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인물 (一) 94

계천군(鷄川君) 이종직(李從直)

계천군(鷄川君) 이종직(李從直)○계천군파조(鷄川君派祖)계천군(鷄川君). ○세종조(世宗朝)에 문과(文科)에 올라 관(官)은 군수(郡守)에 이르러 요졸(夭卒)하니 봉계천군(封鷄川君)하고 증판윤(贈判尹)하다. ○전북 부안군(扶安郡) 동진면(東津面) 당하리(堂下里) 진양서원(津陽書院)에 배향(配享).○配는 풍양조씨(豐壤趙氏) 도평의(都評議) 숭(崇)의 女.*출처: 경주이씨(慶州李氏) 월성군파세보(月城君派世譜)   *참고: 서파(西坡) 안리(安理) -계천군鷄川君) 이종직(李從直)의 사위[婿] ○西紀一三九三年癸酉生號西坡又號樂園不樂仕進累徵不赴外補宜寧翌年道伯以治蹟褒陞醴泉郡事端宗遜位投紱歸鄕卜居府南大龍山篤志牢隱逍遙終老遺命子孫勿仕○墓大龍山桂谷子坐有碑族孫應昌撰行狀○甲戌後孫宗熙敎煥敎悳等改立烏石碑燭臺石外裔孫曉岩李中轍撰碣海觀尹用求..

현감공 이연실 가계도(縣監公 李延實 家系圖)

월성군 3세손 현감공(縣監公) 이연실(李延實)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②현감공(縣監公) 연실(延實) ○감찰(監察), 현감(縣監) *출처: 1987년 경주이씨(慶州李氏) 대종보(大宗譜) 현감공 이연실 가계도(縣監公 李延實 家系圖) 金紫光祿大夫 月城君 李之秀(금자광록대부 월성군 이지수) ═ 金貞(김정)의 女 ├四宰 貞烈公 李揆(사재 정렬공 이규) │ └判司僕寺事公 李元林(판사복시사공 이원림) │ || │ 義城金氏(의성김씨) 左司尹(좌사윤) 金台權(김태권)의 女 │ ├花軒公 吏曹判書 李蔓實(화헌공 이조판서 이만실) │ ├縣監公 李延實(현감공 이연실) │ │ └禦侮將軍公 李貞幹(어모장군공..

화헌공 이만실 가계도(花軒公 李蔓實 家系圖)

월성군 3세손 화헌공(花軒公) 이만실(李蔓實)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號는 화헌(花軒). 이조판서(吏曹判書). ○우왕(禑王) 13년 정묘(丁卯)에 보원고(寶源庫) 별감판도총랑(別監版圖摠郞)으로 재임(在任)한 정월(正月)에 우왕(禑王)이 보원고(寶源庫)에 령(令)하여 기견백필(綺絹百匹)을 가져오라 하였으나 고중품절(庫中品絕)이라 진납(進納)치 못한 죄(罪)로 장형이백(杖刑二百)에 처(處)하고 백관(百官)에 감봉형(減俸刑)을 내리니 기관(棄官)하고 거(居)하다가 태종초(太宗初)에 문과(文科)하여 좌승지한성판윤(左承旨漢城判尹)을 거쳐 이조판서(吏曹判書)로 ..

화헌공(花軒公) 이만실(李蔓實)

화헌공(花軒公) 이만실(李蔓實) 號는 화헌(花軒). 이조판서(吏曹判書). ○우왕(禑王) 13년 정묘(丁卯)에 보원고(寶源庫) 별감판도총랑(別監版圖摠郞)으로 재임(在任)한 정월(正月)에 우왕(禑王)이 보원고(寶源庫)에 령(令)하여 기견백필(綺絹百匹)을 가져오라 하였으나 고중품절(庫中品絕)이라 진납(進納)치 못한 죄(罪)로 장형이백(杖刑二百)에 처(處)하고 백관(百官)에 감봉형(減俸刑)을 내리니 기관(棄官)하고 거(居)하다가 태종초(太宗初)에 문과(文科)하여 좌승지한성판윤(左承旨漢城判尹)을 거쳐 이조판서(吏曹判書)로 치사(致仕). ○墓는 포천(抱川) 화산(花山,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문정공(文貞公) 좌상(左相) 유순(柳洵)이 찬행장(撰行狀), 영상(領相) 김수동(金壽童)이 찬묘갈명(撰墓碣銘).○配는 정..

판사복시사공 이원림 가계도(判司僕寺事公 李元林 家系圖)

월성군 2세손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이원림(李元林)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판사복사사(判司僕寺事).○配는 의성김씨(義城金氏) 좌사윤(左司尹) 태권(台權)의 女. 소윤(少尹) 서지(瑞芝)의 손(孫). 좌복야(左僕射) 의(宜)의 증손(曾孫). 판관(判官) 안동김승고(安東金承古)의 외손(外孫).*출처: 1987년 경주이씨(慶州李氏) 대종보(大宗譜)  판사복시사공 이원림 가계도(判司僕寺事公 李元林 家系圖) 金紫光祿大夫 月城君 李之秀(금자광록대부 월성군 이지수) ═ 金貞(김정)의 女  ├四宰 貞烈公 李揆(사재 정렬공 이규)  │ └判司僕寺事公 李元林(판사복시사공 이원림)  │      ||  ..

[고려사] 권104 > 열전 권제17 > 제신(諸臣) > 김주정 > 김심 > 김심이 권한공 등을 탄핵하다

[고려사] 권104 > 열전 권제17 > 제신(諸臣) > 김주정 > 김심 김심이 권한공 등을 탄핵하다 王在元, 深與密直使李思溫議曰, “帝及太后, 屢詔王之國, 王無意於行. 令本國歲輸布十萬匹, 米四百斛, 他物不可勝紀, 國人漕轉之弊益甚. 諸從臣皆羇旅思歸. 而權漢功·崔誠之同掌選法, 利..

[동사강목 제14상] 병술년 충목왕 2년(원 순제 지정 6, 1346)

[동사강목 제14상] 병술년 충목왕 2년(원 순제 지정 6, 1346) 춘2월 초하루(경술)에 일식이 있었다. 3월 우릉도(芋陵島) 사람이 내조(來朝)하였다. 5월 충혜왕(忠惠王)을 태묘(太廟)에 부(祔)하였다. 후에 덕녕 공주(德寧公主)를 부(祔)하였다. 정승 사숙공(思肅公) 한악(韓渥)ㆍ참리(參理) 이규(..

[고려사] 권60 > 지(志) 권제14 > 예2(禮 二) > 길례대사 > 태묘 묘정에 배향하는 체협공신

[고려사] 권60 > 지(志) 권제14 > 예2(禮 二) > 길례대사 > 태묘 묘정에 배향하는 체협공신 禘祫功臣配享於庭. 太祖室. 太師·開國·武烈公裴玄慶, 太師·開國·忠烈公洪儒, 太師·開國·武恭公卜智謙, 太師·開國·壯節公申崇謙, 太師·開國·忠節公庾黔弼, 太傅·熙愷公崔凝. 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