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종실록 41권, 성종 5년 4월 17일 신미 3번째기사 1474년 명 성화(成化) 10년
의금부에 명하여 지방과 관청의 노비·서리로 정속한 자들을 방면하게 하다
○傳旨義禁府: "放珍島永屬官婢小斤加伊ㆍ婢溫伊ㆍ婢卜今ㆍ婢老介ㆍ婢內隱非ㆍ婢丁非ㆍ婢卜非ㆍ婢卜加伊、淸河永屬官奴李文仲、興海永屬官奴李承仲、南海永屬官奴李禮中、康津安置李芿叱同ㆍ李銀同ㆍ李金同ㆍ仲孫ㆍ金生叔ㆍ丁仁ㆍ丁終同、長鬐永屬官奴李永山、順天永屬官奴李介甫ㆍ李陽生ㆍ夫老ㆍ只下通ㆍ李同、水原安置許惟禮、造紙署徒年定役朴延年ㆍ朴侶ㆍ韓玉山ㆍ許山ㆍ鄭麟孫ㆍ金仲元ㆍ徐用守ㆍ金今山ㆍ魯叔文ㆍ金生ㆍ金長守ㆍ咸善同ㆍ李莫同ㆍ金有信ㆍ林貴成ㆍ龍石生ㆍ崔乃斤乃ㆍ咸連ㆍ鄭止善ㆍ池古進ㆍ鄭文、礪山付處孟碩欽、龍安付處金承順、南原付處金性原、中學書吏定屬趙忠武ㆍ朴好謙。"
의금부(義禁府)에 전지(傳旨)하기를,
"진도(珍島)에 영속(永屬)한 관비(官婢) 소근가이(小斤加伊)와 여종[婢] 온이(溫伊)·여종 복금(卜今)·여종 노개(老介)·여종 내은비(內隱非)·여종 정비(丁非)·여종 복비(卜非)·여종 복가이(卜加伊), 그리고 청하(淸河)에 영속(永屬)한 관노(官奴) 이문중(李文仲)과, 흥해(興海)에 영속한 관노 이승중(李承仲), 남해(南海)에 영속한 관노 이예중(李禮中)과, 강진(康津)에 안치(安置)한 이잉질동(李芿叱同)·이은동(李銀同)·이금동(李金同)·이중손(李仲孫)·김생숙(金生叔)·정인(丁仁)·정종동(丁終同)과 장기(長鬐)에 영속한 관노 이영산(李永山)과, 순천(順天)에 영속한 관노 이개보(李介甫)·이양생(李陽生)·부노(夫老)·지하통(只下通)·이동(李同)과, 수원(水原)에 안치(安置)한 허유례(許惟禮), 그리고 조지서(造紙署)에 도년(徒年)205) 으로 정역(定役)한 박연년(朴延年)·박여(朴侶)·한옥산(韓玉山)·허산(許山)·정인손(鄭麟孫)·김중원(金仲元)·서용수(徐用守)·김금산(金今山)·노숙문(魯叔文)·김생(金生)·김장수(金長守)·함선동(咸善同)·이막동(李莫同)·김유신(金有信)·임귀성(林貴成)·용석생(龍石生)·최내근내(崔乃斤乃)·함연(咸連)·정지선(鄭止善)·지고진(池古進)·정문(鄭文)과, 여산(礪山)에 부처(付處)한 맹석흠(孟碩欽)과 용안(龍安)에 부처한 김승순(金承順)과, 남원(南原)에 부처한 김성원(金性原)과 중학(中學)206) 서리(書吏)로 정속(定屬)한 조충무(趙忠武)·박호겸(朴好謙)을 방면(放免)하게 하라."
하였다.
【태백산사고본】 6책 41권 8장 A면 【국편영인본】 9책 102면
【분류】 사법-행형(行刑) / 신분-신분변동(身分變動)
[註 205] 도년(徒年) : 도(徒) 1년 형을 말함.
[註 206] 중학(中學) : 사학(四學)의 하나.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http://sillok.history.go.kr/id/kia_10504017_003
의금부에 명하여 지방과 관청의 노비·서리로 정속한 자들을 방면하게 하다
○傳旨義禁府: "放珍島永屬官婢小斤加伊ㆍ婢溫伊ㆍ婢卜今ㆍ婢老介ㆍ婢內隱非ㆍ婢丁非ㆍ婢卜非ㆍ婢卜加伊、淸河永屬官奴李文仲、興海永屬官奴李承仲、南海永屬官奴李禮中、康津安置李芿叱同ㆍ李銀同ㆍ李金同ㆍ仲孫ㆍ金生叔ㆍ丁仁ㆍ丁終同、長鬐永屬官奴李永山、順天永屬官奴李介甫ㆍ李陽生ㆍ夫老ㆍ只下通ㆍ李同、水原安置許惟禮、造紙署徒年定役朴延年ㆍ朴侶ㆍ韓玉山ㆍ許山ㆍ鄭麟孫ㆍ金仲元ㆍ徐用守ㆍ金今山ㆍ魯叔文ㆍ金生ㆍ金長守ㆍ咸善同ㆍ李莫同ㆍ金有信ㆍ林貴成ㆍ龍石生ㆍ崔乃斤乃ㆍ咸連ㆍ鄭止善ㆍ池古進ㆍ鄭文、礪山付處孟碩欽、龍安付處金承順、南原付處金性原、中學書吏定屬趙忠武ㆍ朴好謙。"
의금부(義禁府)에 전지(傳旨)하기를,
"진도(珍島)에 영속(永屬)한 관비(官婢) 소근가이(小斤加伊)와 여종[婢] 온이(溫伊)·여종 복금(卜今)·여종 노개(老介)·여종 내은비(內隱非)·여종 정비(丁非)·여종 복비(卜非)·여종 복가이(卜加伊), 그리고 청하(淸河)에 영속(永屬)한 관노(官奴) 이문중(李文仲)과, 흥해(興海)에 영속한 관노 이승중(李承仲), 남해(南海)에 영속한 관노 이예중(李禮中)과, 강진(康津)에 안치(安置)한 이잉질동(李芿叱同)·이은동(李銀同)·이금동(李金同)·이중손(李仲孫)·김생숙(金生叔)·정인(丁仁)·정종동(丁終同)과 장기(長鬐)에 영속한 관노 이영산(李永山)과, 순천(順天)에 영속한 관노 이개보(李介甫)·이양생(李陽生)·부노(夫老)·지하통(只下通)·이동(李同)과, 수원(水原)에 안치(安置)한 허유례(許惟禮), 그리고 조지서(造紙署)에 도년(徒年)205) 으로 정역(定役)한 박연년(朴延年)·박여(朴侶)·한옥산(韓玉山)·허산(許山)·정인손(鄭麟孫)·김중원(金仲元)·서용수(徐用守)·김금산(金今山)·노숙문(魯叔文)·김생(金生)·김장수(金長守)·함선동(咸善同)·이막동(李莫同)·김유신(金有信)·임귀성(林貴成)·용석생(龍石生)·최내근내(崔乃斤乃)·함연(咸連)·정지선(鄭止善)·지고진(池古進)·정문(鄭文)과, 여산(礪山)에 부처(付處)한 맹석흠(孟碩欽)과 용안(龍安)에 부처한 김승순(金承順)과, 남원(南原)에 부처한 김성원(金性原)과 중학(中學)206) 서리(書吏)로 정속(定屬)한 조충무(趙忠武)·박호겸(朴好謙)을 방면(放免)하게 하라."
하였다.
【태백산사고본】 6책 41권 8장 A면 【국편영인본】 9책 102면
【분류】 사법-행형(行刑) / 신분-신분변동(身分變動)
[註 205] 도년(徒年) : 도(徒) 1년 형을 말함.
[註 206] 중학(中學) : 사학(四學)의 하나.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http://sillok.history.go.kr/id/kia_10504017_003
*『순천(順天)에 영속한 관노 이개보(李介甫)·이양생(李陽生)』 이란 기록은
계성군(鷄城君) 이양생(李陽生)의 기록인지 불문명하다.
관노로 갔다는 것이 터무니 없는 것이고 또다른 기록을 찾을 수가 없다.
*『강진(康津)에 안치(安置)한 이잉질동(李芿叱同)·이은동(李銀同)·이금동(李金同)』에서
이잉질동(李芿叱同)·이은동(李銀同)은 충민공(忠愍公) 이명민(李命敏)의 조카이다.
[아래 참고]
세조실록 47권, 세조 14년 9월 6일 임술 3번째기사 1468년 명 성화(成化) 4년
계유년의 난신에 연좌된 사람들을 방면하다
○放癸酉年亂臣緣坐人外方從便者, …… 李命敏姪孟準ㆍ銀同ㆍ銀哲ㆍ興祖ㆍ榮祖ㆍ哲同ㆍ煥昇ㆍ年同ㆍ末孫ㆍ吾乙ㆍ未同ㆍ芿叱同ㆍ仲同、(以下 省略)
계유년(癸酉年)450) 의 난신(亂臣)에 연좌(緣坐)된 사람으로 외방 종편(外方從便)한 자인 …… 이명민(李命敏)의 조카 이맹준(李孟準)·이은동(李銀同)·이은철(李銀哲)·이흥조(李興祖)·이영조(李榮祖)·이철동(李哲同)·이환승(李煥昇)·이연동(李年同)·이말손(李末孫)·이오을(李吾乙)·이미동(李未同)·이잉질동(李芿叱同)·이중동(李仲同) (이하 생략)
【태백산사고본】 17책 47권 20장 A면 【국편영인본】 8책 209면
【분류】 사법-행형(行刑)
[註 450] 계유년(癸酉年) : 1453 단종 원년.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http://sillok.history.go.kr/id/kga_11409006_003
'주요인물 (二) > 양평공◇이양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종실록] 오치권의 활을 임득창에게 쏘아 보도록 하고 그 활로 항상 연습하게 하다 (0) | 2018.12.10 |
---|---|
[성종실록] 후원에서 신하들이 활 쏘는 것을 구경하고 잘 쏜 이양생 등에게 상을 주다 (0) | 2018.12.10 |
[성종실록] 도승지 이숭원이 병졸을 사사로이 부린 포도장 이양생의 파직을 청하니 허락하다 (0) | 2018.12.10 |
[성종실록] 임금의 장막 앞을 말타고 지나간 이자겸·정철견·정여유의 죄를 신하들과 논의하다 (0) | 2018.12.10 |
[성종실록] 유자광·홍순로·이양생·김순신 등에게 관작을 제수하다 (0) | 2018.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