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적지 유물 121

경현당기(景賢堂記) 역문 -문소(聞韶) 김홍락(金鴻洛)

경현당기(景賢堂記) -문소 김홍락 찬(聞韶 金鴻洛 撰) 先王之政禮之敎大而象德尊賢尤爲勸善化俗之一道也故建學立舍奉先生聖先師縟儀己畢緇帷載{門+戶}莘莘衿佩講禮敦學是以 彛倫明倫於上而敎化行於下矣降自叔季不復振作而鄕曲之間若有勳功德業卓越今古則慈孫追慕而薦祝之士林恊心而賛助之煥然文物蔚有可觀者猶驗一線遺風之未泯乎月城之李本東方著姓而上祖蘇判先生以羅代名臣有百世生民之澤諸孫之在梁蔚東之三邑有恊力同心出義捐金擇地於態上之周南里作講堂厨庖爲設享之擧而益慵齋兩先生以苗裔之賢有氣類之感欲幷 奉而爲列依滄洲故事用紙牌行事而議論己定工役方擧士林之居於近遠者莫不聞風而趍赴咸歎誠力之備至而共敦事禮之方便雖其孿如之孚有能動人者而好德之衷亦不可誣也嗟乎今去先生之世千有餘年而時世變遷載籍踈畧不得詳其萬一然盖其幽光潜德有積累之深故遺蔭餘慶有蕃衍之昌而兩先生又能光前届後文章德行輝映靑史宜其有一軆之典然物理相..

주강설단고유문(周岡設壇告由文) -모계(某溪) 김홍락(金鴻洛)

주강설단고유문(周岡設壇告由文) -모계 김홍락(某溪 金鴻洛) 益齋 先生(익재 선생) 顯久文忠麗代名臣功尊位重行高學純餘事文章冠于我東十年旄邱一片貞忠名動華夏皇倭惟崇知鑑孔昭屢感宸衷○源流長爰及圃翁睠彼宜萶枚屨攸經徃在玄○遠近殫誠營築堂宇潗潗告成倣古滄洲祗幣爲儀○之禮經久行未宜乃於今秋㪅築壇壝式薦明侑時日俱良洋洋如在對越耿光猗歟慵齋配享一堂式尊匪懈其永無窮 右益齋李先生 (상세해제) 고려말엽 문충공(文忠公)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 선생의 문장과 행덕(行德)에 대해 의령(宜寧)지방의 사림들이 단비(壇碑)를 건립하고 용재를 배향(配享)할 때의 고유문이다. http://www.ugyo.net/yk/hejNew/hejKisa.jsp?B_SUJI_ID=KSAC_M_A00600047&B_BOOK_ID=KSAC_T_A00600047_001&B_..

안동시사, 봉화군지, 경상도읍지, 영남읍지 (hwp, pdf파일)

안동시사, 봉화군지, 경상도읍지, 영남읍지 ○경주이씨(慶州李氏) 대사헌공(大司憲公) 이승직(李繩直) 계통 ●안동시사(安東市史) 성씨의 인물 【경주이씨(慶州李氏)】 ●봉화군사(奉化郡史) 경주이씨(慶州李氏) 인물 ⊙문과(文科) ⊙효자(孝子) ⊙사마司馬(생원生員·진사進士) ⊙충의(忠義), 열사(烈士) ⊙음사(蔭仕)·일천(逸薦) ⊙문학(文學) ○흥해배씨(興海裵氏) 백죽당(柏竹堂) 배상지(裵尙志) 계통 ○안동권씨(安東權氏) 진사(進士) 권작(權綽) 계통 ○봉화금씨(奉化琴氏) 현감(縣監) 금계(琴啓) 계통 ○여흥민씨(驪興閔氏) 민보해(閔甫諧) 계통 ○진성이씨(眞城李氏) 송재공(松齋公) 이우(李堣) 계통 ○동래정씨(東萊鄭氏) 참봉(參奉) 정목번(鄭穆蕃) 계통

삼구정(三龜亭)에서 외 2편 (한국문학세상 2019년 가을 겨울호)

삼구정(三龜亭)1)에서 1 이제민 풍산읍 소산리에 야트막한 언덕 지나가는 나그네 발길을 멈추게 하네. 연산군 때 노모를 위해 효심으로 김영전(金永銓) 형제들이 건립한 삼구정 정자(亭子) 앞뜰에 거북이 모양 세 개의 돌 거북이처럼 장수하고 돌처럼 단단해지라는 뜻이 담겼다네. 강과 산이 어우러진 풍광 솔향기 새소리 벗 삼아 풍류를 즐긴 명현들 사방이 탁 트인 돌혈(突穴)2)의 정상 현인들의 정신을 기리며 휴식처가 되었네. 1) 삼구정(三龜亭)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는 정자(亭子). 삼구정은 안동김씨 소산마을 입향조인 김삼근(金三近)의 손자 김영전(金永銓, 1439~1522)이 지례현감으로 있던 1495년(연산군 1)에 지은 것이다. 당시 김영전은 88세의 노모 예천권씨를 즐겁게 하려는 효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