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록리사(柏麓里社) 백록리사(柏麓里社)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해저리(송내마을) 조선시대 유적.건조물-묘 유적설명 교리(校理) 용재(慵齋) 이종준(李宗準), 진사(進士) 눌재(訥齋) 이홍준(李弘準), 대사간(大司諫) 문봉(文峰) 정유일(鄭惟一), 참봉(參奉) 매헌(梅軒) 홍준형(洪俊亨), 관찰사(觀使) 팔오헌(八.. 유적지 유물/봉화지역◇유적 2019.01.20
[기획광고]한국정신문화의 원류, 서원을 찾아서 [기획광고]한국정신문화의 원류, 서원을 찾아서 정신문화의 1번지, 안동의 서원……경광서원(鏡光書院) 대경일보 승인 2018.04.05 20:17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는 마을의 지세가 거문고처럼 생겼다고 하여 금지(琴地)라고 불리다가 김성일이 옮겨와 검제로 고치고 한자로는 금계(金溪)라고 했.. 유적지 유물/안동지역◇유적 2019.01.19
[기획특집]한국정신문화의 원류, 서원을 찾아서 [기획특집]한국정신문화의 원류, 서원을 찾아서 허경태 기자 승인 2018.01.24 20:25 ▲ 경광서원 전경 ◇기획시리즈를 다시 연재하며 안동은 유교의 본향으로 일컬어지는 영남의 중심지역으로 예로부터 유교문화의 본산지로 주목받아 왔다. 이 때문에 조선시대에 유교적 학문과 이념을 재생.. 유적지 유물/안동지역◇유적 2019.01.19
송소권선생이안시고유문(松巢權先生移安時告由文) -눌은(訥隱) 이광정(李光庭) [訥隱集] 松巢權先生移安時告由文 -눌은(訥隱) 이광정(李光庭) 文爲世師。行是後式。俎豆伊社。卽近遺馥。扼以邦禁。斯文運極。則謀移奉。奄見朔易。多士遑遑。載懼不克。睠玆鏡院。三賢攸宅。敻世遺芬。一室亦樂。烝我髦士。奉櫝齊遫。今焉啓道。敢用虔告。 ⓒ 한국고전번역원.. 유적지 유물/안동지역◇유적 2019.01.18
제경광서당권문후(題鏡光書堂勸文後) -松巖(송암) 權好文(권호문) [松巖集] 題鏡光書堂勸文後 -松巖(송암) 權好文(권호문) 蒼壁山阿古寺基,改營書舍好相期。 鳩材可是千家補,築力休令一簣虧。 嶽麓冠襟懷俊士,武夷絃誦仰賢師。 臨溪共闢藏修地,永使兒孫勉學知。 *ⓒ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 2015 *출처: 고전원문 > 송암집 > 松巖集 卷二 >.. 유적지 유물/안동지역◇유적 2019.01.18
경광서당기(鏡光書堂記) -松巖(송암) 權好文(권호문) [松巖集] 鏡光書堂記 -松巖(송암) 權好文(권호문) 永嘉。嶺表之儒藪。俗尙敎育。家習絃誦。文風盛也。自近歲。士類愈奮勵。慕家塾黨庠之制。爭建隸業之所。此崇學之端也。隆慶三年。士人南君衝,權君德潤氏。乃就辛上舍乃沃謀曰。吾輩雖遲暮。孺子可敎。其可無藏修之室耶。乃.. 유적지 유물/안동지역◇유적 2019.01.18
경광서원(鏡光書院) 권송소복향봉안문(權松巢復享奉安文), 상향축(常享祝)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鏡光書院 權松巢復享奉安文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資稟耿介,操履淸潔。雪立陶山,澤麗川月。凋華就實,功在博約。暫應弓旌,旋樂衡泌。山林道長,逸駕天奪。士慕冞深,爰議廟食。移自溪塾,三賢並腏。朝有令甲,限年毁撤。事異跡混,一體無別。多士籲冤,容臺行牒。事.. 유적지 유물/안동지역◇유적 2019.01.17
경광서원삼현청증소(鏡光書院三贒請贈疏) -경옥(景玉) 이보(李簠) 鏡光書院三贒請贈疏 -경옥(景玉) 이보(李簠) 㐲以。崇奬節義。乃激世勵俗之方。洗滌幽枉。實顯忠 尙贒之道。是以。古之明君。莫不以此爲重。雖在百年 之久遠。而必循不泯之公論。如有不事二君。能全節 義。則追加襃美之典。遭時罔極。贒良罹禍。則亦渙曠 蕩之恩。斯豈非扶植綱.. 유적지 유물/안동지역◇유적 2019.01.17
승정원회계(承政院回啓) - 이만원(李萬元) 승정원회계(承政院回啓) - 이만원(李萬元) 배상지는 고려 말에 전대의 왕조에 대한 의리를 지켜서 벼슬을 버리고 향리로 돌아갔습니다. 주서(注書) 길재와 함께 주고받은 시편이 지금까지 남아 전하고 있으니, 이 2인이 뜻을 같이하고 도로써 합하였음을 볼 수 있습니다. 선정신 류성룡의 .. 유적지 유물/안동지역◇유적 2019.01.17
경광서원상량문(鏡光書院上梁文) -나재(懶齋) 신열도(申悅道) 鏡光書院上梁文 -나재(懶齋) 신열도(申悅道) 先賢設敎於人。旣垂啓佑之範。後學宜祭於社。敢稽崇報之方。忽見棟宇之翬飛。爭騰衿佩之燕賀。粤惟永嘉之雄府。實是鄒魯於吾東。水麗山明。幾多英豪孕育。風淳俗美。素稱賢才蔚興。恭惟慵齋李公。節槩眞淸。文章大雅。騰望實於朝.. 유적지 유물/안동지역◇유적 2019.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