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인물 (二) 300

[성종실록] 원상들이 이양생이 잡은 강도를 의금부로 옮겨 가둘 것을 청하다

성종실록 2권, 성종 1년 1월 11일 경인 2번째기사 1470년 명 성화(成化) 6년 원상들이 이양생이 잡은 강도를 의금부로 옮겨 가둘 것을 청하다 ○院相申叔舟、洪允成啓曰: "李陽生所捕强盜, 皆囚典獄, 其刑曹往來路上, 必通言語, 得以飾辭。 請移囚義禁府, 別命委官鞫之。" 傳曰: "可。" 乃以商..

[성종실록] 겸사복 이양생을 보내어 도성 밖의 도적을 잡도록 하다

성종실록 1권, 성종 즉위년 12월 30일 기묘 5번째기사 1469년 명 성화(成化) 5년 겸사복 이양생을 보내어 도성 밖의 도적을 잡도록 하다 ○時, 都城外, 盜賊多竊發, 命兼司僕李陽生, 率軍士三十人, 伺捕之。 이때 도성(都城) 밖에는 도적이 몰래 일어나는 일이 많았으므로, 겸사복(兼司僕) 이양..

[세조실록] 공신연을 베풀다. 적개 공신 귀성군 이준 등이 치사하니, 교서를 반사하다

세조실록 44권, 세조 13년 11월 2일 갑자 1번째기사 1467년 명 성화(成化) 3년 공신연을 베풀다. 적개 공신 귀성군 이준 등이 치사하니, 교서를 반사하다 ○甲子/御仁政殿, 設功臣宴, 世子進酒。 敵愾功臣龜城君 浚等, 致詞曰: "玆遇運際天千, 風虎雲龍。 妖氛滔天, 迅掃一戎。 奉揚神武, 克咸..

[세조실록] 세자가 백관을 거느리고 임금의 탄신을 하례하니 제신에게 잔치를 베풀다

세조실록 43권, 세조 13년 9월 24일 병술 1번째기사 1467년 명 성화(成化) 3년 세자가 백관을 거느리고 임금의 탄신을 하례하니 제신에게 잔치를 베풀다 ○丙戌/世子率百官, 賀誕辰。 御寶慶堂, 召孝寧大君 (補)校〔補〕 、臨瀛大君 璆、河東君 鄭麟趾、蓬原君 鄭昌孫、高靈君 申叔舟、綾城..

[세조실록] 이양생·박의생을 겸사복으로 삼으라고 병조에 전지하다

세조실록 43권, 세조 13년 9월 23일 을유 2번째기사 1467년 명 성화(成化) 3년 이양생·박의생을 겸사복으로 삼으라고 병조에 전지하다 ○傳于兵曹曰: "李陽生、朴義生兼司僕。" 병조(兵曹)에 전지(傳旨)하기를, "이양생(李陽生)·박의생(朴義生)을 겸사복(兼司僕)으로 삼으라." 하였다. 【태백..

[세조실록] 도총사 이준 등이 개선하여 복명하니 공신호와 전토 노비를 내리다

세조실록 43권, 세조 13년 9월 20일 임오 1번째기사 1467년 명 성화(成化) 3년 도총사 이준 등이 개선하여 복명하니 공신호와 전토 노비를 내리다 ○壬午/都摠使浚、副使曺錫文等還, 命茂松君 尹子雲, 齎宣醞, 與曾來從征諸將, 迎于東郊。 浚、錫文詣闕復命, 上握浚手勞慰。 召錫文及承旨等..

양평공 이양생(襄平公 李陽生), 현감공 이길상(縣監公 李吉祥 ) 가계도(家系圖)

월성군 5세손 양평공(襄平公) 이양생(李陽生)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①계천군(鷄川君) 종직(從直) → 5世孫 ②양평공(襄平公) 양생(陽生) ○1423년(세종 5, 계묘)~1488년(성종 19, 무신). 세조조(世祖朝)에 적개공신(敵愾功臣) 계성군(鷄城君)에 봉(封)하다. ○墓는 양주(楊州) 금곡(金谷)에 묘좌(卯坐). 안구보(按舊譜)컨테 기방주억(旡傍註抑) 혹후손(或後孫)이 궐비이연여금고동파(闕卑而然歟今攷同派) 가승(家乘)을 신(信)하고 적재록언(蹟載錄焉) 구보(舊譜)에 공지사적(公之事蹟)이 지유적개공신(只有敵愾功臣) 계성군(鷄城君) 등(..

양평공(襄平公) 이양생(李陽生)

양평공(襄平公) 이양생(李陽生) ○1423년(세종 5, 계묘)~1488년(성종 19, 무신). 세조조(世祖朝)에 적개공신(敵愾功臣) 계성군(鷄城君)에 봉(封)하다. ○墓는 양주(楊州) 금곡(金谷)에 묘좌(卯坐). 안구보(按舊譜)컨테 기방주억(旡傍註抑) 혹후손(或後孫)이 궐비이연여금고동파(闕卑而然歟今攷同派) 가승(家乘)을 신(信)하고 적재록언(蹟載錄焉) 구보(舊譜)에 공지사적(公之事蹟)이 지유적개공신(只有敵愾功臣) 계성군(鷄城君) 등(等) 어이차역추복수록자야(語而此亦追復收錄者也)라. 금인대동보지중수(今因大同譜之重修)하야 득차자범위이십여차(得此者凡爲二十餘次)하니 난이일일수록(難以一一收錄)이요, 성종실록(成宗實錄)에 왈(曰) 계성군(鷄城君) 이양생(李陽生)이 卒에 賜祭禮葬(사제례장)하다. *출처: 1987년 ..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관련 자료 모음 (hwp, pdf파일)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관련 자료 모음- 문집, 의서, 실록, 기·상량문·비문, 경광서원, 유적·유물 등 수록 -□용재유고(慵齋遺稿)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부]눌재유고([附]訥齋遺稿) -눌재공(訥齋公) 이홍준(李弘準)□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문집(文集)□신선태을자금단(神仙太乙紫金丹)◉神仙太乙紫金丹 -慵齋公 李宗準 醫書◉神仙太乙紫金丹 -조선의 만병통치학◉[고의서산책302] 山林經濟②◉고의서 산책(479) - 「紫金丹方」◉[山林經濟] 神仙太乙紫金丹◉[선본해제15] 태을자금단방(太乙紫金丹方)◉신선태을자금단(神仙太乙紫金丹)의 국어학적 연구□경광서원(鏡光書院), 백록리사(柏麓里社)◉鏡光書院 -慵齋公 配享書院◉鏡光書院 享祀祝文◉[安東의 書院 享祀] 鏡光書院◉柏麓里社靜觀樓上樑文◉[松巖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