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게시판/학술지논문서적 19

慵齋 李宗準 : 무오사화의 절개. 시서화의 삼절. 조선초기 사림파의 거벽.

慵齋 李宗準 : 무오사화의 절개. 시서화의 삼절. 조선초기 사림파의 거벽. 표제/저자사항: 慵齋 李宗準 : 무오사화의 절개. 시서화의 삼절. 조선초기 사림파의 거벽. / 申斗煥 著 발행사항: 안동 : 한빛 : 경주이씨용재공파문중, 2018 형태사항: 532 p. : 천연색삽화, 계보 ; 25 cm 주기사항: 권말부록: 유규의 행장 등, 참고문헌: p. 531-532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1263-90-1 03090: \35000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0.099 듀이십진분류법-> 895.7092 ISBN: 9788991263901 *국립중앙도서관: https://www.nl.go.kr *알라딘: https://www.aladin.co.kr/shop/UsedShop/wusedit..

봉화의 문화유산 송록서원

봉화의 문화유산 송록서원 저자 : 봉화 송록서원 출판사 / 판형 : 봉화 송록서원 / 2006년 규격 / 쪽수 : 190*260 / 85쪽 도서 설명 삽화 (사진) 머리말 봉안위 10현의 행적 문목공 진일재 류숭조선생 교리 용재 이종준선생 진사 눌재 이홍준선생 수찬 창설재 권두경선생 세마 눌은 이광정선생 송록서원 설립과정 *느티나무 헌책방(바우북) : http://baubook.com/new/?page=view_book&item_id=20118 *알라딘 :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76295651

[용재유고] 한국고대사 자료집 고조선 부여편 4: 문집(하)

한국고대사 자료집 고조선 부여편 4: 문집(하) 동북아역사 자료총서 55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 지음 ㅣ 동북아역사재단 | 2021년 12월 31일 출간 ISBN : 9788961877169(896187716X) 쪽수 : 652쪽 크기 : 197 * 265 * 41 mm /1770g 책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역사/문화 > 한국사 > 한국고대사 이 시리즈는 국내 사료 가운데 발해사 관련 사료를 번역하고 주석한 자료집이다. 동북아역사재단의 전신인 고구려연구재단은 2004년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던 발해사 관련 한국사료를 중심으로 『발해사 자료집(상·하)』를 발간했다. 이를 2007년 동북아역사재단에서 재간행하였으나 그간 발해사 연구는 사료가 매우 부족하여 양적·질적 성장이 제한되어 있었다..

신선태을자금단

신선태을자금단 한문제목: 神仙太乙紫金丹 연대: 1497 출판: 서지학보6 출처: 어듸메 https://akorn.bab2min.pe.kr/doc/103 어듸메는 중세 및 근대 한국어로 작성된 문헌들을 찾아주는 실험용 검색엔진입니다. 본 사이트의 자료는 국립국어원의 '역사자료 종합 정비' 결과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신선태을자금단(神仙太乙紫金丹) : 조선전기 문신 이종준이 신선태을자금단의 제조법과 효험을 기록하여 1497년에 간행한 의서.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33095 神仙太乙紫金丹 신션태을ᄌᆞ금단 別具湯使于後 이후ᄂᆞᆫ 각별히 므레 므러 ᄡᅮᆯ법을 ᄀᆞ초 내노라 *두ᄌᆡ ᄒᆞᆫ가지니 다 ᄲᅵ빌 시라 治一切藥毒 蠱毒 일쳬 약독과 노올 굴이..

국어사 문헌자료 총정리

출처: [다음카페] 방송대 국문과 국어연구 박우진 05.09.21 10:45 https://cafe.daum.net/knou9509/CZLq/2?svc=cafeapi 후기 중세국어 자료 정리 1. 훈민정음 이전 문 헌 해 제 및 특 징 朝鮮館譯語 〔해 제〕 ?조선관역어?는 ?華夷譯語? 속에 들어 있는 일부분으로서, 중국인들이 그 당시 조선어 어휘를 조선음과 중국음으로 구분하여 펴낸 어휘집이다. ?화 이역어?는 중국의 인근 국가들의 어휘를 나라별로 모아 중국 한자로 해당 나라의 음과 중국음을 적어 놓은 어휘 모음이다. ?화이역어?는 외국 사절과의 통역을 담당하는 禮部의 會同館에서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며 해당 나라의 음과 중국음으로 표기하였는데, ?조선관역어?는 13관 역어 중의 하나이다. 이 책의 기술 내..

[고농서의 전통생활기술집] 신선태을자금단방(神仙太乙紫金丹方)

[고농서의 전통생활기술집] 신선태을자금단방(神仙太乙紫金丹方) 목차 □ 일반사항 • 구급약인 자금단의 효능에 관한 것이다. 조선 성종 때의 문신이며 학자인 용재 이종준(李鍾準)이 지은 의학서(醫學書)이다. □ 재료 • 산자고(山茨菰:까치무릇), 천금자(千金子:속수자(續隨子)), 문합(文蛤:오배자(五倍子)), 홍아(紅芽:대극(大戟)), 사향(麝香), 찹쌀 □ 방법 ① 산자고(山茨菰)의 껍질을 벗기고 깨끗이 씻어서 불에 쬐어 말린 것 2 냥이 필요하다. ② 천금자(千金子)의 껍데기를 제거하고 갈아서 기름기를 뺀 것 1 냥이 필요하다. ③ 문합(文蛤)을 방망이로 쳐서 깨어 깨끗이 씻은 것 3냥이 필요하다. ④ 홍아(紅芽)의 묵은 싹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불에 쬐어 말린 것 1냥 반이 필요하다. ⑤ 사향(麝香)..

용재 이종준의 생애와 추숭에 대한 연구

용재 이종준의 생애와 추숭에 대한 연구 서지정보 발행기관 : 단국사학회 수록지정보 : 사학지 / 60권 저자명 : 임근실 ( Lim¸ Geun-sil ) 등록일 : 2021.01.17 페이지 : 26페이지 한국어 초록 본고는 용재 이종준의 생애와 사후 추숭 과정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이종준은 성종과 연산군의 시대에 정치활동을 하다가 무오사화(戊午士禍)에 희생된 인물이다. 그는 가학(家學)으로 학문의 기반을 닦은 후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한 학자였다. 그는 무오사화에 희생되어 유배형을 받아 귀향을 가던 중 다시 압송되어 심문을 받고 죽임을 당하였다. 이 사건으로 그의 가솔들은 안동으로 귀향하여 은거하였고, 이후 그의 가문은 향촌 내부의 활동에만 주력하였다. 이종준은 언로(言路)..

<신선태을자금단(神仙太乙紫金丹)>의 국어학적(國語學的) 연구

의 국어학적(國語學的) 연구 = A Phiological Study on Shinson-t’aeul’-chaumdan 저자 : 정우영(鄭宇永) 발행기관 : 동악어문학회(구, 한국어문학연구학회) 학술지명 : 동악어문학(Journal of Dong-ak Language and Literature) 권호사항 : Vol.28No.- [1993] 발행연도 : 1993 작성언어 : Korean 등재정보 :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 학술저널 수록면 : 67-104(38쪽) 제공처 : 유료 DBpia 소장기관 : 서강대학교 로욜라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0071682 目次 Ⅰ. 서론 Ⅱ. 표기법 Ⅱ.1 漢..

[학술저널] 16세기 지방의 의서 편찬과 患難相恤의 實踐知

학술저널 16세기 지방의 의서 편찬과 患難相恤의 實踐知 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8751001 김호(경인교육대학교) 조선시대사학회 | 조선시대사학보 | 조선시대사학보 제89호 | 2019.06 | 7 - 39 (33 pages) KCI등재 DOI : 10.21568/CDHA.2019.06.89.7 UCI(KEPA) : I410-ECN-0101-2019-911-000917170 초록 조선 정부는 한 도에 한 군데 이상의 醫局을 세우고 의사 및 약재를 준비하여 지방민들을 위한 의료 혜택의 확산에 노력했지만 쉽지 않았다. 이에 지방관들은 직접 의서를 편집하여 배포했다. 세종대 전라도의 지방관이었던 박흥생은 의학 지식이 포함된 목민서를 편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