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인물 (一)/대사헌공이승직 42

[영가지(永嘉誌)] 金地村, 裵尙志, 李繩直, 判司僕正贈參判裴尚志墓, 大司憲李繩直夫人裴氏墓, 生員李時敏

경북 유형문화재 제224호 영가지(永嘉誌) *출처: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유산 검색 > 영가지(永嘉誌) *국역 출처: 유교넷. 한국국학진흥원. 국역 영가지.선성지합본 > 영가지 서지 종목: 경북 유형문화재 제224호 명칭: 영가지및책판(永嘉誌및冊板) 시대: 조선 선조 41년(1608)~대한제국(1899) 수량: 일괄(13책) 분류: 목판본/사간본 지정일: 1986.12.11 소유자: 권오기,권기백 소재지: 경북 안동시 문화재형태: 선장 형태서지: 1. 영가지 永嘉誌 - 조선 선조 41년(1608), 1책(冊). 사주단변(四周單邊), 반곽(半郭) 21.8cm×18.0cm, 유계(有界), 반엽(半葉) 8행(行) 19자(字),주쌍행(注雙行),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 32.0cm×2..

선조고가선대부대사헌부군가장(先祖考嘉善大夫大司憲府君家狀)

先祖考嘉善大夫大司憲府君家狀 (선조고가선대부대사헌부군가장) -訥齋 李弘準 撰(눌재 이홍준 찬) 府君諱繩直子繩平系月城新羅佐命大臣李謁平之後也考大護軍蔓實祖司僕判事元林曾祖四宰貞烈公揆高祖三重大匡月城君之秀府君生於宣德戊午旣長有學行始以進士又擢生員筮仕 世宗朝以淸白見重位至二品居家莅官喜怒不形 家有應門小奴以滌器不潔覆飯于溝婢僕入告淑人裵氏必待朝退而懲之具告其由乃曰此可取而不可怒也陋何食焉第視之當爲忠奴府君下世後終裵氏之世皓首幹家果有功焉 又牧楊州有一員疎薄其妻聲失行訴狀自前等覈未得情下車之初首擧重獄爲先鞠之婢僕及子息招辭各異以爲疑獄其夫妻同囚獄廡隙房今一該事衙奴及解文老吏密守璧外必有相詰言語細記以告果夜半妻謂夫曰汝欲棄我雖不官誰能止之必以惡名加我使所生子女不得擧顔於鄕閭乎在獄中所生者亦非爾子乎何薄行之至是耶應曰 旣發狀事至如此今若變辭則重罪及我余亦悔不可追也吏俱記始末夜半人之..

[세종실록] 의금부에서 이승직 등의 죄상을 갖추어 보고하다

세종실록 50권, 세종 12년 10월 13일 경진 6번째기사 1430년 명 선덕(宣德) 5년 의금부에서 이승직 등의 죄상을 갖추어 보고하다 ○義禁府具李繩直等罪以啓, 命鄭苯、張脩、崔文孫, 自願付處; 繩直、子鏗, 已罷職勿論; 南智, 功臣之孫, 亦勿論。 의금부에서 이승직(李繩直) 등의 죄상을 갖추어..

[세종실록] 이승직이 통사 원민생의 치죄를 건의했으나 듣지 않다

세종실록 49권, 세종 12년 8월 18일 병술 1번째기사 1430년 명 선덕(宣德) 5년 이승직이 통사 원민생의 치죄를 건의했으나 듣지 않다 ○丙戌/受常參, 視事。 大司憲李繩直啓: "通事元閔生當昌盛欲見雲劍, 宜據義防遮, 今乃啓而示之, 以致取去, 使失賓主之儀, 且是危道。 請按律科罪, 以防其漸..

[세종실록] 호조에서 공법에 대한 여러 의논을 갖추어 아뢰다

세종실록 49권, 세종 12년 8월 10일 무인 5번째기사 1430년 명 선덕(宣德) 5년 호조에서 공법에 대한 여러 의논을 갖추어 아뢰다 ○戶曹具中外貢法可否之議以啓: "京中知敦寧府事安壽山、摠制李蕆、同知摠制朴葵、前摠制李順蒙、前同知摠制李希貴、前都觀察使李貞幹、前判牧事金士淸、前..

[세종실록] 이승직 등이 상소하여 모화루 영선 감독관인 안순 등의 처벌을 건의했으나 듣지 않다

세종실록 48권, 세종 12년 6월 7일 병자 1번째기사 1430년 명 선덕(宣德) 5년 이승직 등이 상소하여 모화루 영선 감독관인 안순 등의 처벌을 건의했으나 듣지 않다 ○丙子/大司憲李繩直等上疏曰: 慕華樓迎接使命之所, 乃緣傾危, 不得已改造, 非他營繕之比也。 安純、洪理等受命監督, 固當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