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인물 (一)/정렬공◆◆이규 21

[고려사] 권104 > 열전 권제17 > 제신(諸臣) > 김주정 > 김심 > 김심이 권한공 등을 탄핵하다

[고려사] 권104 > 열전 권제17 > 제신(諸臣) > 김주정 > 김심 김심이 권한공 등을 탄핵하다 王在元, 深與密直使李思溫議曰, “帝及太后, 屢詔王之國, 王無意於行. 令本國歲輸布十萬匹, 米四百斛, 他物不可勝紀, 國人漕轉之弊益甚. 諸從臣皆羇旅思歸. 而權漢功·崔誠之同掌選法, 利..

[동사강목 제14상] 병술년 충목왕 2년(원 순제 지정 6, 1346)

[동사강목 제14상] 병술년 충목왕 2년(원 순제 지정 6, 1346) 춘2월 초하루(경술)에 일식이 있었다. 3월 우릉도(芋陵島) 사람이 내조(來朝)하였다. 5월 충혜왕(忠惠王)을 태묘(太廟)에 부(祔)하였다. 후에 덕녕 공주(德寧公主)를 부(祔)하였다. 정승 사숙공(思肅公) 한악(韓渥)ㆍ참리(參理) 이규(..

[고려사] 권60 > 지(志) 권제14 > 예2(禮 二) > 길례대사 > 태묘 묘정에 배향하는 체협공신

[고려사] 권60 > 지(志) 권제14 > 예2(禮 二) > 길례대사 > 태묘 묘정에 배향하는 체협공신 禘祫功臣配享於庭. 太祖室. 太師·開國·武烈公裴玄慶, 太師·開國·忠烈公洪儒, 太師·開國·武恭公卜智謙, 太師·開國·壯節公申崇謙, 太師·開國·忠節公庾黔弼, 太傅·熙愷公崔凝. 惠..

[고려사] 권37 > 세가(世家) 제37 > 충목왕(忠穆王) 2년(1346) > 5월 충혜왕을 태묘에 합사하다

[고려사] 권37 > 세가(世家) 제37 > 충목왕(忠穆王) 2년(1346) > 5월 충혜왕을 태묘에 합사하다 1346년 5월 7일(음) 을유(乙酉), 1346년 5월 28일(양) 五月 乙酉 祔大行王于太廟, 以政丞韓渥, 叅理李揆配享. 5월 을유 대행왕(大行王)을 태묘(太廟)에 합사하고 정승(政丞) 한악(韓渥)과 참리(參理) ..

[동사강목 제13하] 기묘년 충숙왕 후 8년(원 순제 지원 5, 1339)

[동사강목 제13하] 기묘년 충숙왕 후 8년(원 순제 지원 5, 1339) 춘3월 왕이 훙(薨)하니 폐왕이 즉위하였다. 왕은 재위(在位)가 전후 25년, 수(壽)는 46이었다. 왕은 폐왕을 대하는데 사랑이 적어 항상 발피(潑皮)라 불렀다. 그러나 유명(遺命)으로 습위(襲位)하게 하고, 홍빈(洪彬)을 권정동성사(..

[고려사절요] 권25 > 충숙왕(忠肅王) > 충숙왕(후)(忠肅王(後)) 8년(1339) > 5월 전왕이 기로와 재추에게 명하여 복위를 청하는 소를 올리게 하다

[고려사절요] 권25 > 충숙왕(忠肅王) > 충숙왕(후)(忠肅王(後)) 8년(1339) > 5월 전왕이 기로와 재추에게 명하여 복위를 청하는 소를 올리게 하다 1339년 5월 미상(음) ○大護軍韓不花還自元, 傳李揆言曰, “丞相固執如初, 他省官雖欲申覆, 固無可假以爲辭者. 若有本國耆老上疏陳請, 則庶..

[고려사절요] 권25 > 충숙왕(후)(忠肅王(後)) 8년(1339) > 5월 원의 권신 백안이 전왕을 미워하여 복위를 인정하지 않다

[고려사절요] 권25 > 충숙왕(후)(忠肅王(後)) 8년(1339) > 5월 원의 권신 백안이 전왕을 미워하여 복위를 인정하지 않다 1339년 5월 미상(음) ○譯語郞將全允臧還自元. 初, 前王以世子入朝, 丞相燕帖木兒見之大悅, 視猶己子, 因大行王辭位, 奏帝錫王命. 時, 太保伯顏惡燕帖木兒專權, 待前王..

[고려사] 권36 > 세가(世家) 권제36 > 충혜왕(후)(忠惠王(後)) 즉위년(1339) > 5월 왕이 원로와 재추들에게 복위를 위해 원 황제에게 상소하라고

[고려사] 권36 > 세가(世家) 권제36 > 충혜왕(후)(忠惠王(後)) 즉위년(1339) > 5월 왕이 원로와 재추들에게 복위를 위해 원 황제에게 상소하라고 지시하다 1339년 5월 28일(음) 병술(丙戌), 1339년 7월 5일(양) 大護軍韓不花還自元, 傳李揆言曰, “丞相固執如初, 他省官雖欲申覆, 固無可假以爲..

[고려사] 권36 > 세가(世家) 권제36 > 충혜왕(忠惠王) 2년(1332) > 2월 원 황제가 상왕을 복위시키고 국새의 회수를 명하다

[고려사] 권36 > 세가(世家) 권제36 > 충혜왕(忠惠王) 2년(1332) > 2월 원 황제가 상왕을 복위시키고 국새의 회수를 명하다 1332년 2월 24일(음) 갑자(甲子), 1332년 3월 21일(양) 甲子 元遣留守寶守‧前理問郞中蔣伯祥等來, 王郊迎. 伯祥傳聖旨云, “已於正月三日, 命上王復位.” 王及左右皆..

[고려사절요] 권24 > 충숙왕(忠肅王) > 충숙왕(忠肅王) 17년(1330) > 4월 도첨의중찬 김심 등을 임명하다

[고려사절요] 권24 > 충숙왕(忠肅王) > 충숙왕(忠肅王) 17년(1330) > 4월 도첨의중찬 김심 등을 임명하다 1330년 4월 미상(음) ○以金深爲都僉議中贊, 任子松元忠全彦爲贊成事, 李凌幹李揆僉議參理, 李齊賢爲政堂文學, 全英甫韓渥爲三司使, 尹奕爲密直使, 權謙金文貴金之鏡爲密直副使,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