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인물 (二)/이물민◇이미민 8

[주부공 이물민] [문과] 세종(世宗) 26년(1444) 갑자(甲子) 식년시(式年試) 정과(丁科) 14위(24/33)

이물민(李勿敏) *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의 5세손 [문과] 세종(世宗) 26년(1444) 갑자(甲子) 식년시(式年試) 정과(丁科) 14위(24/33) [인물요약] 본인본관: 경주(慶州)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선발인원: 33명 [乙3‧丙7‧丁23] 전력: 생원(生員) 관직: 한림(翰林) 관직: 주부(主簿) [가족..

[성종실록] 의금부에 전지하여 이미민·박맹우·탁윤신 등을 놓아 보내게 하다

성종실록 18권, 성종 3년 5월 24일 경신 3번째기사 1472년 명 성화(成化) 8년 의금부에 전지하여 이미민·박맹우·탁윤신 등을 놓아 보내게 하다 ○傳旨義禁府, 扶餘永屬亂臣李命敏弟李靡敏、永同安置亂臣朴季男兄朴孟愚、光州安置亂臣卓繼然姪卓閏新、驪州付處亂臣尹處恭弟尹處信、義..

[세조실록] 의금부에 안치한 강윤 등을 옮겨 안치하고 김우 등은 방면토록 하다

세조실록 11권, 세조 4년 2월 2일 신묘 3번째기사 1458년 명 천순(天順) 2년 의금부에 안치한 강윤 등을 옮겨 안치하고 김우 등은 방면토록 하다 ○傳旨義禁府曰: "安置人姜胤、尹瑭、鄭錫祚、崔烈、金自埥、尹泳、朴金孫、金泳德、金無迪、金明察、安扔、趙頓逸、閔然、趙禮宗、洪守謙..

[세종실록] 춘추관에서 《고려사》 개찬에 대해 논의하다

세종실록 123권, 세종 31년 2월 5일 병진 3번째기사 1449년 명 정통(正統) 14년 춘추관에서 《고려사》 개찬에 대해 논의하다 ○春秋館議改撰《高麗史》, 議論不一。 史官辛碩祖、崔恒、朴彭年、李石亨、金禮蒙、河緯地、梁誠之、柳誠源、李孝長、李文炯議曰: "作史之體, 必有紀傳表志, ..

[세종실록] 예문 봉교 이물민 등이 불당 역사 명령을 회수할 것을 상소하다

세종실록 121권, 세종 30년 7월 24일 무신 4번째기사 1448년 명 정통(正統) 13년 예문 봉교 이물민 등이 불당 역사 명령을 회수할 것을 상소하다 ○藝文奉敎李勿敏等上疏曰: 近日佛堂之役, 關國家治亂存亡之機, 擧國臣僚痛心刻骨, 連章合辭, 據太宗闢佛之訓, 陳歷代佞佛之禍, 盡言極諫, 皇皇栖..

이미민 가계도(李靡敏 家系圖)

월성군 5세손 이미민(李靡敏)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③대사헌공(大司憲公) 승직(繩直) → 5世孫 ④미민(靡敏)이미민 가계도(李靡敏 家系圖) 花軒公 吏曹判書 李蔓實(화헌공 이조판서 이만실) ═ 貞敬夫人(정경부인) 鐡城李氏 監司 李濬(감사 이준)의 女  ├鷄川君 文科 郡守 李從直(계천군 문과 군수 이종직)  ├判事公 文科 禮曹判書 李良直(판사공 문과 예조판서 이양직)  ├大司憲公 文科 慶尙道觀察使 李繩直(대사헌공 문과 경상도관찰사 이승직)  │ ||  │延安李氏(연안이씨) 都監正郞 贈職戶曹判書 李亮(도감정랑 증직호조판서 이량)의 女  │ ||..

주부공 이물민 가계도(主簿公 李勿敏 家系圖)

월성군 5세손 주부공(主簿公) 이물민(李勿敏)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③대사헌공(大司憲公) 승직(繩直) → 5世孫 ③주부공(主簿公) 물민(勿敏) ○세종갑자(世宗甲子)에 문과(文科), 주부(主簿).○配는 연안김씨(延安金氏).*출처: 1987년 경주이씨(慶州李氏) 대종보(大宗譜)   ●[문과] 세종(世宗) 26년(1444) 갑자(甲子) 식년시(式年試) 정과(丁科) 14위(24/33) *https://yongjaegong.tistory.com/1343주부공 이물민 가계도(主簿公 李勿敏 家系圖) 花軒公 吏曹判書 李蔓實(화헌공 이조판서 이만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