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봉공(德峯公) 이진택(李鎭宅) 1738(영조 14)~1805(순조 5). 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양중(養重), 호는 덕봉(德峯). 경주 출신으로 이진원(李晉遠)의 문인으로 8세 때에 닭싸움을 보고 “상앙(商鞅)의 법으로 논죄할 것 같으면 이 닭은 당장 삶아 먹을 것을.....(若論商鞅法 此鷄當烹食.....)”이라는 글을 지어 스승을 놀라게 하였다. 1780년(정조 4)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부정자를 거쳐 성균전적·예조정랑·사헌부감찰·병조좌랑·사헌부지평·장령 등을 역임하였다. 김상로(金尙魯)·홍계희(洪啓禧)가 사도세자의 사건에 책임이 있으므로 부관참시(剖棺斬屍)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1793년 대간으로 있을 때 사노비혁파(寺奴婢革罷)를 상소하여 결정적인 계기를 조성하였으며 1801년(순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