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군사] 第8節 孝子 이포(李苞), 금기(琴椅) [봉화군사] 第 8節 孝 子 이포(李苞) 1549~? 조선 13대 명종 4년(乙酉)에 출생하였다. 字는 중용(仲容)이고 본관은 경주로서 눌재(訥齋) 홍준(弘準)의 손자이다. 일찍이 생원(生員)을 하였다. 성품이 충성스럽고 강직하여 수령의 가혹한 정사에 격분하여 박민도(剝民圖)를 그려 조정에 올리니 .. 유적지 유물/봉화지역◇유적 2019.03.07
[봉화군사] 第7節 文學 이지(李址), 이재학(李在學) [봉화군사] 第 7節 文 學 이지(李址) 호는 대박자(大朴子) 또 벽사(碧沙) 월성군 지수(之秀)의 후이다. 우애가 지극하고 효행이 대단하였으며 학문이 깊어 사림의 추앙을 받았다. *충순위공(忠順衛公) 이숭준(李崇準)의 6세손. 父는 약곡공(藥谷公) 이재현(李再炫) 이재학(李在學) 1865~? 字는 .. 유적지 유물/봉화지역◇유적 2019.03.07
경당선생급문제현록(敬堂先生及門諸賢錄) 경당선생급문제현록(敬堂先生及門諸賢錄) ■ 경주이씨 월성군후 대사헌공파 현록 ◦이재소(李再熽, 1617~1664):자는 군회(君晦), 경주인, 응조(應祚)의 손자, 성극(成極)의 아들. ◦이재엽(李再燁):경주인, 성극(成極)의 아들. 공이 지은 선생의 만시와 제문이 별집에 보인다. ◦이재욱(李.. 유적지 유물/안동지역◇유적 2019.03.07
[봉화군사] 第6節 儒行 이덕장(李德璋), 이상현(李相鉉), 이규형(李奎炯), 이준호(李俊鎬) [봉화군사] 第 6節 儒 行 이덕장(李德璋) 1482~? 字는 경부(慶簿)이고 본관은 경주로서 눌재의 아들이다. 장부의 기상으로 학문이 깊어 제자들의 교육에 많은 힘을 썼다. 이상현(李相鉉) 1817~? 字는 정임(鼎任)이고 호는 만오(晩悟)이다. 본관은 경주로서 용재의 후이다. 기국이 중후하며 학문.. 유적지 유물/봉화지역◇유적 2019.03.05
[봉화군사] 第5節 蔭仕 逸薦 이덕장(李德障), 이희동(李希侗), 금계(琴啓) [봉화군사] 第 5節 蔭仕 逸薦 이덕장(李德障) 1482~? 字는 경부(慶簿)이고 본관은 경주로서 눌재 홍준(弘準)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장부의 기상이 있어 속이 좁고 용렬한 무리와는 사귀기를 싫어하였으며 자제를 가르침에 아주 엄하게 하였고 음사로 찰방을 지냈다. 이희동(李希侗) 字는 .. 유적지 유물/봉화지역◇유적 2019.03.05
[봉화군사] 第3節 鄕約 눌재(訥齋) 이홍준(李弘準) [봉화군사] 第3節 鄕 約 향약은 미풍양속(美風良俗)을 기르기 위한 도의정신(道義精神) 배양과 윤리사상(倫理思想)을 함양하는 향촌(鄕村)의 규약(規約)이다. 향약은 중국 송(宋)나라 여씨향약(呂氏鄕約)에서 시작된 것으로 주자(朱子)가 더하고 빼고 해서 다시 만든 것을 모방하여 연산군 .. 유적지 유물/봉화지역◇유적 2019.03.04
[봉화군사] 第 3節 司馬(生員·進士) 이홍준(李弘準), 금치담(禁致湛) [봉화군사] 第 3節 司馬(生員·進士) 이홍준(李弘準) 字는 군식(君式) 호는 눌재(訥齋) 본관은 경주로서 용제의 동생이다. 성종 17년에 진사하고 무오사화 때 그 형 용재가 참혹한 변을 당한 이후 관직에는 뜻을 버리고 내성현 연수봉 밑으로 이사하여 외영당(畏影堂)을 짓고 두문불출하였.. 유적지 유물/봉화지역◇유적 2019.03.04
[폐허] 만오재(晩梧齋), 외영당(畏影堂) 15. 만오재(晩梧齋) 소천면 분천리(小川面 汾川里) 가호(佳湖)마을에 소재(所在)하였으며 만오 이상현〈晩梧 李相鉉 · 朝鮮 第23代 純祖 16年(1816)~?〉이 낙동강변(洛東江邊) 암벽상(岩壁上) 아름다운 곳에 후학배양(後學培養)을 위(爲)하여 건립(建立)한 정자(亭子)이다. 현재 건물(建物)은 .. 유적지 유물/봉화지역◇유적 2019.03.04
[봉화군사] 第2節 없어진 亭子 만오재(晩梧齋). 외영당(畏影堂) [봉화군사] 第 2節 없어진 亭子 o 만오재(晩梧齋) 소천면 분천리(小川面 汾川里) 가호(佳湖)마을에 소재(所在)하였으며 만오 이상현 〈晩梧 李相鉉․純宗 16年(1816) ~ ?〉 이 낙동강변(洛東江邊) 암벽상(岩壁上) 아름다운 곳에 후학배양(後學培養)을 위하여 건립(建立)한 정자(亭子)이다. 지금.. 유적지 유물/봉화지역◇유적 2019.03.04
[봉화군사] 第1節 文科 이종준(李宗準), 금의(琴椅), 정유일(郵惟一) [봉화군사] 第 3 章 人 物 第 1節 文 科 이종준(李宗準) ?~l499 字는 중균(仲均), 호는 용재(傭齋), 본관은 경주, 진사 시민(時敏)의 아들이다. 성종 8년(1477)에 진사하고, 1485년에 문과에 2등으로 급제하여 홍문관교리, 이조정랑이 되었다. 일본 사신 호송관에 차출되었는데 일본사신이 공의 글.. 유적지 유물/봉화지역◇유적 2019.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