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624

만오일고(晩悟逸稿) -만오공(晩悟公) 이상현(李相鉉) 서지, 해제

만오일고(晩悟逸稿) -만오공 이상현(晩悟公 李相鉉) 서지사항 서지내용 서명: 만오공일고(晩悟公逸稿) 저자: 성명 이상현(李相鉉), 자 성임(聖任), 호 만오(晩悟) 판사항: 石印本 발행년: 1912 권수: 2 책크기: 29.7×20㎝ 사부분류: 별집류 해제 『만오일고』는 이상현(李相鉉 ; 1817~1895)의 시문집이다. 이상현의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성임(聖任), 호는 만오(晩悟), 아버지는 주호(周顥)이며, 어머니는 의성 김씨로 양후(養厚)의 딸이다. 과장(科場)에 운이 없어 귀향하여 전원생활에 전념하면서 후진을 양성하였다. 족보를 찬수(撰修)하면서 향리의 미풍양속 진작에 힘썼다. 이 책은 2권 1책, 석인본이며, 증손 준호(俊鎬)·성호(成鎬) 등이 편집, 간행하였으며, 간행연도는 미상이다. 권..

만오공(晩悟公) 이상현(李相鉉) 가계도(家系圖)

용재공 12세손 만오공(晩悟公) 이상현(李相鉉) 【계대(系代)】 ②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 1世孫 系子 천유당공(天有堂公) 덕연(德淵) → 2世孫 ①참봉공(參奉公) 윤공(胤恭) → 3世孫 ①천사공(川沙公) 환(煥) → 4世孫 금역당공(琴易堂公) 복창(復昌) → 5世孫 ②통정공(通政公) 의달(義達) → 6世孫 ④춘식(春植) → 7世孫 系子 예석(禮錫) → 8世孫 삼우(三友) → 9世孫 ②제권(悌權) → 10世孫 ①광진(光震) → 11世孫 주호(周顥) → 12世孫 만오공(晩悟公) 상현(相鉉) ○1817년(순조 17) 2월 22일∼1895년(고종 32) 2월 17일. 字는 성임(聖任), 號는 만오(晩悟). 천풍(天風)이 영록하고 기향(氣向)이 후중(厚重)하며 일찍 학문(學文)에 전심(專心)하니 성취..

[訥齋遺稿] [附錄] 附察訪公碣陰銘[幷序] (退溪李滉) <국역>

눌재유고(訥齋遺稿) / 附錄 附察訪公碣陰銘[幷序] (退溪李滉) 公諱德璋。字慶簿。慶州人。新羅始祖赫居世佐命大臣謁平之後。曾祖繩直。大司憲。祖時敏。生員。考弘準。進士。公生於成化壬寅十二月十九日。少習擧業。嘗屢擧於鄕試。禮部不中。蔭補黃山道察訪。嘉靖癸未。丁外艱。服闋。爲家貧親老。求再遂祿仕計。勉赴京師。明年四月二十七日。遇病不起。享年四十二。癸未十二月十七日。葬于皆丹縣雲峯山艮坐坤向之原。公自少軒輊尙氣。不肯齷齪庸流中。其在京師日。嘗草疏。欲陳時事。已而。戒出位而止。敎子弟甚嚴。鄕里後生。亦加勸督。不以生産作業爲務。嘗稱貸以自給。公配曰豐山柳氏。進士子溫之女。工曹典書從惠之後。成化癸卯十二月二十日生。稟性閒靜。平居無疾言遽色。公歿。家益窮。猶不聽家人之歎貧曰。吾分止是。何恨焉。其訓子。以爲寧受凍餒。不可取不義之物。睦族交隣。盡心無慊。或拔貧以周急。又未嘗虛受人饋。族人有以祀事見..

[訥齋遺稿] [附錄] 畏影堂題詠 (松齋李堣) <국역>

눌재유고(訥齋遺稿) / 附錄 畏影堂題詠 (松齋李堣) 有我卽有形。影分形爲兩。陰陽遞隱見。動靜不相放。日用百爲多。一一輒效倣。臨之在左右。黶然難可罔。所愼豈止獨。屋漏猶晃朗。顧爾心惕若。內省而存養。我語爾默識。我身爾虛象。周旋一堂中。終日吾所仰。 *출처: 용눌재집(慵訥齋集) > 訥齋先生遺稿 > 附錄 *참고: 송재집(松齋集)에는 屋漏猶朗晃。→屋漏猶晃朗。로 되어 있음. * ⓒ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 1988 *참조: 한국문집총간 > 송재집 > 松齋集卷之二 > 歸田錄 > 畏影堂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O_0096A_0030_010_0010_2003_A017_XML ◈송재집(松齋集)은 송재(松齋) 이우(李堣)의 文集이다. ○이우(李堣) 1469년(예종 1)~1517년(..

[訥齋遺稿] [附錄] 金溪洞誌畧 <국역>

눌재유고(訥齋遺稿) / 附錄 金溪洞誌畧 李弘準。字君式。慵齋弟中進士。戊午禍。你挈家遯跡于。北之川城。漠然無意於世。監司以才。行薦稱疾。不出因時弊。上便宜。封事減任縣。封進之苦嘗以一部家禮。爲平生制。行之師申藍田遺規。丕變漁獵之。俗以成就。後進至今川城。彬彬多文學之士後。人因所居。畏影堂祀公及。慵齋戊辰毁撤。 *출처: 용눌재집(慵訥齋集) > 訥齋先生遺稿 > 附錄 『금계동지』를 요약함[金溪洞誌略] 이홍준李弘準의 자는 군식君式이니, 용재慵齋의 아우이다.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무오년(1498)의 화가 일어나자 가족을 이끌고 부 북쪽의 천성(영주)으로 자취를 감추어 세상에 전혀 뜻이 없었다. 감사가 재주와 행실로써 천거하였으나 병을 핑계하고 나가지 않았고, 이를 계기로 당시의 폐단에 대하여 편의봉사便宜封事(규정에 매이지 않고 쓴 밀봉한 상..

[訥齋遺稿] [附錄] 廟宇上梁文 (典籍李尙彦) <국역>

눌재유고(訥齋遺稿) / 附錄 廟宇上梁文 (典籍李尙彦) 吾將安倣。仰高山而感情。道之所存。瞻靈宇而拭目。聯一家之俎豆。樹百世之風聲。地偏嶺南一頭。縣僻府北三面。居民朴略。徒有枝鹿之餘風。人物眇然。久寂山林之高義。不緣君子之至此。那使吾黨而有今。儒林接武而興。蓋由啓發之力。俗尙以文爲業。實籍變化之功。肆篤愛悅之誠。乃講尊奉之典。 恭惟我慵齋李先生。薄雲豪氣。瑞世奇姿。早歲得師而提撕。三絶餘事。畢竟齊名於李杜。一死猶光。 訥齋李先生。淸白故家。孝友至性。一部家禮。寔平生制行之師。二字名堂。揭晩節全身之範。 文峯鄭先生。成此宅相。有若天資。玩樂齋前。妙契誠正之旨。聳動朝右。深究本末之論。 猗歟三哲之挺生。豈非一代之豪傑。慨園林之荒茀。久父老之傷嗟。白石晴川。分明釣遊之淸境。吟猿飛鶴。彷彿倘來之英靈。竊稽古人之尊賢。多於鄕里而建廟。張杓之祀茂叔。必就遺墟而立祠。韓愈之送巨源。亦以祭社而爲祝..

[訥齋遺稿] [附錄] 柏麓里社常享祝文 <국역>

눌재유고(訥齋遺稿) / 附錄 柏麓里社常享祝文 行箸鄕邦。俗變文明。景仰遺風。永世椒馨 *용눌재집(慵訥齋集) > 訥齋先生遺稿 > 附錄 栢麓里社常享祝文(백록리사상향축문) 天分之高。筆翰之逸。道消名流。遺芳益烈。 右慵齋先生 位 行著鄕邦。俗變文明。景仰遺風。永世椒馨。 右訥齋先生 位 ⓒ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 1988 *한국문집총간 > 용재유고 > 慵齋先生遺稿 附訥齋遺稿 / 附錄 > 鏡光記事 > 柏麓常享祝文 *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O_0087A_0030_040_0110_2003_A016_XML 백록리사 상향 축문栢麓里社常享祝文 타고난 자질 높고 天分之高 문필이 뛰어났도다 筆翰之逸 도가 쇠퇴해도 이름 전해져道消名流 남긴 향기 더욱 짙도다 遺芳益烈 행실이 고장..

[訥齋遺稿] [附錄] 墓碣陰記 <국역>

눌재유고(訥齋遺稿) / 附錄 墓碣陰記(묘갈음기) –臥隱 金翰東(와은 김한동) 嗚呼此訥齋李先生之墓也。 先生諱弘準字君式。 月城人。 中成化丙午司馬。 慵齋先生之弟。 自金溪移寓 乃城縣。 戊午禍後。 不復以進取爲心。 杜門求志。 奬勸 後學。 依藍田約設鄕規。 縣風丕變。 縣爲君子。 鄕先生 之力也。 縣人追慕之。 與慵齋先生幷享于柏麓里社。 墓在乃城北銀峯東西。 向之原墓。 前有短碣。 只刻先 生所著。 碣銘陰記。 剝落殆盡。 先生平日行蹟。 無以徵 焉。 雖甚可恨。 然觀於家訓及碣銘。 可以見先生之大 略。 奚多乎哉。 舊碣旣虧缺。 外裔諸孫。 相與經紀。 鑱石 改竪。 主其事者。 成宗魯權思訥也。 追刻自著碣陰略 記。 子孫於後先生配咸昌金氏主簿諟敬之女。 觀察使爾音之玄孫。 生一男五女。 男德璋黃山道察訪。 女 適李希侗生員。 余漢瑾 琴椅。 府使鄭穆蕃。 參奉李麟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