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인물 (一)/판사공◆이양직 5

판사공 이양직 외손 김질(金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김질(金礩)*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0672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전기 형조판서, 우참찬,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자: 가안(可安)호: 쌍곡(雙谷)시호: 문정(文靖)성별: 남성출생 연도: 1422년(세종 4)사망 연도: 1478년(성종 9)본관: 안동(安東)주요 관직: 평안도도관찰사|형조판서|우참찬|우의정정의조선전기 형조판서, 우참찬,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개설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가안(可安), 호는 쌍곡(雙谷). 개국공신 김사형(金士衡)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승(金陞)이고,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김종숙(金宗淑)이며, 어머니는 이양직(李良直)의 딸이다. 부인은 영의정 정창손(鄭昌孫)의 딸이다.생애 ..

판사공 이양직 외손 김작(金碏)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김작(金碏)*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0307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전기 병조판서, 수지중추부사, 형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자: 위경(衛卿)호: 상곡(相谷)시호: 효소(孝昭)성별: 남성출생 연도: 1427년(세종 9)사망 연도: 1488년(성종 19)본관: 안동(安東)주요 관직: 형조판서정의조선전기 병조판서, 수지중추부사, 형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개설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위경(衛卿), 호는 상곡(相谷). 좌의정 김사형(金士衡)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승(金陞)이고, 아버지는 김종숙(金宗淑)이며, 어머니는 이양직(李良直)의 딸이다.생애 및 활동사항1447년(세종 29) 생원이 되고, 1454년(단종 2)..

판사공 이양직 가계도(判事公 李良直 家系圖)

월성군 4세손 판사공(判事公) 이양직(李良直)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②판사공(判事公) 양직(良直)○세종조(世宗朝)에 문과(文科)에 급제(及第)하고 사간원헌납(司諫院獻納)을 초임(初任)으로 홍문관전한(弘文館典翰)·사도시정(司導寺正)에서 예조판서(禮曹判書)에 오르고 판사(判事)[도평의사사(都評議司事) 중추원봉상시(中樞院奉常寺) 等의 장(長)으로 관질(官秩)은 정일품(正一品)]로 치사(致仕) 卒. 부안(扶安) 진양서원(津陽書院) 입향(入享).○配는 정경부인(貞敬夫人) 경주최씨(慶州崔氏) 판사(判事) 안준(安濬)의 女. ○墓는 포천(抱川) 화산(..

판사공(判事公) 이양직(李良直)

판서공(判書公) 이양직(李良直)○세종조(世宗朝)에 문과(文科)에 급제(及第)하고 사간원헌납(司諫院獻納)을 초임(初任)으로 홍문관전한(弘文館典翰)·사도시정(司導寺正)에서 예조판서(禮曹判書)에 오르고 판사(判事)[도평의사사(都評議司事) 중추원봉상시(中樞院奉常寺) 等의 장(長)으로 관질(官秩)은 정일품(正一品)]로 치사(致仕) 卒. 부안(扶安) 진양서원(津陽書院) 입향(入享).○配는 정경부인(貞敬夫人) 경주최씨(慶州崔氏) 판사(判事) 안준(安濬)의 女. ○墓는 포천(抱川) 화산(花山) 생유갈(生有碣).*경주이씨 월성군파세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