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인물 (一) 94

[태종실록] 순찰도는 군사에게 붙들린 선공 소감 심서를 파직하다. 형조 정랑 이중만을 용서하다

태종실록 21권, 태종 11년 2월 1일 임진 3번째기사 1411년 명 영락(永樂) 9년 순찰도는 군사에게 붙들린 선공 소감 심서를 파직하다. 형조 정랑 이중만을 용서하다 ○罷繕工少監沈舒職, 宥刑曹正郞李仲蔓罪。 司憲府請: "舒犯巡牌, 宜詰之; 仲蔓出舒罪, 不可輕宥。" 上曰: "仲蔓之罪, 稍輕於舒..

[태종실록] 제주에 있는 민무구·민무질에게 자결하게 하다

태종실록 19권, 태종 10년 3월 17일 계미 1번째기사 1410년 명 영락(永樂) 8년 제주에 있는 민무구·민무질에게 자결하게 하다 ○癸未/賜閔無咎ㆍ無疾自盡。 成石璘、金漢老、偰眉壽等至行在, 與隨駕臣僚, 皆詣敬德宮, 班立方進疏, 上問: "何爲來也?" 石璘等對曰: "臣僚聞車駕久留于此, 以賊..

[태종실록] 금령을 어긴 위사를 의흥부에 알리지 않고 형벌을 가한 행궁 찰방을 교체하다

태종실록 19권, 태종 10년 3월 13일 기묘 1번째기사 1410년 명 영락(永樂) 8년 금령을 어긴 위사를 의흥부에 알리지 않고 형벌을 가한 행궁 찰방을 교체하다 ○己卯/次于廣灘。 內侍衛行司直李實先駕而行, 犯禁入民戶。 行宮察訪大護軍睦進恭、護軍李繩直執實杖之, 面縛以徇。 內侍衛提調..

[태종실록] 순금사 관원을 보내 윤목·조희민·이민·강사덕·유기 등을 유배지에서 참수하다

태종실록 19권, 태종 10년 1월 30일 정유 1번째기사 1410년 명 영락(永樂) 8년 순금사 관원을 보내 윤목·조희민·이민·강사덕·유기 등을 유배지에서 참수하다 ○丁酉/分遣巡禁司官, 誅尹穆、趙希閔、李彬、姜思德、柳沂于貶所。 初, 召議政府舍人趙啓生傳旨曰: "政府功臣臺諫交章累請, ..

대사헌공 이승직 가계도(大司憲公 李繩直 家系圖)

월성군 4세손 대사헌공(大司憲公) 이승직(李繩直)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③대사헌공(大司憲公) 승직(繩直)○대사헌공파조(大司憲公派祖) 대사헌(大司憲).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 字는 승평(繩平). ○1378년 무오(戊午, 우왕禑王 4)生 사마시(司馬試)에 급제(及第)하고 특배사헌부장령(特拜司憲府掌令). 태종(太宗) 11년 신묘(辛卯)에 사헌부집의(司憲府執義). 세종(世宗) 2년 경자(庚子) 문과(文科)에 올라 양주목사(楊州牧使)를 거쳐 경상도관찰(慶尙道觀察)로 재임시(在任時) 국옥(鞠獄)의 명단(明斷)과 경륜(經倫)에 밝고 청백(淸白)함..

대사헌공(大司憲公) 이승직(李繩直)

대사헌공(大司憲公) 이승직(李繩直)생졸년 미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원림(李元林)의 손자이며 이만실(李蔓實)의 아들로 이량(李亮)의 딸과 혼인하였다.1410년(태종 10) 태종이 광탄(廣灘)에 행차했을 때 호군(護軍)으로 수행하였다. 이듬해 장령(掌令)이 되었으며, 1412년 박저생(朴抵生)과 그의 계모 곽씨(郭氏)가 가산 때문에 쟁송(爭訟) 했던 사건을 공정하게 처리하지 못하여 지의주사(知宜州事)로 좌천되었다. 1425년(세종 7) 양주부사(楊洲府使)를 지냈고 1427년에는 공조(工曹)‧형조참의(刑曹參議)를 거쳐 1429년 대사헌(大司憲)에 임명되었다. 대사헌을 역임하던 1430년에는 명에 가는 사신에게 감찰(監察)을 파견하여 소지하고 있는 금물(禁物)을 수검(搜檢)해야 한다는 ..

판사공 이양직 가계도(判事公 李良直 家系圖)

월성군 4세손 판사공(判事公) 이양직(李良直)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②판사공(判事公) 양직(良直)○판사공파조(判事公派祖)판사(判事). ○세종조(世宗朝)에 문과(文科)에 급제(及第)하고 사간원헌납(司諫院獻納)을 초임(初任)으로 홍문관전한(弘文館典翰)·사도시정(司導寺正)에서 예조판서(禮曹判書)에 오르고 판사(判事)[도평의사사(都評議司事) 중추원봉상시(中樞院奉常寺) 等의 장(長)으로 관질(官秩)은 정일품(正一品)]로 치사(致仕) 卒. ○부안(扶安) 진양서원(津陽書院) 입향(入享).○配는 정경부인(貞敬夫人) 경주최씨(慶州崔氏) 판사(判事) 안준(..

판사공(判事公) 이양직(李良直)

판서공(判書公) 이양직(李良直)○판사공파조(判事公派祖)판사(判事). ○세종조(世宗朝)에 문과(文科)에 급제(及第)하고 사간원헌납(司諫院獻納)을 초임(初任)으로 홍문관전한(弘文館典翰)·사도시정(司導寺正)에서 예조판서(禮曹判書)에 오르고 판사(判事)[도평의사사(都評議司事) 중추원봉상시(中樞院奉常寺) 等의 장(長)으로 관질(官秩)은 정일품(正一品)]로 치사(致仕) 卒. ○부안(扶安) 진양서원(津陽書院) 입향(入享).○配는 정경부인(貞敬夫人) 경주최씨(慶州崔氏) 판사(判事) 안준(安濬)의 女. ○墓는 포천(抱川) 화산(花山) 생유갈(生有碣).*출처: 경주이씨(慶州李氏) 월성군파세보(月城君派世譜)

계천군 이종직 가계도(鷄川君 李從直 家系圖)

월성군 4세손 계천군(鷄川君) 이종직(李從直)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①계천군(鷄川君) 종직(從直) ○계천군파조(鷄川君派祖)계천군(鷄川君). ○세종조(世宗朝)에 문과(文科)에 올라 관(官)은 군수(郡守)에 이르러 요졸(夭卒)하니 봉계천군(封鷄川君)하고 증판윤(贈判尹)하다. ○전북 부안군(扶安郡) 동진면(東津面) 당하리(堂下里) 진양서원(津陽書院)에 배향(配享).○配는 풍양조씨(豐壤趙氏) 도평의(都評議) 숭(崇)의 女.*출처: 경주이씨(慶州李氏) 월성군파세보(月城君派世譜)   계천군 이종직 가계도(鷄川君 李從直 家系圖) 判司僕寺事公 李元林(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