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인물 (三)/모선재공이윤양◆후손 18

용재공 14세손 이재희(李在禧)

용재공 14세손 이재희(李在禧) 【계대(系代)】 ②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 1世孫 系子 천유당공(天有堂公) 덕연(德淵) → 2世孫 ③모선재공(慕先齋公) 윤양(胤讓) → 3世孫 ①민학공(民學公) 정수(廷秀) → 4世孫 ③명재공(明齋公) 은(檼) → 5世孫 ②남은공(南隱公) 순선(純善) → 6世孫 ②세언(世彦) → 7世孫 ③명삼(命三) → 8世孫 ②경택(慶宅) → 9世孫 ①주서(柱瑞) → 10世孫 ①지석(之錫) → 11世孫 ①연승(淵升) → 12世孫 ①상민(相旼) → 13世孫 ①규형(圭炯) → 14世孫 系子 재희(在禧) ○生父는 언형(彦炯) 字는 문길(文佶). 고종(高宗) 경오(庚午) 4月27日生. 부성(賦性)이 숭고하고 자비심이 강하여 종족(宗族)에 돈목(敦睦)하고 위선사(爲先事)에 근면하였으며..

용재공 13세손 이원형(李元炯)

용재공 13세손 이원형(李元炯) 【계대(系代)】 ②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 1世孫 系子 천유당공(天有堂公) 덕연(德淵) → 2世孫 ③모선재공(慕先齋公) 윤양(胤讓) → 3世孫 ②만귀헌공(晩歸軒公) 민석(民奭) → 4世孫 선언(善彦) → 5世孫 노곡공(老谷公) 흠(欽) → 6世孫 ①통정공(通政公) 당(瑭) → 7世孫 가선공(嘉善公) 학만(學萬) → 8世孫 ②노헌공(魯軒公) 후걸(厚杰) → 9世孫 ②구철(龜喆) → 10世孫 ②종창(鍾昌) → 11世孫 ④방우(邦雨) → 12世孫 ①상춘(相春) → 13世孫 ①원형(元炯) ○字는 문백(文伯). 경신생(庚申生) 이효행유감응지리(以孝行有感應之理) 사림누정영관특몽(士林累呈營官特蒙) 포양지전(褒揚之典). 임오(壬午) 4月15日卒. ○墓는 입암산 신좌(申坐). ..

용재공 13세손 해사공(海史公) 이삼형(李杉炯)

용재공 13세손 해사공(海史公) 이삼형(李杉炯) 【계대(系代)】 ②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 1世孫 系子 천유당공(天有堂公) 덕연(德淵) → 2世孫 ③모선재공(慕先齋公) 윤양(胤讓) → 3世孫 ①민학공(民學公) 정수(廷秀) → 4世孫 ②보국재공(輔國載公) 추(樞) → 5世孫 ④부호군공(副護軍公) 진선(進善) → 6世孫 ②세적(世勣) → 7世孫 系子 명원(命元) → 8世孫 경윤(慶胤) → 9世孫 ①의서(宜瑞) → 10世孫 ①규석(圭錫)→ 11世孫 系子 기우(岐雨) → 12世孫 ①상민(相旻) → 13世孫 ①해사공(海史公) 삼형(杉炯) ○字는 인여(寅汝) 號는 해사(海史). 철종(哲宗) 경술(庚戌) 12月17日生. 일찍 경학(經學)을 연구하셔 사림(士林)에서 중하게 추대하여 후진교육에 성취함이 많았으..

용재공 13세손 이도형(李道炯)

용재공 13세손 이도형(李道炯) 【계대(系代)】 ②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 1世孫 系子 천유당공(天有堂公) 덕연(德淵) → 2世孫 ③모선재공(慕先齋公) 윤양(胤讓) → 3世孫 ①민학공(民學公) 정수(廷秀) → 4世孫 ②보국재공(輔國載公) 추(樞) → 5世孫 ①관가옹공(觀稼翁公) 지선(止善) → 6世孫 구충당공(求忠堂公) 세백(世白) → 7世孫 ③남애공(南厓公) 명상(命相) → 8世孫 ②백자옹공(百子翁公) 혁(爀) → 9世孫 ③문규(文奎) → 10世孫 석조(錫祚) → 11世孫 ①지우(志雨) → 12世孫 ①구봉공(龜峯公) 상진(相晋) → 13世孫 系子 도형(道炯) ○生父는 상하(相夏) 字는 문선(文善). 고종(高宗) 계미(癸未) 1月17日生. 항상 선조(先祖) 용재사적(慵齋事蹟)을 고람(高覽)하기..

용재공 13세손 가산공(柯山公) 이인형(李寅炯)

용재공 13세손 가산공(柯山公) 이인형(李寅炯) 【계대(系代)】 ②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 1世孫 系子 천유당공(天有堂公) 덕연(德淵) → 2世孫 ③모선재공(慕先齋公) 윤양(胤讓) → 3世孫 ①민학공(民學公) 정수(廷秀) → 4世孫 ②보국재공(輔國載公) 추(樞) → 5世孫 ①관가옹공(觀稼翁公) 지선(止善) → 6世孫 구충당공(求忠堂公) 세백(世白) → 7世孫 ②명식(命植) → 8世孫 소(熽) → 9世孫 系子 양헌공(養軒公) 증규(增奎) → 10世孫 ①석일(碩一) → 11世孫 ①호영(顥泳) → 12世孫 ②상곤(相坤) → 13世孫 ①가산공(柯山公) 인형(寅炯) ○字는 덕중(德中) 號는 가산(柯山). 고종(高宗) 임신(壬申) 8月22日生. 일찍이 경사(經史)를 통(通)하고 입지헌묘(立志軒昴)하여 관..

용재공 12세손 기남공(杞南公) 이상민(李相敏)

용재공 12세손 기남공(杞南公) 이상민(李相敏) 【계대(系代)】 ②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 1世孫 系子 천유당공(天有堂公) 덕연(德淵) → 2世孫 ③모선재공(慕先齋公) 윤양(胤讓) → 3世孫 ②만귀헌공(晩歸軒公) 민석(民奭) → 4世孫 선언(善彦) → 5世孫 노곡공(老谷公) 흠(欽) → 6世孫 ②가선공(嘉善公) 섬대(暹大) → 7世孫 ②통정공(通政公) 계봉(戒鳳) → 8世孫 ②참봉공(參奉公) 중걸(重杰) → 9世孫 증군자감정공(贈軍資監正公) 자철(滋喆) → 10世孫 증호조참의공(贈戶曹參議公) 종무(鍾茂) → 11世孫 ①증공조참판공(贈工曹參判公) 범우(範雨) → 12世孫 ①기남공(杞南公) 상민(相敏) ○字는 원호(元浩). 헌종(憲宗) 계묘생(癸卯生). 병오(丙午) 8月17日卒. 행가선(行嘉善) ..

용재공 11세손 화봉공(化奉公) 이인우(李鱗雨)

용재공 11세손 화봉공(化奉公) 이인우(李鱗雨) 【계대(系代)】 ②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 1世孫 系子 천유당공(天有堂公) 덕연(德淵) → 2世孫 ③모선재공(慕先齋公) 윤양(胤讓) → 3世孫 ②만귀헌공(晩歸軒公) 민석(民奭) → 4世孫 선언(善彦) → 5世孫 노곡공(老谷公) 흠(欽) → 6世孫 ①통정공(通政公) 당(璫) → 7世孫 ①증가선공(贈嘉善公) 학만(學萬) → 8世孫 ②노헌공(魯軒公) 후걸(厚杰) → 9世孫 ③수동추(壽同樞) 용철(龍喆) → 10世孫 ②돈녕도정공(敦寧都正公) 종택(鍾澤) → 11世孫 ③화봉공(化奉公) 인우(鱗雨) ○科名은 동영(東榮) 字는 화서(華瑞) 號는 화봉(化奉). 신묘생(辛卯生) 고종(高宗) 을사(乙巳)에 문과(文科) 행홍문관교리겸(行弘文館校理兼) 승지(承旨) 신..

용재공 9세손 양헌공(養軒公) 이증규(李增奎)

용재공 9세손 양헌공(養軒公) 이증규(李增奎) 【계대(系代)】 ②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 1世孫 系子 천유당공(天有堂公) 덕연(德淵) → 2世孫 ③모선재공(慕先齋公) 윤양(胤讓) → 3世孫 ①민학공(民學公) 정수(廷秀) → 4世孫 ②보국재공(輔國載公) 추(樞) → 5世孫 ①관가옹공(觀稼翁公) 지선(止善) → 6世孫 구충당공(求忠堂公) 세백(世白) → 7世孫 ②명식(命植) → 8世孫 소(熽) → 9世孫 系子 양헌공(養軒公) 증규(增奎) ○生父는 혁(爀) 字는 통응(通膺) 號는 양헌(養軒). 영조(英祖) 을해(乙亥) 5月28日生. 순조(純祖) 병인(丙寅) 동향(同鄕)에 사는 동종장령진택(同宗掌令鎭宅) 유학형묵규태경춘(幼學亨黙奎泰景春) 절충중인등(折衝重仁等) 여러사람을 모으고 표암시조(瓢巖始祖) 정..

용재공 7세손 이명식(李命植)

용재공 7세손 이명식(李命植) 【계대(系代)】 ②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 1世孫 系子 천유당공(天有堂公) 덕연(德淵) → 2世孫 ③모선재공(慕先齋公) 윤양(胤讓) → 3世孫 ①민학공(民學公) 정수(廷秀) → 4世孫 ②보국재공(輔國載公) 추(樞) → 5世孫 ①관가옹공(觀稼翁公) 지선(止善) → 6世孫 구충당공(求忠堂公) 세백(世白) → 7世孫 ②명식(命植) ○字는 대유(大有) 헌종(憲宗) 임술생(壬戌生). 효성(孝誠)이 지극함을 정포(旌褒)하기 위하여 경주에 사는 진사(進士) 손(孫) 성악외(星岳外) 123名이 임술(壬戌) 五月에 수의사도(繍衣使道)에게 글을 바쳤다. 수의사도(繍衣使道)에게 올린 글의 본문(本文)사본은 세헌집에 있음. 기일(忌日)은 4月29일. ○配는 창녕조씨(昌寧曺氏) 흥하(興..

용재공 5세손 부호군공(副護軍公) 이진선(李進善)

용재공 5세손 부호군공(副護軍公) 이진선(李進善) 【계대(系代)】 ②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 1世孫 系子 천유당공(天有堂公) 덕연(德淵) → 2世孫 ③모선재공(慕先齋公) 윤양(胤讓) → 3世孫 ①민학공(民學公) 정수(廷秀) → 4世孫 ②보국재공(輔國載公) 추(樞) → 5世孫 ④부호군공(副護軍公) 진선(進善) ○절충장군(折衝將軍) 행용양위부호군(行龍驤衛副護軍). 효성(孝誠)이 지극하여 무자년(戊子年)에 양친(兩親)이 구몰하시매 백형(伯兄) 관가옹(觀稼翁) 지선(止善)과 함께 묘전여막(墓前廬幕)에서 3년간(三年間) 시묘(侍墓)를 하였다. 배위(配位)의 사적 등은 실전(失傳). ○墓는 울산(蔚山) 양감(梁監)에 임좌(壬坐). *출처: 1987년 경주이씨(慶州李氏) 대종보(大宗譜) 부호군공 이진선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