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632

[민음사/하루에 한 문장] 2022. 9. 1 ─ 이홍준, 「자명(自銘)」

[민음사/하루에 한 문장] 2022. 9. 1 ─ 이홍준, 「자명(自銘)」 재주 없는 데다 덕 또한 없으니 사람일 뿐. ─ 이홍준, 「자명(自銘)」 *출처: 민음사 https://blog.naver.com/minumworld/222861891691 ------------------------------------------------- 인생일력 민음사 2021년 9월 1일 수요일 음력 7월 25일 ​ 민음사, 인생일력 오늘 하루에 한 문장은 '이홍준'의 입니다. 9월의 첫날! 이끼 낀 묘비를 더듬어 읽으며 삶의 의미를 되찾는 여정! 내면기행! ​ #인생일력 #민음사 #하루에한문장 #9월 #내면기행 ​ ⚜재주 없는 데다 덕 또한 없으니 사람일 뿐⚜ ​ 내 얘기 같다 ​ 잘 나거나 못 나거나 그저 '사람'이..

[한국인의 족보] 경주이씨(慶州李氏) 가문의 유래

[한국인의 족보] 경주이씨(慶州李氏) 가문의 유래 [관향의 연혁] 경주(慶州)는 경상북도(慶尙北道) 남동부(南東部)에 위치한 지명(地名)으로 기원전 57년 이곳에 6촌(六村)이 연합하여 고대국가(古代國家)를 형성, 국호(國號)를 서라벌(徐羅伐)․ 사로(斯盧)․ 사라(斯羅)로 하고, 수도(首都)를 금성(金城)이라 하였으나 수도명과 국명(國名)을 동일시하였다. 서기 65년(탈해왕 9) 시림(始林)에서 김씨(金氏)의 시조(始祖)가 탄생하여 국호(國號)를 계림(鷄林)으로 칭하기도 하였으나 별칭으로 사용하였으며, 307년(기림왕 10)에 최초로 국호를 신라(新羅)로 하였고, 935년(태조 18) 신라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敬順王)이 손위(遜位)하자 처음으로 경주(慶州)라는 명칭이 생겼다. 987년(성종 6) 동경..

慵齋 李宗準 : 무오사화의 절개. 시서화의 삼절. 조선초기 사림파의 거벽.

慵齋 李宗準 : 무오사화의 절개. 시서화의 삼절. 조선초기 사림파의 거벽. 표제/저자사항: 慵齋 李宗準 : 무오사화의 절개. 시서화의 삼절. 조선초기 사림파의 거벽. / 申斗煥 著 발행사항: 안동 : 한빛 : 경주이씨용재공파문중, 2018 형태사항: 532 p. : 천연색삽화, 계보 ; 25 cm 주기사항: 권말부록: 유규의 행장 등, 참고문헌: p. 531-532 표준번호/부호: ISBN 978-89-91263-90-1 03090: \35000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810.099 듀이십진분류법-> 895.7092 ISBN: 9788991263901 *국립중앙도서관: https://www.nl.go.kr *알라딘: https://www.aladin.co.kr/shop/UsedShop/wusedit..

봉화의 문화유산 송록서원

봉화의 문화유산 송록서원 저자 : 봉화 송록서원 출판사 / 판형 : 봉화 송록서원 / 2006년 규격 / 쪽수 : 190*260 / 85쪽 도서 설명 삽화 (사진) 머리말 봉안위 10현의 행적 문목공 진일재 류숭조선생 교리 용재 이종준선생 진사 눌재 이홍준선생 수찬 창설재 권두경선생 세마 눌은 이광정선생 송록서원 설립과정 *느티나무 헌책방(바우북) : http://baubook.com/new/?page=view_book&item_id=20118 *알라딘 :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76295651

유산악부(遺山樂府) / 용재 이종준

소장품 명칭 : 유산악부(遺山樂府) 국적/시대 : 한국-조선 용도/기능 : 문화예술-음악-서적-악서 크기 : 가로 : 16 세로 : 23.5 소장품 번호 : 민속024325 내용 : 이제현(李齊賢)이 원나라에서 수집한 여러 학자들의 악부(樂府)와 사곡. 경주목사인 이종준(李宗準)이 '弘治紀元之五年'에 간행. 목판본. 사주쌍변(四周雙邊). 반엽(半葉) 10행. 표지 오른쪽은 꼰실로 5바늘 꿰어 엮음. 표지 2장, 본문 84장. '鄭敍'의 題·목록·한라 상·중·하로 구성됨. 관주와 인장 4방이 찍혀 있음. 여백과 일부에 보정된 글이 있음. *출처: 국립민속박물관: https://www.nfm.go.kr/common/data/home/relic/detailPopup.do?seq=PS010020010010243..

[용재유고] 한국고대사 자료집 고조선 부여편 4: 문집(하)

한국고대사 자료집 고조선 부여편 4: 문집(하) 동북아역사 자료총서 55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 지음 ㅣ 동북아역사재단 | 2021년 12월 31일 출간 ISBN : 9788961877169(896187716X) 쪽수 : 652쪽 크기 : 197 * 265 * 41 mm /1770g 책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역사/문화 > 한국사 > 한국고대사 이 시리즈는 국내 사료 가운데 발해사 관련 사료를 번역하고 주석한 자료집이다. 동북아역사재단의 전신인 고구려연구재단은 2004년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던 발해사 관련 한국사료를 중심으로 『발해사 자료집(상·하)』를 발간했다. 이를 2007년 동북아역사재단에서 재간행하였으나 그간 발해사 연구는 사료가 매우 부족하여 양적·질적 성장이 제한되어 있었다..

[부사공 이희무] [무과] 영조(英祖) 4년(1728) 무신(戊申) 별시(別試) 병과(丙科) 430위(446/633)

부사공(府事公) 이희무(李喜茂)*판사공(判事公) 이양직(李良直)의 11세손[무과] 영조(英祖) 4년(1728) 무신(戊申) 별시(別試) 병과(丙科) 430위(446/633)[인물요약]자(字): 화중(和仲)생년: 을해(乙亥) 1695년 (숙종 21)합격연령: 34세본인본관: 경주(慶州)거주지: 덕산(德山)[이력사항]선발인원: 633명 [甲1‧乙15‧丙617(613)]전력: 한량(閑良)무과규구: 유엽전 1순 5시 2중(柳葉箭一巡五矢二中)               기추 1차 5시 1중(騎騶一次五矢一中)              취 각기 입격(取各技入格)부모구존: 엄시하(嚴侍下)[가족사항][부(父)]성명 : 이홍제(李弘濟)관직 : 유학(幼學)[안항(鴈行)]제(弟) : 이희태(李喜泰)[출전]『무신별시문무과방목(戊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