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인물 (一)/계천군◆이종직 10

通訓大夫醴泉郡事西坡先生安公墓碣銘 幷序

通訓大夫醴泉郡事西坡先生安公墓碣銘 幷序 晦軒夫子。倡道東方。嘉惠後學。仁深而德厚。源遠而流長。子孫至六七世而金玉滿朝。卿相布列。有若西坡先生諱理以。晦軒之孫。獨以盛滿爲戒。胎屣名利歸梓鄕。時則端廟遜矣。獨抱幽貞超然自靖。其義與六臣不甚相遠。其後孫克軆祖訓。世世業儒。不求聞達貤爵之典。不及於泉壤俎豆之儀。亦毁於一時。則今於四百年之後。何能想傷其潛光隱德之萬一哉後孫宗熙敎煥敎德等。方營改碣訪余。囑以顯刻詩。自顧廢蟄絶筆久矣。而均是爲先竊有所感於心者。謹按而敍之。安氏系出順興。文成公晦軒夫子爲六世祖。五世祖諱于器。順平君。文順公。號屋子。高祖諱牧。順興君。文淑公。號謙齋。曾祖諱元崇、順成君。文惠公。祖諱瑷。刑曹典書謚景質。考諱宗約。海州牧使贈吏曹判書。妣貞夫人東萊鄭氏。蓬原府原君良度公諱良女。癸酉。先生生于瑞原舊第。風儀俊偉字量宏深。伯仲兩兄俱登貴顯。獨不樂仕進。杜門讀書。以探賾蘊奧爲務。..

서파(西坡) 안리(安理) 묘갈명병서(墓碣銘幷序)

西坡 安理 墓碣銘幷序 晦軒夫子 倡道東方 嘉惠後昆 仁深而德厚 源遠而流長 子孫至六七世 而金玉滿朝 卿相布列 先生獨以盛滿之戒 脫屣名利 歸臥梓鄕 聿修大祖之遺緖 永奠儒家之基業 蔚爲一代之矜式 百世之模範 時則端廟遜位矣 獨抱幽貞 而超然自靖於深山草樹之間 其義與六忠之成仁 錦城之殺身 不甚相遠矣 其後孫僻在嶺外 克軆迺祖之訓 世世業儒 不求聞達 貽爵之典 不及於泉壤 俎豆之儀 亦毁於一時 則今於四百年之後 何能想象其潛光隱德之萬一哉 後孫宗熙敎煥敎悳等 方營改碣 以其先祖大君師傅順原君之狀 訪余於曉山樵舍 屬以顯刻詩 自顧廢蟄絶筆 久矣 而均是爲先 竊有所感於心者 謹按狀而叙之 先生諱理 西坡其號也 安氏系出順興 文成公晦軒夫子爲六世祖 五世祖諱于器 順平君文順公 號竹屋子 高祖諱牧 順興君文淑公 號謙齋 曾祖諱元崇順成君文惠公 祖諱瑗刑曹典書 恭愍壬申 言事忤旨而流 外入我朝..

[세종실록] 사헌부에서 비리를 저지른 지양근군사 이종직에 대한 치죄를 건의하다

세종실록 40권, 세종 10년 4월 7일 기미 2번째기사 1428년 명 선덕(宣德) 3년 사헌부에서 비리를 저지른 지양근군사 이종직에 대한 치죄를 건의하다 ○司憲府啓: "知楊根郡事李從直, 多養蜂蜜, 典守者若耗一升, 徵米一斗, 以抑賣民間, 又私用還上剩穀, 又打孕婦墜胎。 請杖一百、刺字。" 命除刺字。 사헌부에서 계하기를, "지양근군사(知楊根郡事) 이종직(李從直)이 꿀벌을 많이 기르면서, 맡아 지키는 자가 만약 꿀 한 되를 소모하면 쌀 한 말을 징수하도록 하여 민간에 강제로 팔았으며, 또 환자곡[還上穀]의 남은 곡식을 사용(私用)하였고, 또 임신한 부녀자를 구타하여 낙태하게 하였습니다. 청컨대 장 1백에, 자자(刺字)에 처하게 하소서." 하니, 자자는 면제하라고 명하였다. 【태백산사고본】 13책 40권 1장 B..

[세종실록] 안국이 이종직을 고소한 것은 과죄하고 이종직의 아들이 안국을 고소한 것은 물리치라고 명하다

세종실록 39권, 세종 10년 3월 19일 신축 4번째기사 1428년 명 선덕(宣德) 3년 안국이 이종직을 고소한 것은 과죄하고 이종직의 아들이 안국을 고소한 것은 물리치라고 명하다 ○楊根敎導安國, 訴知郡事李從直不法事于監司及憲府, 從直之子, 亦訴安國犯法事。 憲府具國與從直罪, 請照律, 上曰: "從直則將按律科罪, 國則從直之子怨其告父而訴之, 例不當聽理。 立法之時, 大司憲適在外, 不知而誤啓, 其改之。" 양근(楊根)의 교도(敎導) 안국(安國)이 지군사(知郡事) 이종직(李從直)의 법에 어그러진 일을 감사(監司)와 헌부(憲府)에 고소(告訴)하고, 종직(從直)의 아들도 또한 안국이 법을 범한 일을 고소(告訴)하므로, 헌부(憲府)에서 안국과 이종직의 죄를 형률에 의거할 것을 청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이종직은 장차 형..

[세종실록] 풍천 들에서 몰이하고 저녁에 삼기에 이르러 머무르다

세종실록 34권, 세종 8년 10월 8일 무진 1번째기사 1426년 명 선덕(宣德) 1년 풍천 들에서 몰이하고 저녁에 삼기에 이르러 머무르다 ○戊辰/驅楓川平, 至蘆田還, 晝停于楓川, 京畿監司趙賚來謁。 賜江原道監司鄭孝文、都事文承祚衣各一領。 夕次于三歧, 府使李從直來謁。 分賜隨駕宗親駙馬及宰樞六代言酒殽, 下逮軍士, 以至賤者。 풍천(楓川) 들에서 몰이하고 노전(蘆田)에 이르렀다가 돌아왔다. 낮참에 풍천에서 머무르니, 경기 감사(京畿監司) 조뇌(趙賚)가 와서 뵈었다. 강원도 감사 정효문(鄭孝文)과 도사(都事) 문승조(文承祚)에게 각각 옷 한 벌씩을 하사(下賜)하였다. 저녁에 삼기(三岐)에 이르러 머무르니, 부사(府使) 이종직(李從直)이 와서 뵈었다. 어가(御駕)를 따르는 종친과 부마(駙馬) 및 재추(宰樞)·대언(代..

[태종실록] 대가가 순성에 이르다. 홍주 목사 우홍강 등이 알현하니, 찰방 전흥의 죄를 청하다

태종실록 31권, 태종 16년 2월 11일 갑술 1번째기사 1416년 명 영락(永樂) 14년 대가가 순성에 이르다. 홍주 목사 우홍강 등이 알현하니, 찰방 전흥의 죄를 청하다 ○甲戌/駕至蓴城, 洪州牧使禹洪康、判官李從直謁見于行宮。 察訪田興等請犯令越境之罪, 原之。 대가(大鴐)가 순성(蓴城)에 이르렀다. 홍주 목사(洪州牧使) 우홍강(禹洪康)과 판관(判官) 이종직(李從直)이 행궁(行宮)에 알현(謁見)하매, 찰방(察訪) 전홍(田興) 등이 영(令)을 범하고 월경(越境)한 죄를 청하였으나 용서하였다. 【태백산사고본】 14책 31권 12장 A면 【국편영인본】 2책 103면 【분류】 왕실-행행(行幸) *국사편찬위원회: http://sillok.history.go.kr/id/kca_11602011_001

계천군 이종직 가계도(鷄川君 李從直 家系圖)

월성군 4세손 계천군(鷄川君) 이종직(李從直)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①계천군(鷄川君) 종직(從直) ○세종조(世宗朝) 문과관지(文科官至) 군수(郡守) 증판윤(贈判尹), 계천군(鷄川君). ○전북 부안군(扶安郡) 동진면(東津面) 당하리(堂下里) 진양서원(津陽書院) 배향(配享).○配는 풍양조씨(豐壤趙氏) 도평의(都評議) 숭(崇)의 女.*출처: 1987년 경주이씨(慶州李氏) 대종보(大宗譜)  계천군 이종직 가계도(鷄川君 李從直 家系圖) 判司僕寺事公 李元林(판사복시사공 이원림)  ||義城金氏(의성김씨) 左司尹 金台權(좌사윤 김태권)의 女    ├花軒..

계천군(鷄川君) 이종직(李從直)

계천군(鷄川君) 이종직(李從直) ○세종조(世宗朝) 문과관지(文科官至) 군수(郡守) 증판윤(贈判尹), 계천군(鷄川君). ○전북 부안군(扶安郡) 동진면(東津面) 당하리(堂下里) 진양서원(津陽書院) 배향(配享). ○配는 풍양조씨(豐壤趙氏) 도평의(都評議) 숭(崇)의 女. *출처: 1987년 경주이씨(慶州李氏) 대종보(大宗譜) *참고: 서파(西坡) 안리(安理) -계천군鷄川君) 이종직(李從直)의 사위[婿] ○西紀一三九三年癸酉生 號西坡又號樂園不樂仕進累徵不赴外補宜寧翌年道伯以治蹟褒陞醴泉郡事端宗遜位投紱歸鄕卜居府南大龍山篤志牢隱逍遙終老遺命子孫勿仕 ○墓大龍山桂谷子坐有碑族孫應昌撰行狀 ○甲戌後孫宗熙敎煥敎悳等改立烏石碑燭臺石外裔孫曉岩李中轍撰碣海觀尹用求書見總錄享龍淵祠 ○配淑人慶州李氏 父郡守鷄川君從直祖大護軍蔓實曾祖判司僕寺事元琳月城君秀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