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군 6세손 이건석(李乾石)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③대사헌공(大司憲公) 승직(繩直) → 5世孫 ②충민공(忠愍公) 명민(命敏) → 6世孫 ④건석(乾石) |
○일휘(一諱)는 희준(喜準). 선고피화(先考被禍)때 공(公)은 강보 三月이어서 중문(中門) 밖에 살던 난모(亂母)가 숨겨 화(禍)를 면(免)하게하고 적소(謫所)에 계시는 중부(仲父) 미민(靡敏)께서 양훈(養訓)하시고 공유언장(工遺言狀)을 세전(世傳)토록 하셨다.
*출처: 1987년 경주이씨(慶州李氏) 대종보(大宗譜)
이건석 가계도(李乾石 家系圖)
大司憲公 文科 慶尙道觀察使 李繩直(대사헌공 문과 경상도관찰사 이승직)
||
延安李氏(연안이씨) 都監正郞 贈職戶曹判書 李亮(도감정랑 증직호조판서 이량)의 女
|| ├判官公 李不敏(판관공 이불민)
|| ├忠愍公 李命敏(충민공 이명민) ═ 陽川許氏(양천허씨) 府使 許扉(부사 허비)의 女
|| │ ||
|| │陽川許氏(양천허씨) 府使 許扉(부사 허비)의 女
|| │ │*安岳郡守(안악군수)를 지내다 癸酉靖難(계유정란)[1453年. 端宗단종 1]時(시)에
|| │ │ 金宗瑞黨(김종서당)으로 三子(삼자)와 함께 禍(화)를 당함.
|| │ ├李乾金(이건금)
|| │ ├李乾玉(이건옥)
|| │ ├李乾鐵(이건철)
|| │ ├李乾石(이건석)
|| │ │ │*先考被禍(선고피화)때 公은 襁褓(강보) 三月(삼월)이어서 中門(중문)밖에 살던
|| │ │ │ 亂母(난모)가 숨겨 禍(화)를 免(면)함.
|| │ │ │*仲父(중부) 李靡敏(이미민)께서 養訓(양훈)함.
|| │ │ └李碩還(이석환)
|| │ │ ├李得南(이득남)
|| │ │ └李胤南(이윤남)
|| │ │
|| │ └女 ═ 驪興閔氏(여흥민씨) 閔甫啓(민보계)
|| │ *父는 忠貞公(충정공) 遯菴 閔伸(둔암 민신)
|| │
|| ├文科 主簿公 李勿敏(문과 주부공 이물민)
|| ├李靡敏(이미민)
|| └女 ═ 縣監 金巖(현감 김암)
||
興海裵氏(흥해배씨) 柏竹堂 裵尙志(백죽당 배상지)의 女
└生員 琴湖公 李時敏(생원 금호공 이시민)
*참조: 1987년 경주이씨(慶州李氏) 대종보(大宗譜)
'경주이씨 인물 과거 > 월성군파◆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성군 6세손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0) | 2018.12.10 |
---|---|
월성군 6세손 충순위공(忠順衛公) 이숭준(李崇準) (0) | 2018.12.10 |
월성군 6세손 이맹준(李孟準) (0) | 2018.12.10 |
월성군 6세손 모암공(慕巖公) 이치정(李致禎) (0) | 2018.12.10 |
월성군 6세손 연와공(蓮窩公) 이말손(李末孫) (0) | 2018.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