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종실록 23권, 성종 3년 10월 2일 을축 4번째기사 1472년 명 성화(成化) 8년
유자광·홍순로·이양생·김순신 등에게 관작을 제수하다
○以柳子光爲崇政武靈君, 洪純老嘉靖唐城君, 李陽生嘉靖雞城君, 金舜臣嘉善僉知中樞府事。
유자광(柳子光)을 숭정 대부(崇政大夫) 무령군(武靈君)으로, 홍순로(洪純老)를 가정 대부(嘉靖大夫) 당성군(唐城君)으로, 이양생(李陽生)을 가정 대부 계성군(雞城君)으로, 김순신(金舜臣)을 가선 대부(嘉善大夫)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로 삼았다.
【태백산사고본】 4책 23권 1장 B면 【국편영인본】 8책 688면
【분류】 인사-임면(任免)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http://sillok.history.go.kr/id/kia_10310002_004
유자광·홍순로·이양생·김순신 등에게 관작을 제수하다
○以柳子光爲崇政武靈君, 洪純老嘉靖唐城君, 李陽生嘉靖雞城君, 金舜臣嘉善僉知中樞府事。
유자광(柳子光)을 숭정 대부(崇政大夫) 무령군(武靈君)으로, 홍순로(洪純老)를 가정 대부(嘉靖大夫) 당성군(唐城君)으로, 이양생(李陽生)을 가정 대부 계성군(雞城君)으로, 김순신(金舜臣)을 가선 대부(嘉善大夫)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로 삼았다.
【태백산사고본】 4책 23권 1장 B면 【국편영인본】 8책 688면
【분류】 인사-임면(任免)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http://sillok.history.go.kr/id/kia_10310002_004
'주요인물 (二) > 양평공◇이양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종실록] 도승지 이숭원이 병졸을 사사로이 부린 포도장 이양생의 파직을 청하니 허락하다 (0) | 2018.12.10 |
---|---|
[성종실록] 임금의 장막 앞을 말타고 지나간 이자겸·정철견·정여유의 죄를 신하들과 논의하다 (0) | 2018.12.10 |
[성종실록] 이양생이 강도인 고도금·말응귀·가을마·수을외를 잡아 오다 (0) | 2018.12.10 |
[성종실록] 후원에 나아가 관사하고 많이 맞힌 자에게 활과 화살을 하사하다 (0) | 2018.12.10 |
[성종실록] 난신에 연좌된 자들을 옮겨 안치하고 영풍군의 처 소사 등을 방면케 하다 (0) | 2018.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