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53

[고농서의 전통생활기술집] 신선태을자금단방(神仙太乙紫金丹方)

[고농서의 전통생활기술집] 신선태을자금단방(神仙太乙紫金丹方) 목차 □ 일반사항 • 구급약인 자금단의 효능에 관한 것이다. 조선 성종 때의 문신이며 학자인 용재 이종준(李鍾準)이 지은 의학서(醫學書)이다. □ 재료 • 산자고(山茨菰:까치무릇), 천금자(千金子:속수자(續隨子)), 문합(文蛤:오배자(五倍子)), 홍아(紅芽:대극(大戟)), 사향(麝香), 찹쌀 □ 방법 ① 산자고(山茨菰)의 껍질을 벗기고 깨끗이 씻어서 불에 쬐어 말린 것 2 냥이 필요하다. ② 천금자(千金子)의 껍데기를 제거하고 갈아서 기름기를 뺀 것 1 냥이 필요하다. ③ 문합(文蛤)을 방망이로 쳐서 깨어 깨끗이 씻은 것 3냥이 필요하다. ④ 홍아(紅芽)의 묵은 싹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불에 쬐어 말린 것 1냥 반이 필요하다. ⑤ 사향(麝香)..

[고농서의 전통생활기술집] 신선태을자금단방(神仙太乙紫金丹方)

[고농서의 전통생활기술집] 신선태을자금단방(神仙太乙紫金丹方) 목차 □ 일반사항 • 구급약인 자금단의 효능에 관한 것이다. 조선 성종 때의 문신이며 학자인 용재 이종준(李鍾準)이 지은 의학서(醫學書)이다. □ 재료 • 산자고(山茨菰:까치무릇), 천금자(千金子:속수자(續隨子)), 문합(文蛤:오배자(五倍子)), 홍아(紅芽:대극(大戟)), 사향(麝香), 찹쌀 □ 방법 ① 산자고(山茨菰)의 껍질을 벗기고 깨끗이 씻어서 불에 쬐어 말린 것 2 냥이 필요하다. ② 천금자(千金子)의 껍데기를 제거하고 갈아서 기름기를 뺀 것 1 냥이 필요하다. ③ 문합(文蛤)을 방망이로 쳐서 깨어 깨끗이 씻은 것 3냥이 필요하다. ④ 홍아(紅芽)의 묵은 싹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불에 쬐어 말린 것 1냥 반이 필요하다. ⑤ 사향(麝香)..

용재 이종준의 생애와 추숭에 대한 연구

용재 이종준의 생애와 추숭에 대한 연구 서지정보 발행기관 : 단국사학회 수록지정보 : 사학지 / 60권 저자명 : 임근실 ( Lim¸ Geun-sil ) 등록일 : 2021.01.17 페이지 : 26페이지 한국어 초록 본고는 용재 이종준의 생애와 사후 추숭 과정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이종준은 성종과 연산군의 시대에 정치활동을 하다가 무오사화(戊午士禍)에 희생된 인물이다. 그는 가학(家學)으로 학문의 기반을 닦은 후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한 학자였다. 그는 무오사화에 희생되어 유배형을 받아 귀향을 가던 중 다시 압송되어 심문을 받고 죽임을 당하였다. 이 사건으로 그의 가솔들은 안동으로 귀향하여 은거하였고, 이후 그의 가문은 향촌 내부의 활동에만 주력하였다. 이종준은 언로(言路)..

용재 이종준의 생애와 추숭에 대한 연구

용재 이종준의 생애와 추숭에 대한 연구 서지정보 발행기관 : 단국사학회 수록지정보 : 사학지 / 60권 저자명 : 임근실 ( Lim¸ Geun-sil ) 등록일 : 2021.01.17 페이지 : 26페이지 한국어 초록 본고는 용재 이종준의 생애와 사후 추숭 과정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이종준은 성종과 연산군의 시대에 정치활동을 하다가 무오사화(戊午士禍)에 희생된 인물이다. 그는 가학(家學)으로 학문의 기반을 닦은 후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한 학자였다. 그는 무오사화에 희생되어 유배형을 받아 귀향을 가던 중 다시 압송되어 심문을 받고 죽임을 당하였다. 이 사건으로 그의 가솔들은 안동으로 귀향하여 은거하였고, 이후 그의 가문은 향촌 내부의 활동에만 주력하였다. 이종준은 언로(言路)..

<신선태을자금단(神仙太乙紫金丹)>의 국어학적(國語學的) 연구

의 국어학적(國語學的) 연구 = A Phiological Study on Shinson-t’aeul’-chaumdan 저자 : 정우영(鄭宇永) 발행기관 : 동악어문학회(구, 한국어문학연구학회) 학술지명 : 동악어문학(Journal of Dong-ak Language and Literature) 권호사항 : Vol.28No.- [1993] 발행연도 : 1993 작성언어 : Korean 등재정보 :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 학술저널 수록면 : 67-104(38쪽) 제공처 : 유료 DBpia 소장기관 : 서강대학교 로욜라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0071682 目次 Ⅰ. 서론 Ⅱ. 표기법 Ⅱ.1 漢..

<신선태을자금단(神仙太乙紫金丹)>의 국어학적(國語學的) 연구

의 국어학적(國語學的) 연구 = A Phiological Study on Shinson-t’aeul’-chaumdan 저자 : 정우영(鄭宇永) 발행기관 : 동악어문학회(구, 한국어문학연구학회) 학술지명 : 동악어문학(Journal of Dong-ak Language and Literature) 권호사항 : Vol.28No.- [1993] 발행연도 : 1993 작성언어 : Korean 등재정보 :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 학술저널 수록면 : 67-104(38쪽) 제공처 : 유료 DBpia 소장기관 : 서강대학교 로욜라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0071682 目次 Ⅰ. 서론 Ⅱ. 표기법 Ⅱ.1 漢..

[용재공 이종준] 祭先祖慵齋先生琴溪手植杏壇文(제선조용재선생금계수식행단문) [戊寅(무인)]

□용재공 이종준(慵齋公 李宗準)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③대사헌공(大司憲公) 승직(繩直) → 5世孫 ⑤금호공(琴湖公) 시민(時敏) → 6世孫 ②용재공(慵齋公) 종준(宗準) 祭先祖慵齋先生琴溪手植杏壇文(제선조용재선생금계수식행단문) [戊寅(무인)] –晩悟 李相鉉 撰(만오 이상현 찬) 文杏古里。我李遺墟。粤自琴祖。繼有慵爺。芙蓉出水。蘭芽茁庭。樂有賢父。成就諸郎。訓深詩禮。學積講習。鄒魯名鄕。桑梓一壑。惟彼琴堤。植此文杏。燕貽嘉謨。魯壇遺風。樹之以德。培之以誠。根本旣深。枝榦必榮。先生受教。益懋其工。立雪畢門。亟受陶鎔。道資寒蠧。易講周孔。秋江是友。零陵何處。道德林藪。父子喬梓..

[晩悟公逸稿卷之一] [祭文] 祭先祖慵齋先生琴溪手植杏壇文 [戊寅]

晩悟公逸稿卷之一 / 祭文 祭先祖慵齋先生琴溪手植杏壇文 [戊寅] 文杏古里。我李遺墟。粤自琴祖。繼有慵爺。芙蓉出水。蘭芽茁庭。樂有賢父。成就諸郎。訓深詩禮。學積講習。鄒魯名鄕。桑梓一壑。惟彼琴堤。植此文杏。燕貽嘉謨。魯壇遺風。樹之以德。培之以誠。根本旣深。枝榦..

[訥齋遺稿] [丘墓文] 先兄莊六堂墓誌 <국역>

눌재유고(訥齋遺稿) / 丘墓文 先兄莊六堂墓誌(선형장륙당묘지) 公諱宗準。字仲勻。姓李月城世家。父生員時敏。祖大司憲繩直。丁酉生。乙巳文科。戊午被禍。世稱慵齋。削官職及第而己。諱節義黨人。而己返葬金溪。先人之壠也奉祀。德淵家李之子也。葬後七年。乙丑二月日。 弟弘準撰。公準書。 *출처: 용재유고(慵齋遺稿) > 訥齋先生遺稿 *참조: 용눌재집(慵訥齋集) > 訥齋先生遺稿 > 丘墓文 > 先兄莊六堂墓誌 ○1505. 이홍준이 찬(撰)하고 이공준(李公準)이 쓴 이종준의 묘지문(墓誌文). *출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소 http://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kyujanggak.s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