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인물 (二) 296

[산림경제(山林經濟)] 신선태을자금단방(神仙太乙紫金丹方)

神仙太乙紫金丹方 唐陳自明。宋李迅實。皆名神仙退毒元。又名聖援丹。又名神仙解毒萬病元。大明涵虛子臞仙。謂之玉樞丹。止謙道人王應椅。作今名 山茨菰。去皮淨焙二兩 本草云。山茨箭菰根。有小毒。主癰瘇瘡痿瘰癧結核等。醋磨傅之。又剝人面皮。除䵟䵳。生山中濕地。一名..

[위키 실록사전] 신선태을자금단(神仙太乙紫金丹)

[위키 실록사전] 신선태을자금단(神仙太乙紫金丹) *위키 실록사전: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신선태을자금단(神仙太乙紫金丹) 주요 정보 대표표제: 신선태을자금단 한글표제: 신선태을자금단 한자표제: 神仙太乙紫金丹 분야: 의학서/국어학 유형: 문헌 지역: 한국 시대: 조선 왕대: 연산군(燕山君) 집필자: 성낙수 저편자: 이종준(李宗準) 간행년일: 1497년(연산군 3) 권책수: 1책 소장처: 성암고서박물관 1497년(연산군 3)에 이종준(李宗準)이 저술한 의학 서적. 목차 1 개설 2 서지 사항 3 구성/내용 4 참고문헌 개설 『신선태을자금단(神仙太乙紫金丹)』은 조선 전기의 문신 이종준(李宗準)이 저술한 의서로 저자의 실증적인 정신과 정밀한 의학지식을 담고 있다...

조선전기 문신 慵齋 李宗準 친필본 [山林經濟 抄] 필사본 1책/單

조선전기 문신 慵齋 李宗準 친필본 [山林經濟 抄] 필사본 1책/單 조선전기 문신 용재 이종준 친필본 [산림경제 초] 필사본 1책/단 조선전기 문신이자 성종 때 의성현령으로 경상도지도를 제작하고 무오사화 때 이사중의 시를 써 붙인 죄로 사형되었던 용재 이종준 친필본 [산림경제 초] 필사본 1책/단. 권두에 ‘慵齋 李宗準 仲鈞’ 이라는 필사자 이름이 적혀있다. 상태 양호. 세로 25.5cm, 가로 19.2cm. [참고] 이종준 [李宗準, ?~1499] 본관 경주(慶州). 자 중균(仲鈞). 호 용재(慵齋) ·용헌(慵軒) ·부휴자(浮休子) ·상우당(尙友堂) ·태정일민(太庭逸民) ·장륙거사(藏六居士).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다. 1485년(성종 16) 별시문과에 갑과로 급제, 의성현령(義城縣令)으로서 《경상도지..

慵齋 李宗準 : 무오사화의 절개. 시서화의 삼절. 조선초기 사림파의 거벽.

慵齋 李宗準 : 무오사화의 절개. 시서화의 삼절. 조선초기 사림파의 거벽. 표제/저자사항: 慵齋 李宗準 : 무오사화의 절개. 시서화의 삼절. 조선초기 사림파의 거벽. / 申斗煥 著 발행사항: 안동 : 한빛 : 경주이씨용재공파문중, 2018 형태사항: 532 p. : 천연색삽화, 계보 ; 25 cm 주기사항: 권말부록: 유규의 행장 등, 참고문헌: p. 531-532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1263-90-1 03090: \35000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0.099 듀이십진분류법-> 895.7092 ISBN: 9788991263901 *국립중앙도서관: https://www.nl.go.kr *알라딘: https://www.aladin.co.kr/shop/UsedShop/wusedit..

[국학연구 Vol.34] 화산삼걸(花山三傑)의 성립(成立)과 의의(意義)

[국학연구 Vol.34] 화산삼걸(花山三傑)의 성립(成立)과 의의(意義) 이종호 (李鍾虎, 안동대학교) 1. 머리말 2. 화산삼걸의 성립과 교유 3. 화산삼걸의 성격과 의의 4. 맺음말 2. 화산삼걸의 성립과 교유 2) 『남주일록』과 화산삼걸의 교유 (일부분) 화산삼걸의 현실인식과 관련하여 『남주일록..

[영가지(永嘉誌)] 進士贈左承㫖裴巘墓

경북 유형문화재 제224호 영가지(永嘉誌) *출처: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유산 검색 > 영가지(永嘉誌) *국역 출처: 유교넷. 한국국학진흥원. 국역 영가지.선성지합본 > 영가지 서지 종목: 경북 유형문화재 제224호 명칭: 영가지및책판(永嘉誌및冊板) 시대: 조선 선조 41년(1608)~대한제국(1899) 수량: 일괄(13책) 분류: 목판본/사간본 지정일: 1986.12.11 소유자: 권오기,권기백 소재지: 경북 안동시 문화재형태: 선장 형태서지: 1. 영가지 永嘉誌 - 조선 선조 41년(1608), 1책(冊). 사주단변(四周單邊), 반곽(半郭) 21.8cm×18.0cm, 유계(有界), 반엽(半葉) 8행(行) 19자(字),주쌍행(注雙行),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 32.0cm×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