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이씨 안내/경주이씨◇소개 11

[한국인의 족보] 경주이씨(慶州李氏) 가문의 유래

[한국인의 족보] 경주이씨(慶州李氏) 가문의 유래 [관향의 연혁] 경주(慶州)는 경상북도(慶尙北道) 남동부(南東部)에 위치한 지명(地名)으로 기원전 57년 이곳에 6촌(六村)이 연합하여 고대국가(古代國家)를 형성, 국호(國號)를 서라벌(徐羅伐)․ 사로(斯盧)․ 사라(斯羅)로 하고, 수도(首都)를 금성(金城)이라 하였으나 수도명과 국명(國名)을 동일시하였다. 서기 65년(탈해왕 9) 시림(始林)에서 김씨(金氏)의 시조(始祖)가 탄생하여 국호(國號)를 계림(鷄林)으로 칭하기도 하였으나 별칭으로 사용하였으며, 307년(기림왕 10)에 최초로 국호를 신라(新羅)로 하였고, 935년(태조 18) 신라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敬順王)이 손위(遜位)하자 처음으로 경주(慶州)라는 명칭이 생겼다. 987년(성종 6) 동경..

경주이씨 사이트 모음

경주이씨(慶州李氏) 사이트 모음 ◎경주이씨 중앙화수회 :: http://gjlee.org *경주이씨 소식, 유래, 업적, 인물검색 제공 ◎전통의 명문 경주이씨 종친회 :: https://cafe.daum.net/kungjulee *경주이씨 종친회, 이알평, 익재 이제현, 백사 이항복 오성, 상서공, 국당공, 족보, 추석 차례 등 ◎경주이씨 중앙 청.장년 화수회 :: https://cafe.daum.net/bbb418. ◎경주이씨 전북 청 장년회 :: https://cafe.daum.net/kjjb3012 ◎경주이씨 울산 :: https://cafe.daum.net/kyoungjooleeulsan ◎경주(慶州-月城)이씨 :: https://lrrock5050.tistory.com *녹전 이이록 - 경주이씨..

경주이씨 항렬제차(慶州李氏 行列第次)

경주이씨 항렬제차(慶州李氏 行列第次) [항렬자 35~70世] 대동항렬(중시조 1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44세 ○榮 圭○ 鍾○ ○雨 相○ ○熙·炯 在○ ○鎬鍵 濟·濬○ ○東 영화영 홀규 쇠북종 비우 서로상 빛날희 빛날형 있을재 빛날호 자물쇠건 건널제 깊을준 동녘동 45세 46세 47세 48세 49세 50세 51세 52세 53세 54세 丙·心○ ○敎·世 鎭○ ○求 根○ ○燮 埈○ ○善 泰○ ○模 남쪽병 마음심 가르칠교 인간세 진정할진 구할구 뿌리근 불꽃섭 높을준 착할선 클태 범모 55세 56세 57세 58세 59세 60세 61세 62세 63세 64세 炫○ ○均 鎔○ ○淳 秉○ ○炅·杰 基○ ○鈺 洛·永○ ○植 밝을현 고를균 녹일용 맑을순 잡을병 빛날경 호걸걸 터..

경주이씨(慶州李氏) 시조, 중시조~12세까지 내용

경주이씨(慶州李氏) 시조, 중시조~12세까지 내용시조(始祖) 표암공(瓢巖公) 이알평(李謁平) 경주이씨(慶州李氏) 시조는 이알평(李謁平)으로 신라의 좌명공신(佐命功臣)이었다. 경주이씨 대종보(大宗譜) 상계편에 박혁거세(朴赫居世) 때 아찬(阿粲)에 올랐고, 32년(유리왕 9) 양산촌(楊山村) 이씨(李氏)로 사성(賜姓) 받았다고 한다. 536년(법흥왕 23)에 문선공(文宣公)으로 시호(諡號)를 받았고 656년(무열왕 3)에 은열왕(恩烈王)으로 추봉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계대(繼代)를 실전하여 목은(牧隱) 이색(李穡)이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묘지(墓誌)를 쓸 때 원대손(遠代孫)인, 신라 때 소판(蘇判) 벼슬을 지낸 이거명(李居明) 이후의 세계를 적은 것이 연유가 되어 그가 중조(中祖)가 되었다.중시조(..

경주이씨 주요 인물

경주이씨 주요 인물 이(ㄱ)이(ㄴ~ㅂ)이(ㅅ)이갑성(李甲成)1889~1981. 일제강점기 민족대표 33인 중의 한 사람으로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독립운동가. 호는 연당(硏堂). 1919년 최연소자로 청년층을 대표하여 3·1운동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민족독립선언서에 서명. 독립촉성국민회(獨立促成國民會) 회장. 제2대 민의원에 당선. 국민회(國民會)의 최고위원에 추대. 자유당 최고위원에 임명. 33인유족회장·국산부흥회장. 건국훈장 대통령장.이개립(李介立)1544(중종 39)~1625(인조 2). 조선시대 임진왜란, 정유재란 당시의 의병장. 자는 대중(大中 혹은 大仲), 호는 성오당(省吾堂)·역봉(櫟峰). 대호군(大護軍) 이욱(李昱)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부호군(副護軍) 이선동(李善童)이다. 아버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