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이씨 인물 과거 240

경절공(景節公) 이래(李來)

경절공(景節公) 이래(李來) 1362(공민왕 12)~1416(태종 16).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 초묭은 내(徠), 자는 낙보(樂甫). 존오(存吾)의 아들. 10세의 어린 나이로 전객녹사(典客綠事)에 특임되고 1383년(우왕 9)에 문과에 급제, 우사의대부에 올랐다. 1392년(공민왕 4)에 정몽주의 일당으로 몰려 게림(鷄林)으로 유배되었다가 풀렸고 1399년(정종 1)에 좌간의대부, 이듬해 방간(芳幹)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워 추층좌명공신(推忠佐命功臣) 2등에 책록되었고 계림군(鷄林君)에 책봉되었다. 1402년(태종 2)에 대사간을 거쳐 공조판서에 오르고 1404년 정조사(正朝使)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대사헌이 되었으며 이듬해에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이 되었고 1407년에 죄빈객, 이듬해에 지의정..

충민공(忠愍公) 이명민(李命敏)

충민공(忠愍公) 이명민(李命敏) ?~1453(단종 1) 조선 초기의 문신 자는 이회(而晦), 호는 지지당(知止堂). 대사헌 승직(繩直)의 아들. 1448년 내불당(內佛堂)의 신축을 감독한 일로 호조좌랑, 선곤감부정에 오르고 1452년(단종 1) 이후 안악군수, 이듬해에 계유정란(癸酉靖亂) 때에 김종서*황보인 등과 함께 수양대군 일파에게 살해되었다. 숙종 때에 병조참판이 추증되었고 영월의 팔충신조사단(八忠臣朝士壇)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충민(忠愍)이다. *경주이씨중앙화수회: http://gjlee.org/dr4/men/men_list.asp 이명민(李命敏) ?~1453년(단종 1) 조선전기 호조좌랑, 선공감부정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이회(而晦), 호는 지지당(知止堂). 아버지는 대..

영화감독 이명우(李明雨)

영화감독 이명우(李明雨) 1901~? 촬영기사*영화감독 형은 우리나라 최초의 촬영기사이며 녹음기사인 필우(弼雨)이다. 게성학교(桂成學校) 졸업 후에 조선키네마프로덕션에 입사하여 촬영기술을 배웠다. 1927년 김해운(金海運) 감독의 을 촬영하여 영화게에 데뷔했고 (1927년)을 감독, 촬영, 편집까지 맡아서 성공리에 마쳤다. 1930년 이영구(李龜永) 감독의 를 촬영, 편집하고 무성영화시대의 대표작인 (1931년. 감독 김상진(金尙鎭)), (1932년. 감독 이규환(李圭煥)) 등을 촬영하였다. 1935년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발성영화인 (경성촬영소)의 감독*촬영*편집을 맡았고 형 필우는 녹음*현상*조명을 맡았다. 그의 감독 작품으로는, (1936)*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1939)등이 있다. 1937년에 ..

정헌공(定獻公) 이몽량(李夢亮)

정헌공(定獻公) 이몽량(李夢亮) 1499(연산군 5)~1546(명종 19) 조선 중기의 명신 자는 응명(應明). 증좌찬성 예신(禮臣)의 아들이며 선조 때의 명상(名相) 항복(恒福)의 아버지. 1528년 형 몽윤과 함께 문과에 급제 사간원정언을 거쳐 1539년 특명으로 경상도 어사가 되어 민정을 살피고 명종이 즉위하면서 위사공신(衛社功臣) 3등이 되었고 대사간에 이르렀다. 1560년 한성부판윤을 거쳐 형조판서․우참찬에 이르렀다. 증영의정에 추서되고 시호는 정헌(定獻)이다. *경주이씨중앙화수회: http://gjlee.org/dr4/men/men_list.asp 이몽량(李夢亮) 1499년(연산군 5)~1564년(명종 19) 조선전기 병조참판, 경기감사, 예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포도대장(捕盜大將) 이몽린(李夢麟)

포도대장(捕盜大將) 이몽린(李夢麟) 1496(연산군 2)~1563(명종 18) 명종 때의 명장. 자는 국서(國瑞)이고 증이조판서 인신(仁臣)의 장남이며 명상(名相)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의 당숙이다. 어려서부터 무술에 능하여 담장에 구멍을 뚫고 말을 달리면서 활을 쏘아 백발백중하였다. 일찍이 무과에 등제하여 1523년(28세)에 단천군수, 1524년(29세)에 정평(定平)부사, 1530년(35세)에 전라우도수군절도사에 보임된 뒤에 왜선(倭船) 1척을 파쇄하고 적군 17급을 사살햇으며 궁시(弓矢)와 반의(斑衣) 및 잡물(雜物)을 노획하는 전공(戰功)을 올리므로써 남해와 서해에 출몰하는 왜구(倭寇)에게 커다란 타격을 주었다. 그 뒤 관사(觀射) 때마다 번번히 1등하여 가선대부(嘉善大夫)와 숙마(熟馬) ..

명창 두봉(斗峰) 이병성(李炳星)

명창 두봉(斗峰) 이병성(李炳星) 1909~1960. 호는 두봉(斗峰) 고종 때의 거문고의 대가인 수경(壽卿)의 아들이다. 1922년 이왕직아악부원양성소 제 2기생으로 피리를 전공하였고 양금을 겸하였다. 하규일(河圭一)에게 가곡을 배워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1926년 위의 양성소를 졸업한 뒤 아악수․아악수장․아악사를 역임하고 1950년 구왕궁아악부 촉탁, 1952년 국립국악원 국악사를 지내고 1960년 국악진흥회의 국악상을 받았다. 그의 가곡은 장남 동규(東圭)에게 계승되었다. *경주이씨중앙화수회: http://gjlee.org/dr4/men/men_list.asp 이병성(李炳星) 1909년~1960년 일제강점기 아악수, 아악수장, 아악사 등을 역임한 명창. 본관은 경주(慶州). 호는 두봉(斗峯). 서..

문숙공(文肅公) 이보림(李寶林)

문숙공(文肅公) 이보림(李寶林) 생몰년 미상. 고려말의 문신 문하시중 제현(齊賢)의 손자이고 서종(瑞種)의 아들. 1359년 남원부사 때에는 재정을 긴축하여 백성의 부담을 덜어주었고 경산(京山)부사 때는 송사를 잘 처리하여 평판이 좋았다. 1375년에 안동부사로 부임하여 치적(治積)이 뛰어나서 대사헌으로 승진하였다. 이어서 밀직부사가 되었는데 때에 제주도에서 바친 검은 염소를 여러 주에 나누어 기르게 했는데, 한 고위 관리가 사사롭게 분양을 요구하므로 그 부정함을 규탄하고 묵살해버렸다. 뒤에 정당문학에 오르고 계림군(鷄林君)에 봉해졌다. 시호는 문숙(文肅)이다. *경주이씨중앙화수회: http://gjlee.org/dr4/men/men_list.asp 이보림(李寶林) ?~1385년(우왕 11) 고려후기 우..

눌헌공(訥軒公) 이사균(李思鈞)

눌헌공(訥軒公) 이사균(李思鈞) 1471(성종 2)~1536(중종 31) 자는 중경(重卿), 호는 눌헌(訥軒). 1498년에 문과에 급제, 1509년 교리를 거쳐 장악원정․우승지에 이르고 1513년 도승지가 되고 1517년 공조, 형조참의 때에 주청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한 때 조광조일파로 몰리어 좌천되었으나 이조판서․참찬으로 승진되고 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시호는 문강(文剛)이고 ≪訥軒集≫이 있다. *경주이씨중앙화수회: http://gjlee.org/dr4/men/men_list.asp 이사균(李思鈞) 1471년(성종 2)~1536년(중종 31) 조선전기 우승지, 이조판서, 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중경(重卿), 호는 눌헌(訥軒). 이희(李嘻)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

사학자 상백(想白) 이상백(李相佰)

사학자 상백(想白) 이상백(李相佰) 1904~1966 사화학자*사학자*체육인 호는 상백(想白), 백무일재(百無一齋). 시우(時雨)의 3남이며 맏형은 독립운동가이며 중국군 중장인 상정(相定)이고, 중형은 시인 상화(相和)이며 아우는 수렵인(狩獵人) 상오(相旿)이다. 백부 일우(一雨)가 세운 우현서루(友絃書樓)에서 한학을 공부하고 대구보통학교와 와세다제일고등학원을 거쳐 와세다대학문학부 사화철학과를 마치고 와세다대학 동양사상연구소 연구원으로 있다가 재외특별연구원으로 중국에 파견되어 동양학을 더욱 고구하였다. 그 사이에 본국에 자주 왕래하면서 진단학회의 창립에 참여하고 ≪진단학보≫에도 무게있는 논문을 많이 발표했다. 1945년에 경성대학 교수로 취임하고 1947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화학과를 신설하였으며 죽..

보재공(溥齋公) 이상설(李相卨)

보재공(溥齋公) 이상설(李相卨) 1870~1917 이상설(相卨)은 서기 1870년~1917에 출생하였는 바 자는 순오(舜五), 호는 보재(溥齋), 충북 진천(鎭川) 출신으로 행우(行雨)의 장남이며 7세 때 용우(龍雨)에게 입양되었다. 이범세(李範世)·여규형(呂圭亨)·이회영(李會榮)·이시영(李始榮) 등과 신학문을 배웠다. 헐버트(Hulbert, H.B.)와도 친교를 맺어 영어·불어를 익히고 수학·물리·화학·경제학·국제법 등을 공부하였다. 고종 31년(서기 1894) 문과에 급제하고 이이(李珥)를 조술(祖述)할만한 학자라는 평을 받았다. 2년 후에 성균관교수 겸 관장·한성사범학교 교관·탁지부 재무관 등을 거쳐서 궁내부 특진관에 승진하였다. 1904년 6월 박승봉(朴勝鳳)과 연명으로 일본인의 황무지개척권의 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