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이씨 인물 과거 240

독립운동가 경산공(庚山公) 이규채(李圭彩)

독립운동가 경산공(庚山公) 이규채(李圭彩) 1888(고종 25)~1947. 독립운동가 일명 규보(圭輔), 자는 공삼, 호는 경산(庚山)*동아(東啞)*우정(宇精). 경기도 포천 출신. 3.1운동 이후 항일의식을 고취하다가 상해로 망명, 1924년 임시의정원의원, 1930년 한국독립당 정치부위원 및 군사부참모장, 1933년 중화민국 제3군 상교참모(上校參謀), 1934년 신한독립단감찰위원장, 1935년 9월 25일 상해에서 일본경찰에게 체포되어 경성지방법원에서 10년 언도를 받고 복역하다가 1940년 가출옥하였고 1945년 단군전봉건회(檀君殿奉建會) 부위원장, 반탁국민연맹회 상무위원, 미소공동회의 대책국민연맹 대표이원, 대한독립촉성국민대회장, 대종교총본사 경의참의 등을 역임했다. 1963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긍당공(肯堂공) 이규헌(李圭憲)

긍당공(肯堂공) 이규헌(李圭憲) 1896~1976. 자는 성빈(聖斌), 호는 긍당(肯堂), 공주출신 항일투사이며 숙부(叔父)인 철영(喆榮)에게 수학했다. 항일투사인 철영의 유업을 지키며 위선사업(爲先事業)에 심혈을 기울였고 조선의 명신 이유태(李惟泰)의 유허비 건립에 참여했고, 철영의 ≪성암집(醒菴集)≫ 출간, 이유태의 ≪초려전집(初廬全集)≫등을 중간하는데 참여했다. 유고로는 ≪긍당집(肯堂集)≫이 있다. *경주이씨중앙화수회: http://gjlee.org/dr4/men/men_list.asp 이규헌(李圭憲) 1896년~1976년 해방 이후 『긍당집』을 저술한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성빈(聖斌), 호는 긍당(肯堂). 공주 출신. 아버지는 이회영(李晦榮)이며, 어머니는 신창맹씨(新昌孟氏)로 맹희술..

의병장 오하공(梧下公) 이규홍(李圭弘)

의병장 오하공(梧下公) 이규홍(李圭弘) 1881(고종 18)~1928. 한말의 의병장 자는 원오(元五), 호는 오하(梧下). 익산 출신. 중추원의관 기영(琪榮)의 아들. 1906년 4월 태인에서 최익현(崔益鉉)과 임병찬(林炳瓚)을 만나 의병에 동참하기로 약속하고 이듬해 10월 의병 200명 총기 300여자루를 갖추고 1907년 11월부터 270명으로 불어난 의병을 이끌고 고산*진안*장수*용담 등의 산악지대에서 왜병 100여명을 사살했다. 1914년 3월에는 임병찬의 대한독립의군부(大韓獨立義軍部)에 참여하고 계속하여 싸우다가 1917년 10월 일본군의 기습을 받아 충남 대덕군 산내면 오도산성(五道山城)에서 일본군과 교전하다가 탈출, 1918년 중국 상해로 망명하여 김규식(金奎植)의 독립청원서 제출을 위한 ..

의병장 모석공(慕石公) 이극복(李克福)

의병장 모석공(慕石公) 이극복(李克福) 1548(명종 3)~1596(선조 29).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자는 유사(有司), 호는 모석(慕石) 또는 모의당(慕義堂). 일찍이 병법과 서상(筮象)을 탐구하면서 궁마술(弓馬術)을 익히더니 1586년 산사(山寺)에서 글을 읽다가 혜성(彗星)이 뻗치는 것을 보고 병란(兵亂)을 예견하고 양곡을 300여석을 북산 굴에 저장하고 1592년 정월에 이경한(李景漢)․이백인(李伯仁) 등과 경주 안압지(雁鴨池)에서 만나 의병을 일으키기로 약속하고 4월에 왜병이 침입하자 그는 총병(摠兵)으로 안강․월성에서 왜적을 격파하고 단주성(檀州城)에서 대승하였고 이어서 화왕산성(火旺山城)의 곽재우(郭再祐)와 합세하여 싸웠다. 1594년 형제가 무과에 급제하여 훈련첨정(訓練僉正)이 되었고 이..

지중추부사공(知中樞府事公) 이기남(李箕男)

지중추부사공(知中樞府事公) 이기남(李箕男) 1598(선조 31)~1680(숙종 6).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정숙(靜叔), 항복(恒福)의 아들. 정경세(鄭經世)의 천거로 관직에 나아가 1636년 병자호란 때 왕을 호종하였고 뒤에 신천군수․서흥부사 등을 지내고 지중추부사에 올랐다. 풍천부사에서 체직(遞職)될 때 쌀 한 섬만을 가지고 올만큼 청렴한 하였다고 한다. *경주이씨중앙화수회: http://gjlee.org/dr4/men/men_list.asp 이기남(李箕男) 1598년(선조 31)~1680년(숙종 6) 조선후기 백령첨사, 이산군수, 풍천부사 등을 역임한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정숙(靜叔). 할아버지는 참찬 이몽량(李夢亮)이고, 아버지는 영의정 이항복(李恒福)이며, 어머니는 감찰 오언후(吳..

운와공(雲窩公) 이달존(李達尊)

운와공(雲窩公) 이달존(李達尊) 1313(충선왕 5)~1340(충혜왕 복위 1) 고려의 문신 자는 천각(天覺), 호는 운와(雲窩). 제현(齊賢)의 아들. 1330년 문과에 급제, 감찰장령, 전의부령 등을 역임하고 1339년 충혜왕이 원으로 잡혀갈 때 아버지와 함께 배종하였고 복위되자 전리총랑(典理摠郞)이 되었으나 이듬해 귀국도중 장림역(長林驛)에서 병사하였다. 특히 문장이 뛰어났다. *경주이씨중앙화수회: http://gjlee.org/dr4/men/men_list.asp 이달존(李達尊) 1313년(충선왕 5)~1340년(충혜왕 복위 1) 고려후기 감찰장령, 전의부령, 전리총랑 등을 역임한 관리.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자는 천각(天覺), 호는 운와(雲窩)이다. 문하시중 이제현(李齊賢)의 아들이다..

제정공(霽亭公) 이달충(李達衷)

제정공(霽亭公) 이달충(李達衷) ?~1335(우왕 11). 고려말의 문신 자는 지중(止中), 호는 제정(霽亭). 천(蒨)의 아들이다. 충숙왕 때 문과에 급제하고 성균관 좨주를 거쳐 전리판서*감찰대부를 역임하고 1360년 호부상서 겸 동북면병마사로 있을 때 직간(直諫)하다가 파면되었으나 1366년 밀직제학으로 기용되어 신돈이 천권(擅權)하던 때에 신돈에게 주색을 일삼는다고 공석상에서 호통친 것으로 파직되었으나 신돈이 주살된 뒤에 계림부윤이 되었고 1385년(우왕 11)에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에 봉해졌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유고로는 ≪霽亭集≫이 있다. *경주이씨중앙화수회: http://gjlee.org/dr4/men/men_list.asp 제정(霽亭) 이달충(李達衷) 1309년~1384년 고려후기 ..

우부대언공(右副代言公) 이담(李擔)

우부대언공(右副代言公) 이담(李擔) 1370(공민왕 19)~1405(태종 5).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 제현(齊賢)의 증손이고 학림(學林)의 아들이다. 1393년(태조 2)에 문과 을과에 급제, 명필로 상서사(尙書司)에 복무하다가 1401년(태종 1)에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우부대언에 이르렀는데 자기 집 개에 물려 죽었다. *경주이씨중앙화수회: http://gjlee.org/dr4/men/men_list.asp 이담(李擔) 1370년(공민왕 19)~1405년(태종 5) 조선전기 직예문관, 우부대언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문하시중(門下侍中) 이제현(李齊賢)의 증손자이고, 아버지는 이학림(李學林)이다. 1393년(태조 2) 춘장문과(春場文科)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글씨를 잘 ..

오촌공(梧村公) 이대건(李大建)

오촌공(梧村公) 이대건(李大建) 1550(명종 5년)~?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여립(汝立), 호는 오촌(梧村). 원(黿)의 증손. 진사였는데 숙종 때 우의정에 추서되고 송천서원(松泉書院)에 배향되었다. *경주이씨중앙화수회: http://gjlee.org/dr4/men/men_list.asp 이대건(李大建) 1550년(명종 5)~1574년(선조 7) 조선전기 우의정에 추증된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여립(汝立), 호는 오촌(梧村). 이원(李黿)의 증손으로, 아버지는 증좌승지 이경윤(李憬胤)이며, 어머니는 원주이씨(原州李氏)로 병절교위 이은(李垠)의 딸이다. 1568년(선조 1) 증광향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유중영(柳仲郢)이 한 고을의 선비들을 모아 시행한 시험에서 1등을 하였다. 그 뒤 1573..

서계공(西溪公) 이득윤(李得胤)

서계공(西溪公) 이득윤(李得胤) 1553(명종 8)~1630(인조 8). 조선 중기의 역학자, 악인(樂人) 자는 극흠(克欽), 호는 서계(西溪). 제현(齊賢)의 후손으로 1588년(선조 21)에 진사, 1597년에 참봉, 왕자사부, 의성현령을 지냈다. 광해군 때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내려가 거문고에 관련한 명(銘)*부(賦)*기(記)*시(詩)*서(書)*고금금보(古今琴譜) 등을 집대성하여 매우 소중한 ≪현금동문유기(玄琴東文類記)≫를 남겼다. 1623년 인조반정 후에 선공감정이 되고 괴산군수로 민심을 수습했다. 신항서원(莘巷書院)과 구계서원(龜溪書院)에 배향되었다. *경주이씨중앙화수회: http://gjlee.org/dr4/men/men_list.asp 이득윤(李得胤) 1553년(명종 8)~1630년(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