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인물 (二) 296

용재선생(慵齋先生)의 가계와 생년(生年)을 밝힘.

● 용재 선생(慵齋先生)의 가계와 생년(生年)을 밝힘. 『神仙太乙紫金丹(신선태을자금단』에 수록된 李宗準(이종준) 醫案(의안)에 대한 연구 논문에서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용재 선생(慵齋先生) 李宗準(이종준)의 생년(生年)을 밝힌 내용이 있어 필요한 부분을 근거로 제시하여 밝힌다..

훈도공 이공준 가계도(訓導公 李公準 家系圖)

월성군 6세손 훈도공(訓導公) 이공준(李公準)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③대사헌공(大司憲公) 승직(繩直) → 5世孫 ⑤금호공(琴湖公) 시민(時敏) → 6世孫 ④훈도공(訓導公) 공준(公準) ○1471년(성종 2, 신묘)生. 훈도(訓導). ○配는 진성이씨(眞城李氏). ○墓는 금계(琴溪) 사망동(沙芒洞). 간좌(艮坐) 상하분(上下墳). 유갈(有碣) 문소(聞韶) 김창기(金昌祺) 지음. *출처: 1987년 경주이씨(慶州李氏) 대종보(大宗譜) ◈訓導月城李公墓碣銘(훈도월성이공묘갈명) 幷序(병서) -聞韶(문소) 金昌棋(김창기) 撰(찬) https://yon..

[신편 한국사 31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2) 동계·동약의 중수와 상하합계

신편 한국사 31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1. 사족의 향촌지배조직 정비 > 2) 향촌지배조직의 복구와 정비 (2) 동계·동약의 중수와 상하합계 임란 후 일향 범위에서의 향사당·향안 등의 재건과는 별도로 사족의 거주 촌락을 단위로 한 동계·동..

[신편 한국사 23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3) 향촌 제규약과 좌목

신편 한국사 23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Ⅲ. 지방 통치체제 > 5. 지방자치적 기구 3) 향촌 제규약과 좌목  조선시대 향읍 또는 향촌사회에는 그 구성원이나 단체의 조직체계와 운영상 갖가지 내부 규약과 각종 조직체의 명부인 座目들이 있었다. 그러한 규약에는 향규를 비롯하여 향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