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623

안동시사, 봉화군지, 경상도읍지, 영남읍지 (hwp, pdf파일)

안동시사, 봉화군지, 경상도읍지, 영남읍지 ○경주이씨(慶州李氏) 대사헌공(大司憲公) 이승직(李繩直) 계통 ●안동시사(安東市史) 성씨의 인물 【경주이씨(慶州李氏)】 ●봉화군사(奉化郡史) 경주이씨(慶州李氏) 인물 ⊙문과(文科) ⊙효자(孝子) ⊙사마司馬(생원生員·진사進士) ⊙충의(忠義), 열사(烈士) ⊙음사(蔭仕)·일천(逸薦) ⊙문학(文學) ○흥해배씨(興海裵氏) 백죽당(柏竹堂) 배상지(裵尙志) 계통 ○안동권씨(安東權氏) 진사(進士) 권작(權綽) 계통 ○봉화금씨(奉化琴氏) 현감(縣監) 금계(琴啓) 계통 ○여흥민씨(驪興閔氏) 민보해(閔甫諧) 계통 ○진성이씨(眞城李氏) 송재공(松齋公) 이우(李堣) 계통 ○동래정씨(東萊鄭氏) 참봉(參奉) 정목번(鄭穆蕃) 계통

신선태을자금단

신선태을자금단 한문제목: 神仙太乙紫金丹 연대: 1497 출판: 서지학보6 출처: 어듸메 https://akorn.bab2min.pe.kr/doc/103 어듸메는 중세 및 근대 한국어로 작성된 문헌들을 찾아주는 실험용 검색엔진입니다. 본 사이트의 자료는 국립국어원의 '역사자료 종합 정비' 결과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신선태을자금단(神仙太乙紫金丹) : 조선전기 문신 이종준이 신선태을자금단의 제조법과 효험을 기록하여 1497년에 간행한 의서.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33095 神仙太乙紫金丹 신션태을ᄌᆞ금단 別具湯使于後 이후ᄂᆞᆫ 각별히 므레 므러 ᄡᅮᆯ법을 ᄀᆞ초 내노라 *두ᄌᆡ ᄒᆞᆫ가지니 다 ᄲᅵ빌 시라 治一切藥毒 蠱毒 일쳬 약독과 노올 굴이..

두드러기의 어원과 정의

두드러기의 어원과 정의 ​ 2020.3.3. 17:48 청주 메어리벳의원 의학박사 정종영 두드러기는 국립국어원 과 에 ‘약이나 음식을 잘못 먹거나 또는 환경의 변화로 인해 생기는 피부병의 하나. 피부가 붉게 부르트며 몹시 가렵다’라고 설명되어 있다. ​ 두드러기는 1497년 조선 전기의 문신 이종준이 저술한 의서인 에서 처음 확인되며, 이후 16세기 문헌에도 ‘두드러기’로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癮 두드러기 은 疹 두드러기 딘 ). (이하 줄임) [출처] 두드러기의 어원과 정의|작성자 메어리벳클리닉 https://blog.naver.com/j26662/221835654181 [부크크 서점] 두드러기와 장미색잔비늘증 https://m.bookk.co.kr/book/view/106685 [YES24] 두드..

국어사 문헌자료 총정리

출처: [다음카페] 방송대 국문과 국어연구 박우진 05.09.21 10:45 https://cafe.daum.net/knou9509/CZLq/2?svc=cafeapi 후기 중세국어 자료 정리 1. 훈민정음 이전 문 헌 해 제 및 특 징 朝鮮館譯語 〔해 제〕 ?조선관역어?는 ?華夷譯語? 속에 들어 있는 일부분으로서, 중국인들이 그 당시 조선어 어휘를 조선음과 중국음으로 구분하여 펴낸 어휘집이다. ?화 이역어?는 중국의 인근 국가들의 어휘를 나라별로 모아 중국 한자로 해당 나라의 음과 중국음을 적어 놓은 어휘 모음이다. ?화이역어?는 외국 사절과의 통역을 담당하는 禮部의 會同館에서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며 해당 나라의 음과 중국음으로 표기하였는데, ?조선관역어?는 13관 역어 중의 하나이다. 이 책의 기술 내..

경주이씨음사편(慶州李氏蔭仕篇) <조선과환보(朝鮮科宦譜v1)>

▶ 서명 : 조선과환보 (朝鮮科宦譜v1) (慶州李氏蔭仕篇) 蔭仕篇 李謁平[주:新羅佐命功臣]後孫居明[주:蘇判]金現 [주:兵部令居明子]金書[주:戶部郞金現 子]潤弘 [주:兵正金書子]承訓[주:侍郞潤弘子]周復[주:司諫承訓子]儞[주:功臣周復子]侈連[주:侍中儞子]寵暹[주:侍中 侈連子]春林[주:侍郞春貞弟]玄福[주:生員春貞子]宣用[주:軍尹玄福子]申佑[주:侍郞宣用弟]升高 [주:甫尹宣用子]得堅[주:侍郞升高 子]翮[주:悅軒贈尙書得堅子]仁挺[주:□菴門下評理翮子]瑱[주:政丞臨海君 諡文定 仁挺弟]世基[주:大提學諡文僖瑱弟]榑[주:舍人仁挺子]樛[주:文魁生員榑弟]元善 [주:文典書樛子]依班[주:檢校 元善 弟]葵文[주:文同正依班子]藎文[주:侍郞葵文弟]尙文[주:僉知藎文弟]碩[주:見武葵文子]天摶[주:文司 宰令碩子]天洪[주:副司直天摶弟]克勤 [..

경주이씨무과편(慶州李氏武科篇) <조선과환보(朝鮮科宦譜v1)>

▶ 서명 : 조선과환보 (朝鮮科宦譜v1) (慶州李氏武科篇) 武科篇 碩[주:兵判]守一[주:刑判功臣]浣[주:右相守一子]仁夏[주:大將守一孫]仁傑[주:副摠管浣子] 暾[주:中軍寒泉碩后]玗[주:別薦統制]重翊[주:兵使仁夏孫]章漢[주:兵使玗子]長元[주:副護軍暾子] 彬[주:府使章漢子]容駿[주:兵使彬子]容象[주:刑判容駿弟]啓好[주:兵使容象子]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과환보 (朝鮮科宦譜v1)

경주이씨문과편(慶州李氏文科篇) <조선과환보(朝鮮科宦譜v1)>

▶ 서명 : 조선과환보 (朝鮮科宦譜v1) (慶州李氏文科篇) ○慶州李氏 文科篇 擔[주:代言]從[주:縣令]伯點[주:正言]繼善[주:持平] 勿敏[주:翰林]文炯[주:參判擔孫]尹仁[주:監司]翊[주:參議] 文煥[주:承旨文炯弟]文饒[주:縣監]有仁[주:大憲尹仁弟]箴[주:副使繼善子] 益培[주:禮佐勿敏從侄]堪[주:府尹]從允[주:掌令伯點旁孫]莒[주:監正] 文佐[주:典籍]宗準[주:舍人湖勿敏侄]鰲[주:玉堂尹仁孫]黿[주:禮佐湖鰲弟] 龜[주:禮佐黿弟]思白[주:一思鈞吏判文剛]嗣宗[주:敦正]文昌[주:典籍] 海[주:注書鰲子]夢亮[주:參贊]夢尹[주:甕正夢亮兄]乙奎[주:郡守] 瑛[주:舍人玉堂]瓊[주:郡守]士英[주:郡守]廷馣[주:判書忠穆莒曾孫] 廷馨[주:吏判知退堂廷馣弟]弘業[주:持平黿曾孫]大震[주:郡守]恒福[주:領相衡白沙夢亮子] 邦俊時發[주:..

『용재눌재양선생유고慵齋訥齋兩先生遺稿』 해제 -임근실(林勤實)

『용재눌재양선생유고慵齋訥齋兩先生遺稿』 해제 임근실林勤實 단국대학교 사학과 박사 1. 머리말 사림士林은 조선 전기 정치·사회적 변화의 중심축이었고, 사화士禍는 영남 지역 학자의 삶을 변화시키는 변곡점이었다. 이 책은 조선 전기 영남 출신의 사림으로 정치활동을 하다가 무오사화戊午士禍에 희생된 이종준李宗準(1453∼1499)과 그의 아우 이홍준李弘準(?∼1523)의 문집인『용재눌재양선생유고慵齋訥齋兩先生遺稿』(이하 『용눌재유고』로 약칭)의 국역서이다. 이종준은 가학家學으로 학문의 기반을 닦은 후 김종직의 문하에서 수학한 학자였다. 이종준은 안동安東 금계리金溪里에서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문장에 재능이 있었다. 1485년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 좌랑, 홍문관 교리, 홍문관 부수찬, 사헌부 지평, 사간원 정언을 ..

용재눌재양선생유고 -안동역사인물국역총서11

용재눌재양선생유고 -안동역사인물국역총서11 용재눌재양선생유고(慵齋訥齋兩先生遺稿) 안동역사인물문집국역총서11/한국국학진흥원 저자: 이종준(李宗準)·이홍준(李弘準) 번역: 박미경(朴媄敬) 발행: 2020년 10월 30일 발행처: 한국국학진흥원 저자: 이종준李宗準(1453~1499) 자는 중균(仲勻), 호는 용재(慵齋),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저서로는 『용재눌재양선생유고』(1책)가 있다. 저자: 이홍준李弘準(?∼1523) 자는 군식(君式), 호는 눌재(訥齋),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저서로는 『용재눌재양선생유고』(1책)가 있다. 역자: 박미경(朴媄敬) 한국국학진흥원 고전국역위원(현) 경북대학교 중어중문학교 박사과정 졸업 『쌍봉선생문집』(공역), 『무송헌선생문집』, 『성재선생문집』 등 번역 용재눌재양선생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