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적지 유물/의성◆양산지역 7

경현당기(景賢堂記) 역문 -문소(聞韶) 김홍락(金鴻洛)

경현당기(景賢堂記) -문소 김홍락 찬(聞韶 金鴻洛 撰) 先王之政禮之敎大而象德尊賢尤爲勸善化俗之一道也故建學立舍奉先生聖先師縟儀己畢緇帷載{門+戶}莘莘衿佩講禮敦學是以 彛倫明倫於上而敎化行於下矣降自叔季不復振作而鄕曲之間若有勳功德業卓越今古則慈孫追慕而薦祝之士林恊心而賛助之煥然文物蔚有可觀者猶驗一線遺風之未泯乎月城之李本東方著姓而上祖蘇判先生以羅代名臣有百世生民之澤諸孫之在梁蔚東之三邑有恊力同心出義捐金擇地於態上之周南里作講堂厨庖爲設享之擧而益慵齋兩先生以苗裔之賢有氣類之感欲幷 奉而爲列依滄洲故事用紙牌行事而議論己定工役方擧士林之居於近遠者莫不聞風而趍赴咸歎誠力之備至而共敦事禮之方便雖其孿如之孚有能動人者而好德之衷亦不可誣也嗟乎今去先生之世千有餘年而時世變遷載籍踈畧不得詳其萬一然盖其幽光潜德有積累之深故遺蔭餘慶有蕃衍之昌而兩先生又能光前届後文章德行輝映靑史宜其有一軆之典然物理相..

주강설단고유문(周岡設壇告由文) -모계(某溪) 김홍락(金鴻洛)

주강설단고유문(周岡設壇告由文) -모계 김홍락(某溪 金鴻洛) 益齋 先生(익재 선생) 顯久文忠麗代名臣功尊位重行高學純餘事文章冠于我東十年旄邱一片貞忠名動華夏皇倭惟崇知鑑孔昭屢感宸衷○源流長爰及圃翁睠彼宜萶枚屨攸經徃在玄○遠近殫誠營築堂宇潗潗告成倣古滄洲祗幣爲儀○之禮經久行未宜乃於今秋㪅築壇壝式薦明侑時日俱良洋洋如在對越耿光猗歟慵齋配享一堂式尊匪懈其永無窮 右益齋李先生 (상세해제) 고려말엽 문충공(文忠公)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 선생의 문장과 행덕(行德)에 대해 의령(宜寧)지방의 사림들이 단비(壇碑)를 건립하고 용재를 배향(配享)할 때의 고유문이다. http://www.ugyo.net/yk/hejNew/hejKisa.jsp?B_SUJI_ID=KSAC_M_A00600047&B_BOOK_ID=KSAC_T_A00600047_001&B_..

[디지털양산문화대전] 주강정사(周岡精舍)

주강정사(周岡精舍) *디지털양산문화대전: http://www.grandculture.net/yangsan/toc/GC01400376 http://aks.ai/GC01400376 항목 ID : GC01400376 한자 : 周岡精舍 영어음역 : Jugangjeongsa 영어의미역 : Jugangjeongsa Shrine 이칭/별칭 : 주강단 분야 : 종교/유교, 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 유적/건물 지역 : 경상남도 양산시 주남동 653[주남마을3길 7-2]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 송봉구 [상세정보] 성격 : 재실 건립시기/일시 : 1920년 정면칸수 : 3칸 측면칸수 : 2칸 소재지 주소 : 경상남도 양산시 주남동 653[주남마을3길 7-2] 소유자 : 경주이씨 월성군파 주남문중 [정의] ..

경의재기(景義齋記) 역문 -영양(永陽) 이태용(李泰龍)

경의재기(景義齋記) 永陽(영양) 李泰龍(이태용) 撰 飛鳳之陽有曰長洞林壑淸而窈泉石佳而邃有蒼蒼淳古之氣洞之中李氏居焉其人亦然慕其先祖慵齋先生構一齋以扁之曰景義登斯齋也霽月登欄思先生之氣像淸風入戶思先生之膏衿高嶂嶄截思先生之節操長湖蕩漾思先生之文章無一物而不念一時而可忘顧先生世遠遠則易爲忘焉諸孫家貧貧則莫暇念焉純孝至誠之中無有所謂遠地貧也仍拓其荒址躬負其材瓦不一月而訖之爰作追遠興感之地也之偃臥於華堂錦茵之上其父祖之祠宇將類而不知繕境塋己壤而不知築者過此必顙泚而肚刺矣鳴乎先生以章爾之天姿以琴湖爲父訥齋爲弟佔畢爲師寒暄一蠹睡軒秋江爲友其官霜臺也灜閣也湖堂也淸標重望高於北斗乃至詩律鳴於中朝書畫驚於東便聲光播四海不幸値燕山戊午之禍令天下後世之善人高士長吁之痛哭之四百年而猶不己高風淸節之動人心有如是耶其蒞韶縣也移建儒宮丕振士風韶之人士至今誦之自琴溪之遷宅鏡光之撤院人無以依憑以想像焉天使來住韶..

경의재상량문(景義齋上樑文) 역문 -속함(速咸) 박세환(朴世煥)

경의재상량문(經義齋上樑文) 速咸(속함) 朴世煥(박세환) 捨生而就忠義先哲允執之正貞設所而寓羹墻後人景慕之彌篤 爰拓一區泉石載剏數楹室堂恭惟慵齋李先生內趨琴爺禮詩外受畢老衣鉢 貌容端雅藹藹然淸水芙蓉志操瀅澄晶晶乎氷壺秋月 道義交友與寒暄一蠹濯纓秋江忘軒而以死許同科目出身歷正言吏郞校理修撰舍人而盡衷爭諫 書畵則倭使亦稱寶律詩則上國皆誦名 肺鐫嚴庭之遺望紳佩慈闈之至戎 痛功寧越往事登山望陵而涕淚沛流出爲聞韶使君擇地移校而絃誦與蔚 史禍之始逮黑山而色愉刑戮之時顧首陽而聲厲 訥齋翁畧備善狀之草文忠公特撰黨籍之冤 中廟朝昭雪復官 肅宗朝加崇贈爵 卓彼鏡光之院雖己妥靈惟兹長湖之堧尙未祭社 當日治化未沫於四百年之餘後昆奠基亦爲其六七代之久 本黨鬰㧕而飲恨鄕人點指而興嗟 乃詢謀于合宗遂收議于多士 鳩材齋作趍天時於葽莠之辰龜墨周諏回地運於風聚之隝 都科殫巧雲窓月戶之隨宣耶許董工審斧電斤之胥勉 烈氣與..

[디지털의성문화대전] 이종준(李宗準), 경의재(景義齋)

[디지털의성문화대전] 이종준(李宗準), 경의재(景義齋) *디지털의성문화대전: http://www.grandculture.net/uiseong/toc/GC05200869 http://aks.ai/GC05200869 한자 : 李宗準 이칭/별칭 : 중균(仲勻), 용재(慵齋), 용헌(慵軒), 부휴자(浮休子), 상우당(尙友堂), 태정 일씨(太庭 逸氏), 장육거사(藏六居士) 분야 : 역사/전통 시대, 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 인물/문무 관인 지역 : 경상북도 의성군 시대 :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 이광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 1458년 - 이종준 출생 활동 시기/일시 : 1477년 - 이종준 생원시에 급제 활동 시기/일시 : 1485년 - 이종준 문과 알성시에 급제 활동 시기/일시 :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