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종실록 95권, 성종 9년 8월 6일 을미 2번째기사 1478년 명 성화(成化) 14년
사복시에 효령 대군·밀성군 등의 종친과 신하들에게 말 1필씩을 내리게 명하다
○傳旨司僕寺, 孝寧大君 (補)校〔補〕 、齊安大君 琄、密城君 琛、德源校〔德源君〕 曙、烏山君 澍、誼城君 寀、蛇山君 灝、銀川君 穳、寶城君 㝓、雲山君 誡、玉山君 躋、永川君 定、(寧原君)校〔寧源君〕 灃、定陽君 淳、八溪君 諍校〔淨〕 、江陽君 瀜、春城君 譡、花城君 諶、牛山君 踵、富原君 鎭、歡城君 澄、南川君 崝ㆍ新宗君 孝伯、雲水君 孝誠、淸安君 嶸、會原君 崢、竺山君 孝植、蓮城君 潪+亍、義泉君 承恩、始安君 擢、娥林君 楨、湖山君 鉉、富林君 湜、儒城君 任、遂安君 言+賞、寧仁君 楯、淸風君 源、鵠城君 金孫、龜山君 繼男、居平君 復、金山君 衍、進禮君 衡、永春君 仁、鳳城君 彳+夷、堤川君 蒕、儀賓鄭顯祖ㆍ洪常ㆍ任光載ㆍ姜子順ㆍ鄭麟趾ㆍ鄭昌孫ㆍ韓明澮ㆍ沈澮ㆍ尹士昕ㆍ金國光ㆍ金守溫ㆍ盧思愼ㆍ尹弼商ㆍ金漑ㆍ黃致身ㆍ韓繼禧ㆍ李克培ㆍ洪應ㆍ姜希孟ㆍ徐居正ㆍ許琮ㆍ朴仲善ㆍ柳洙ㆍ閔發ㆍ魚有沼ㆍ權瑊ㆍ李塤ㆍ成任ㆍ趙得琳ㆍ申雲ㆍ李蒙哥ㆍ宣炯ㆍ鄭孝常ㆍ李克增ㆍ韓繼純ㆍ韓致禮ㆍ梁誠之ㆍ康袞ㆍ魚世恭ㆍ尹欽ㆍ朴居謙ㆍ崔適ㆍ李承召ㆍ林自蕃ㆍ尹繼謙ㆍ具壽永ㆍ韓堡ㆍ具文信ㆍ柳溆ㆍ朴叔善ㆍ安仲敬ㆍ李克均ㆍ申瀞ㆍ柳輊ㆍ李存命ㆍ申浚ㆍ洪益誠ㆍ浪三波ㆍ金尙美ㆍ李珠ㆍ金堅壽ㆍ尹末孫ㆍ李欽石ㆍ曺漢臣ㆍ柳漢ㆍ韓嶬ㆍ徐敬生ㆍ具謙ㆍ具致洪ㆍ河叔溥ㆍ金瑞衡ㆍ金繼貞ㆍ李陽生ㆍ朴埴ㆍ孟碩欽ㆍ金紐ㆍ尹壕ㆍ朴星孫ㆍ呂義輔ㆍ孫舜孝ㆍ朴叔蓁ㆍ洪貴達ㆍ金升卿ㆍ李瓊仝ㆍ金季昌ㆍ柳洵ㆍ李得壽ㆍ金祿等各賜兒馬一匹。
사복시(司僕寺)에 전지(傳旨)하여, 효령 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제안 대군(齊安大君) 이현(李琄)·밀성군(密城君) 이침(李琛)·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오산군(烏山君) 이주(李澍)·의성군(誼城君) 이채(李寀)·사산군(蛇山君) 이호(李灝)·은천군(銀川君) 이찬(李穳)·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운산군(雲山君) 이계(李誡)·옥산군(玉山君) 이제(李躋)·영천군(永川君) 이정(李定)·영원군(寧源君) 이예(李澧)·정양군(定陽君) 이순(李淳)·팔계군(八溪君) 이정(李淨)·강양군(江陽君) 이융(李瀜)·춘성군(春城君) 이당(李譡)·화성군(花城君) 이심(李諶)·우산군(牛山君) 이종(李踵)·부원군(富原君) 이진(李鎭)·환성군(歡城君) 이징(李澄)·남천군(南川君) 이쟁(李崝)·신종군(新宗君) 이효백(李孝伯)·운수군(雲水君) 이효성(李孝誠)·청안군(淸安君) 이영(李嶸)·회원군(會原君) 이쟁(李崢)·축산군(竺山君) 이효식(李孝植)·연성군(蓮城君) 이직(李潪 +亍)·의천군(義泉君) 이승은(李承恩)·시안군(始安君) 이탁(李擢)·아림군(娥林君) 이정(李楨)·호산군(湖山君) 이현(李鉉)·부림군(富林君) 이식(李湜)·유성군(儒城君) 이임(李任)·수안군(遂安君) 이당(李譡)·영인군(寧仁君) 이순(李揗)·청풍군(淸風君) 이원(李源)·곡성군(鵠城君) 이금손(李金孫)·귀산군(龜山君) 이계남(李繼男)·거평군(居平君) 이복(李復)·금산군(金山君) 이연(李衍)·진례군(進禮君) 이형(李衡)·영춘군(永春君) 이인(李仁)·봉성군(鳳城君) 이이(李彳+夷)·제천군(堤川君) 이온(李蒕), 의빈(儀賓) 정현조(鄭顯祖)·홍상(洪常)·임광재(任光載)·강자순(姜子順)·정인지(鄭麟趾)·정창손(鄭昌孫)·한명회(韓明澮)·심회(沈澮)·윤사흔(尹士昕)·김국광(金國光)·김수온(金守溫)·노사신(盧思愼)·윤필상(尹弼商)·김개(金漑)·황치신(黃致身)·한계희(韓繼禧)·이극배(李克培)·홍응(洪應)·강희맹(姜希孟)·서거정(徐居正)·허종(許琮)·박중선(朴仲善)·유수(柳洙)·민발(閔發)·어유소(魚有沼)·권감(權瑊)·이훈(李塤)·성임(成任)·조득림(趙得琳)·신운(申雲)·이몽가(李蒙哥)·선형(宣炯)·정효상(鄭孝常)·이극증(李克增)·한계순(韓繼純)·한치례(韓致禮)·양성지(梁誠之)·강곤(康袞)·어세공(魚世恭)·윤흠(尹欽)·박거겸(朴居謙)·최적(崔適)·이승소(李承召)·임자번(林自蕃)·윤계겸(尹繼謙)·구수영(具壽永)·한보(韓堡)·구문신(具文信)·유서(柳漵)·박숙선(朴叔善)·안중경(安仲敬)·이극균(李克均)·신정(申瀞)·유지(柳輊)·이존명(李存命)·신준(申浚)·홍익성(洪益誠)·낭삼파(浪三波)·김상미(金尙美)·이주(李珠)·김견수(金堅壽)·윤말손(尹末孫)·이흠석(李欽石)·조한신(曺漢臣)·유한(柳漢)·한의(韓㠖)·서경생(徐敬生)·구겸(具謙)·구치홍(具致洪)·하숙부(河叔溥)·김서형(金瑞衡)·김계정(金繼貞)·이양생(李陽生)·박치(朴埴)·맹석흠(孟碩欽)·김유(金紐)·윤호(尹壕)·박성손(朴星孫)·여의보(呂義輔)·손순효(孫舜孝)·박숙진(朴叔蓁)·홍귀달(洪貴達)·김승경(金升卿)·이경동(李瓊仝)·김계창(金季昌)·유순(柳洵)·이득수(李得壽)·김녹(金祿) 등에게 각각 아마(兒馬) 한 필씩을 하사하게 하였다.
【태백산사고본】 15책 95권 5장 A면 【국편영인본】 9책 638면
【분류】 왕실-사급(賜給)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http://sillok.history.go.kr/id/kia_10908006_002
'주요인물 (二) > 양평공◇이양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종실록] 귀화인으로 사람을 죽인 이아대를 형조에서 국문케 하다 (0) | 2018.12.10 |
---|---|
[성종실록] 사헌부에서 계성군 이양생이 사헌부 금란리를 결박한 죄를 국문하기를 청하다 (0) | 2018.12.10 |
[성종실록] 대사헌 김유가 김자정·차득참의 제조의 직을 박탈할 것을 청하다 (0) | 2018.12.10 |
[성종실록] 이우보·안침 등과 능원에서 흉악한 짐승을 몰아내는 것에 대해 논의하다 (0) | 2018.12.10 |
[성종실록] 대사헌 김영유·영사 김질이 유자광은 서얼이므로 도총관으로 삼을 수 없음을 아뢰다 (0) | 2018.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