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제사 지내는 순서, 진설법 기제사 차리는 법(진설법) 1. 과일을 놓는 줄 (그림의 1번 줄); 조율이시라하여 좌측부터 대추, 밤, 배(사과), 감(곶감)의 순서로 차리며(조율시이의 순서로 하기도 한다), 그 이외의 과일들은 정해진 순서가 따로 없으나 나무 과일, 넝쿨과일 순으로 차린다. 과일 줄의 끝에는 과자(유과)류를.. 차례 제례 절차/제례◆지방축문 2019.11.06
차례 지내는 순서 차례 지내는 순서 차례는 어떤 절차로 지내나요? 차례는 강신(降神), 참신(參神), 헌작(獻酌), 계반삽시(啓飯揷匙), 합문(闔門), 철시복반(撤匙復飯), 사신(辭神), 철상(撤床), 음복(飮福) 등의 절차로 진행된다. 제사와 다른 점이 있다면 차례는 축문(祝文)1) 을 읽지 않고 잔을 한 번만 올리는.. 차례 제례 절차/제례◆지방축문 2019.11.06
제례(祭禮) 절차 제례(祭禮) 절차 ① 영신(迎神) - 신을 맞이한다. ☆ 먼저 대문을 열어 놓습니다. ☆ 제상의 뒤쪽(북쪽)에 병풍을 치고 제상 위에 제수를 진설합니다. ☆ 지방을 써 붙이고 제사의 준비를 마칩니다. ☆ 옛날에는 출주라 하여 사당에서 신주를 모셔 내오는 의식이 있었습니다. ② 분향(焚香)- .. 차례 제례 절차/제례◆지방축문 2019.11.06
제례 제례 주자가례(朱子家禮) 설찬도(設饌圖) 제의초(祭儀鈔) 설찬도(設饌圖) * 기제사에는 삼색 과실과 삼탕을 올린다." 사례편람(四禮便覽) 설찬도(設饌圖)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설찬도(設饌圖) 대부 사서인 시향(大夫士庶人時享) 기일(忌日)에는 소찬(素饌)을 쓰고, 속절(俗節)〔정조(正朝.. 차례 제례 절차/제례◆지방축문 2019.11.06
상례 상례 상례의 절차 옛날의상례는 다음과 같은 순서와 절차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운명 첫째 날 1) 초종(初終) : 사람의 죽음을 맞는 데서부터 죽음을 알리는 부고(訃告)를 보내는 데까지의 절차이다. 2) 습(襲) : 죽은이를 목욕시키고 마지막으로 입히는 수의를 입히고 죽은이를 표시하는 명.. 차례 제례 절차/제례◆지방축문 2019.11.06
지방 쓰는 법 지방 쓰는 법 요약 지방은 제사를 모시는 대상을 상징하는 것으로, 사당에서 쓰는 신주 대신 임시로 만드는 위패를 말한다. 깨끗한 흰 종이에 고인의 이름 등을 적어 사용하며 고인의 위치와 제사지내는 사람과의 관계에 따라 작성법이 달라진다. 죽은 사람의 혼을 대신하는 것이므로 제.. 차례 제례 절차/제례◆지방축문 2019.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