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이씨 인물 과거 240

재사당공(再思堂公) 이원(李黿)

재사당공(再思堂公) 이원(李黿) ?~1504(연산군 10). 조선 초기의 문신 자는 낭옹(浪翁), 호는 재사당(再思堂). 명상 제현(齊賢)의 7세손으로 현령 공린(公麟)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증이조판서 박팽년(朴彭年)의 딸이다. 1989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이 되고 1495년(연산군 1)에 사가독서(賜暇讀書)하였으며 그 뒤 호조좌랑을 거쳐 봉상시에 재직하면서 공의 스승인 김종직(金宗直)에게 문충(文忠)의 시호를 줄 것을 제안하였다. 1498년 무오사화 때 이로 인하여 곽산에 장류(杖流)되었다가 4년만에 다시 나주로 이배되었는데, 1504년 갑자사화로 참형을 당하였다. 1506년(중종 1)에 중종반정으로 신원(伸寃)되었고 뒤에 나주의 영강사(榮江祠)와 곽산의 월포사(月浦祠)에 배향되었다. 유고로..

지퇴당공(知退堂公) 이정형(李廷馨)

지퇴당공(知退堂公) 이정형(李廷馨) 1549(명종 4)~1607(선조 40).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덕훈(德薰), 호는 지퇴당(知退堂) 또는 동각(東閣). 사직서령 탕(宕)의 아들이고 지중추부사 정암(廷馣)의 아우이다. 정윤희(丁胤禧)의 문인으로 1567년(명종 22) 사마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별시문과에 갑과로 합격하여 평시서직장이 되고 1570년(선조 3) 형조좌랑·전적·호조좌랑·사관·형조정랑을 거쳐 1574년 사간원정언·경성판관이 되고 1576년 개성부경력이 되었는데, 전곡(錢穀)·사송(詞訟)을 잘 처리하여 부민들의 칭송을 받았다. 1578년 하지사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사헌부장령·성균관사성·함경도순무어사·광주목사·홍문관부수찬·의정부검상·승정원좌부승지·대사성을 거쳐 1589년 형조참의가 되었다..

국당공(菊堂公) 이천(李蒨)

국당공(菊堂公) 이천(李蒨) ?~ 1349(충정왕 1). 고려 후기의 문신 자는 군실(君實), 호는 국당(菊堂). 1299년(충렬왕 25) 성균시에 장원급제하고 1321년(충숙왕 8) 우사보(右思補)로서 폐인(嬖人) 이인길(李仁吉)의 첩의 아버지 서경낭장(西京郎將) 최득화(崔得和)을 수주수령(隨州守令)으로 임명하려 하자 신(告身)에 서명하지 않으므로 왕이 진노하여 곤장을 치고 섬에 유배하니 공의 직성(直聲)이 일세에 떨쳤다. 1344년(충혜왕 복위5) 지공거(知貢擧) 박충좌(朴忠佐)와 함께 동지공거로 진사 33인을 뽑았고,충목왕 즉위 원년 첨의평리상의로 교사(郊赦. 하늘에 제사 지내고 은사(恩赦)를베푸는 일)를 축하하고 돌아왔다. 뒤에 정당문학·밀직사사·추성보리공신 삼중대광첨의정승(推誠輔理功臣三重大匡僉議..

정렬공(貞烈公) 이규(李揆)

정렬공(貞烈公) 이규(李揆) 대호군 고려후기의 무신 충선왕 때 대호군을 거쳐 1324년(충숙왕 11) 우대언에 등용되고, 다음해 충숙왕의 비(妃) 조국장공주(曺國長公主)가 용산행궁(龍山行宮)에서 죽자 원나라에 가서 공주의 상을 알렸다. 1327년 밀직부사로서 충숙왕이 1321∼1325년까지 원나라에 억류되어 있는 동안 충성을 다하여 충숙왕을 섬긴 공으로 2등공신이 되고, 다음해 원나라에 가서 연호를 고친 것을 축하하였다. 1330년(충혜왕 즉위년) 첨의참리(僉議參理)에 올랐다. 1341년(충혜왕 복위 2) 충혜왕으로 다시 왕위를 계승하도록 하라는 충숙왕의 유명에 따라 원나라에 들어가 충혜왕의 복위를 위하여 노력하였다. 1346년(충목왕 2) 충혜왕 묘정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정렬(貞烈)이다. 이규는 월성..

문하시중공(門下侍中公) 이총섬(李寵暹)

문하시중공(門下侍中公) 이총섬(李寵暹) 門下侍中○高麗成宗에 置門下하니 秩二品. *1987년 경주이씨 대종보 [문하시중(門下侍中). ○고려성종(高麗成宗)때에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설치하니 2품(二品)관직이다.] 이총섬(李寵暹) 생몰년 미상. 고려 전기의 문신 고려 목종 때 오묘(五廟)와 사직(社稷)의 건립을 주관하였고, 국자감 시험제도를 청원하여 성사시켰다. 그는 남궁원청(南宮元淸), 이윤관(李允寬), 중국에서 온 오인유(吳仁裕) 등과 함께 고려에도 오묘와 사직의 건립을 주청하여 성사시킨 뒤 이를 주관하였고, 광종 때 들어온 과거 시험과는 별도로 국자감에서 별도로 주관하는 국자감시 설립을 청원하여 성사시켰다. 과거 제도는 광종 때 이미 들어왔으나 국자감시는 그의 건의로 처음 창설되었다. 그 뒤 벼슬은 문하..

중흥조(中興祖) 15세 열헌공(悅軒公) 휘 핵(翮)

중흥조(中興祖) 15세 열헌공(悅軒公) 휘 핵(翮) 자(字)는 만리(萬里)이고 호(號)는 열헌(悅軒)이며 초휘(初諱-처음 이름)는 타(駝)이다. 중조 14세손인 문하평리 열헌공(悅軒公) 휘 핵에 이르러 3자 9손이 모두 현달하여 이름을 떨쳤으므로 열헌공을 경주 이문(慶州李門)의 ‘중흥조(中興祖)’로 받들고 있다. 열헌공은 문하평리(門下評理)로 벼슬이 높았을 뿐만이 아니라 인덕이 겸비하여 3대(본인, 아들, 손자)에 13명 중 5인(송암공 세기. 사인공 부. 이암공 관. 익재공 제현. 국당공 천)이 성균괴(成均魁)로 장원급제(壯元及第)하고 충렬왕(忠烈王) 때는 진(瑱- 東菴公)과 세기(世基)가 2.3위로 천장급제(天場及第)하여 황패(黃牌)를 받았고 나머지 손자들도 모두 현달(顯達)하여 가문을 크게 일으켰다..

월성군 7세손 천유당공(天有堂公) 이덕연(李德淵)

월성군 7세손 천유당공(天有堂公) 이덕연(李德淵)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③대사헌공(大司憲公) 승직(繩直) → 5世孫 ⑤금호공(琴湖公) 시민(時敏) → 6世孫 ②용재공(慵齋公) 종준(宗準) → 7世孫 천유당공(天有堂公) 덕연(德淵) ○생부(生父)는 공준(公準)이요, 字는 성원(聖源). 참봉불사(參奉不仕). ○墓는 순흥건정고대동(順興乾井古臺洞). ○配는 원주변씨(原州邊氏) 생원(生員) 광(廣)의 女. 부사직(副司直) 희(希)의 칠대손(七代孫). 군수(郡守) 영(寧)의 증손(曾孫). 안동(安東) 권철경(權哲經)의 외손(外孫).. *출처: 198..

월성군 7세손 돈녕도정공(敦寧都正公) 이사종(李嗣宗)

월성군 7세손 돈녕도정공(敦寧都正公) 이사종(李嗣宗)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①계천군(鷄川君) 종직(從直) → 5世孫 ①현감공(縣監公) 길상(吉祥) → 6世孫 ③현감공(縣監公) 오(䎸) → 7世孫 돈녕도정공(敦寧都正公) 사종(嗣宗) ○字는 대건(大建) 연산(燕山) 을묘(乙卯, 1495)年 진사(進士). 영안(令按) 국조실록칙(國朝實錄則) 공지입조위관사적(公之立朝位官事蹟)이 소소재록(昭昭載錄)하니 약거기대자칙(若擧其大者則) 안동부사(安東府使), 성주목사(星州牧使), 장단부사(長湍府使), 철원부사등(鐵原府使等) 시직(是職)이 개외력자이재철원시(..

월성군 6세손 훈도공(訓導公) 이공준(李公準)

월성군 6세손 훈도공(訓導公) 이공준(李公準)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③대사헌공(大司憲公) 승직(繩直) → 5世孫 ⑤금호공(琴湖公) 시민(時敏) → 6世孫 ④훈도공(訓導公) 공준(公準) ○1471년(성종 2, 신묘)生. 훈도(訓導). ○配는 진성이씨(眞城李氏). ○墓는 금계(琴溪) 사망동(沙芒洞). 간좌(艮坐) 상하분(上下墳). 유갈(有碣) 문소(聞韶) 김창기(金昌祺) 지음. *출처: 1987년 경주이씨(慶州李氏) 대종보(大宗譜) ◈訓導月城李公墓碣銘(훈도월성이공묘갈명) 幷序(병서) -聞韶(문소) 金昌棋(김창기) 撰(찬) https://yon..

월성군 6세손 눌재공(訥齋公) 이홍준(李弘準)

월성군 6세손 눌재공(訥齋公) 이홍준(李弘準)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③대사헌공(大司憲公) 승직(繩直) → 5世孫 ⑤금호공(琴湖公) 시민(時敏) → 6世孫 ③눌재공(訥齋公) 홍준(弘準) ○1523년(중종 18, 계미)卒. 字는 군식(君式)이요, 號는 눌재(訥齋). 성종(成宗) 무오(戊午)에 진사(進士)를 하고 무오화후(戊午禍後) 세로(世路)에 뜻이 없어 감사(監司)가 이재행(以才行)으로 천(薦)하되 칭질불사(稱疾不仕)하고 상구(甞搆) 외영당(畏影堂) 어내성현(於奈城縣)하고 소요자적(逍遙自適)하니 사재영가지(事載永嘉誌) 향백록리사(享栢麓里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