 이홍준, 「자명(自銘)」 *출처: 민음사 https://blog.naver.com/minumworld/222861891691 ------------------------------------------------- 인생일력 민음사 2021년 9월 1일 수요일 음력 7월 25일 ​ 민음사, 인생일력 오늘 하루에 한 문장은 '이홍준'의 입니다. 9월의 첫날! 이끼 낀 묘비를 더듬어 읽으며 삶의 의미를 되찾는 여정! 내면기행! ​ #인생일력 #민음사 #하루에한문장 #9월 #내면기행 ​ ⚜재주 없는 데다 덕 또한 없으니 사람일 뿐⚜ ​ 내 얘기 같다 ​ 잘 나거나 못 나거나 그저 '사람'이..

[국학연구 Vol.34] 화산삼걸(花山三傑)의 성립(成立)과 의의(意義)

[국학연구 Vol.34] 화산삼걸(花山三傑)의 성립(成立)과 의의(意義) 이종호 (李鍾虎, 안동대학교) 1. 머리말 2. 화산삼걸의 성립과 교유 3. 화산삼걸의 성격과 의의 4. 맺음말 2. 화산삼걸의 성립과 교유 2) 『남주일록』과 화산삼걸의 교유 (일부분) 화산삼걸의 현실인식과 관련하여 『남주일록..

[영가지(永嘉誌)] 畏影堂, 琴椅, 鄭惟一, 李苞, 李弘準, 郡守南義元墓, 進士李弘準墓, 察訪李徳璋墓

경북 유형문화재 제224호 영가지(永嘉誌) *출처: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유산 검색 > 영가지(永嘉誌) *국역 출처: 유교넷. 한국국학진흥원. 국역 영가지.선성지합본 > 영가지 서자 종목: 경북 유형문화재 제224호 명칭: 영가지및책판(永嘉誌및冊板) 시대: 조선 선조 41년(1608)~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