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적지 유물/안동지역◇유적

경광기사(鏡光記事) -용재유고(慵齋遺稿) 부록(附錄)

용재공 16세손 이제민 2019. 1. 16. 13:18

鏡光記事

용재유고(慵齋遺稿) / 附錄


◦鏡光書院上樑文 申悅道

恭惟 慵齋李先生。節槩眞淸。文章大雅。騰望實於朝右。領袖一時。擅名華於中夏。膾炙三絶。秋霜烈日於諫諍之際。惠雨和風於字牧之辰。惟其逢世不祥。以致凶徒搆孼。長途未返於千里。空抛經綸。殄瘁莫贖於百身。竟伏斧鑕。至今士林之扼腕。長吁彼蒼之難諶。

ⓒ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 1988
한국문집총간 > 용재유고 > 慵齋先生遺稿 附訥齋遺稿 > 附錄 > 鏡光記事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O_0087A_0030_040_0110_2003_A016_XML

◈나재집(懶齋集)은 나재(懶齋) 신열도(申悅道)의 文集이다.
○신열도(申悅道) 1589년(선조 22)~1659년(효종 10). 자는 진보(晉甫), 호는 나재(懶齋)이고 본관은 아주(鵝洲)이다. 장현광(張顯光)의 문인. 김응조(金應祖), 김세렴(金世濂), 장응일(張應一) 등과 교유.

*참조: 한국문집총간 > 나재집 > 懶齋先生文集卷之六 > 上梁文 > 鏡光書院上梁文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O_0823A_0060_040_0020_2009_B024_XML

○ 신열도(申悅道)(1589-1647)가 지은 상량문(上樑文).
이종준이 삼절(三絶)로 일컬어졌을 정도로 재주가 뛰어났으면서도 상서롭지 못한 세상을 만나 죽임 당한 일을 사림(士林)이 분격해한다고 적음.

*출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소
http://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kyujanggak.snu.ac.kr/home/MOK/CONVIEW.jsp?type=MOK^ptype=list^subtype=sm^lclass=AL^mclass=^sclass=^ntype=mj^cn=GK04282_00


奉安文 金鶴沙應祖

鶴駕之陽。金溪出焉。彬彬蹈武。地靈人傑。柏竹挺生掛冠高蹈。慵齋繼作。業傳明師。才驚中夏。道觸駭機。

ⓒ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 1988
한국문집총간 > 용재유고 > 慵齋先生遺稿 附訥齋遺稿 > 附錄 > 鏡光記事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O_0087A_0030_040_0110_2003_A016_XML

○ 김응조(金應祖)(1587-1667)가 지은 봉안문(奉安文).
이종준의 일생을 간략히 적어 놓았으며 그 재주와 추상(秋霜)같은 뜻을 잊지 못한다고 함.

*출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소
http://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kyujanggak.snu.ac.kr/home/MOK/CONVIEW.jsp?type=MOK^ptype=list^subtype=sm^lclass=AL^mclass=^sclass=^ntype=mj^cn=GK04282_00


[鶴沙集] 金溪里社奉安文 後改號鏡光

鶴駕之陽。金溪之北。彬彬踵武。地靈人傑。柏竹挺生。掛冠高蹈。天地變化。益勵其操。慵齋繼作。業傳明師。才驚中夏。道觸駭機。敬堂晩出。力學安貧。蒭豢經籍。訓誨我人。前後相望。餘二百祀。傳芳襲美。萃于一里。聞風猶興。矧伊親炙。少長同辭。可祭於社。樂彼空谷。有儼廟宇。涓吉妥靈。寔陳俎豆。風流如昨。謦欬疑聞。課忠責孝。有裨斯文。香煙䙚䙚。陟降洋洋。遺芬未沫。淸洛流長。

*참조: 학사집(鶴沙集)에는 金溪出焉。→金溪之北。, 香煙裊裊。→香煙䙚䙚。

ⓒ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 1992
한국문집총간 > 학사집 > 鶴沙先生文集卷之六 > 祭文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O_0331A_0070_040_0070_2003_A091_XML

◈학사집(鶴沙集)은 학사(鶴沙) 김응조(金應祖)의 文集이다.
○김응조(金應祖) 1587년(선조 20)~1667년(현종 8). 자는 효징(孝徵), 호는 학사(鶴沙), 아헌(啞軒)이고 본관은 풍산(豐山)이다. 유성룡(柳成龍), 장현광(張顯光), 정경세(鄭經世)의 문인(門人).

*참조: 한국문집총간 > 경당집 > 敬堂先生文集卷之二 > 附錄 > 奉安文[金應祖]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O_0281A_0030_040_0040_2003_A069_XML

◈경당집(敬堂集)은 경당(敬堂) 장흥효(張興孝)의 文集이다.
○장흥효(張興孝) 1564년(명종 19)~1633년(인조 11). 자는 행원(行原), 호는 경당(敬堂)이고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특기사항: 김성일(金誠一), 유성룡(柳成龍), 정구(鄭逑)의 문인(門人). 최현(崔晛)과 교유.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의 외조(外祖).


常享祝文 撰同

業傳明師。志勵秋霜。廉頑立懶。百世不忘。

ⓒ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 1988
한국문집총간 > 용재유고 > 慵齋先生遺稿 附訥齋遺稿 > 附錄 > 鏡光記事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O_0087A_0030_040_0110_2003_A016_XML

○ 이종준을 제사지낼 때 쓴 축문(祝文).
이종준의 추상(秋霜)같은 뜻을 기림.

*출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소

http://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kyujanggak.snu.ac.kr/home/MOK/CONVIEW.jsp?type=MOK^ptype=list^subtype=sm^lclass=AL^mclass=^sclass=^ntype=mj^cn=GK04282_00


[二愚堂先生文集] 鏡光書院常享祝文

時危高蹈。世易特立。淸風百代。起我後學。 [右柏竹堂裴先生]
業傳明師。志勵秋霜。廉頑立懦。百世不㤀。 [右慵齋李先生]
早承師訓。力學安貧。敎誨不倦。惠我後人。 [右敬堂張先生]

◈이우당선생문집(二愚堂先生文集)은 권환(權寏)의 시문집이다.
○권환(權寏) 1580년(선조 13)~1652년(효종 3). 자는 택보(宅甫), 호는 이우당(二愚堂)이고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출처: 유교넷. 이우당선생문집(二愚堂先生文集) > 二愚堂先生文集卷之三 > 鏡光書院常享祝文
http://www.ugyo.net/yk/gds/gdsKisaView.jsp?B_SUJI_ID=KSAC_M_A07000218&B_BOOK_ID=KSAC_T_A07000218_002&B_KWON_ID=001&B_STYLE_ID=004&iPage=1&B_KISA_ID=00025


柏麓常享祝文

天分之高。筆翰之逸。道消名流。遺芳益烈。

ⓒ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 1988
한국문집총간 > 용재유고 > 慵齋先生遺稿 附訥齋遺稿 > 附錄 > 鏡光記事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O_0087A_0030_040_0110_2003_A016_XML

○ 백록사(栢麓社)에서 이종준을 제사지낼 때 쓴 축문(祝文).
이종준의 재주를 기림.

*출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소
http://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kyujanggak.snu.ac.kr/home/MOK/CONVIEW.jsp?type=MOK^ptype=list^subtype=sm^lclass=AL^mclass=^sclass=^ntype=mj^cn=GK04282_00



改題時祭文 李簠

恭惟 聖朝。表旌忠賢。洗滌幽枉。峻加官職。玉署華秩。 寵我先生。道光儒林。恩賁泉扃。今茲改題。簪裾畢集。惠我光明。永世無斁。

ⓒ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 1988
한국문집총간 > 용재유고 > 慵齋先生遺稿 附訥齋遺稿 > 附錄 > 鏡光記事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O_0087A_0030_040_0110_2003_A016_XML

○ 이보(李簠)(1629-1710)가 지은 제문(祭文).
이종준이 홍문관직에 증직되었을 때 씀.

*출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소
http://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kyujanggak.snu.ac.kr/home/MOK/CONVIEW.jsp?type=MOK^ptype=list^subtype=sm^lclass=AL^mclass=^sclass=^ntype=mj^cn=GK04282_00


朝野會通略


中宗丙子。追奪李承健爵。 上命書進戊午壁書及事實。政院啓戊午李宗準配富寧。至端川磨谷驛。壁上題宋李師中贈唐介詩。監司李承健。令端川郡守囚鞫宗準。遂馳啓宗準與茂豐副正摠同行。寫詩于壁。宗準以宗直門徒坐謫而猶不懲。托古詩而寓己意。不可不問云云。 上曰。承健之無狀。一至此乎。遂有是命。 正德四年己巳七月初三日。 命還李宗準籍沒財產。

ⓒ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 1988
한국문집총간 > 용재유고 > 慵齋先生遺稿 附訥齋遺稿 > 附錄 > 鏡光記事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O_0087A_0030_040_0110_2003_A016_XML

○ 무오사화때 이종준이 함경도 부령으로 유배가다가 시(詩)를 지어 놓은 일을 조정에 보고한 이승건(李承健)(1452-1502)의 관작이 1516년(중종 11)에 추탈된 일과 단천마곡역(端川磨谷驛) 벽서사건‚ 1509년(중종 4)에 이종준의 적몰재산(籍沒財産)이 환수된 일 등을 적었다.

*출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소

http://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kyujanggak.snu.ac.kr/home/MOK/CONVIEW.jsp?type=MOK^ptype=list^subtype=sm^lclass=AL^mclass=^sclass=^ntype=mj^cn=GK04282_00


義城邑誌

李侯宗準。尤留意學校事。以爲殿之位置與山勢相背。且前山一麓。橫絶眼界。蔽了金城五土之眞面目。遂撤而移建。然後眼界始通豁。見者快之。至於大其規模者。李侯一人焉。

仁廟朝戊子。本府士子。就慵齋所居里金溪村。立祠俎豆之。名之曰鏡光精舍。又於乙未冬。爲慵齋立祠於乃城縣。縣卽公往來之地也。嗚呼。公之德望。爲戊午儕流所推重。所著文章。不爲不多。而不幸被禍之家。不能收拾。遂使文章節行。湮沒而不稱。悲夫。村之北有墓。樹石云新及第李某之墓。前府伯成侯後卨爲之封植而祭之。及後李侯奎齡之帶館職而歸也。募閑丁一人。使之居墓側而守護之。禁其樵火。廣求公之遺蹟。將欲入告筵席而褒崇之。謹裒諸集以歸之。

ⓒ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 1988
한국문집총간 > 용재유고 > 慵齋先生遺稿 附訥齋遺稿 > 附錄 > 鏡光記事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O_0087A_0030_040_0110_2003_A016_XML

○ 이종준이 의성현감으로 있을 때 산세(山勢)와 서로 배치되어 있던 학교 자리를 옮기게 하여 보는 이들을 기쁘게 했던 일과 1648년(인조 26) 금계촌(金溪村)에 경광정사(鏡光精舍)를 지어 이종준 등을 제향한 일을 기록하였으며 유적(遺蹟)은 이종준의 후손 이규령(李奎齡)이 모아 가지고 갔다고 하였다.

*출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소

http://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kyujanggak.snu.ac.kr/home/MOK/CONVIEW.jsp?type=MOK^ptype=list^subtype=sm^lclass=AL^mclass=^sclass=^ntype=mj^cn=GK04282_00


己巳。因儒生疏追 贈時禮曹回啓。

觀此幼學李兪吾等疏辭。則弘文校理李宗準。早事金宗直。其文章節義。大爲 成廟之所寵遇。一時名賢鄭汝昌,金宏弼,金馹孫諸人。上下論議。切磋道學。逮至戊午禍起。與金馹孫等。騈首就戮。 中廟朝被禍諸人。咸得昭雪。只宗準一人。未霑旌恤之典。擧戊午諸賢 贈同施於李宗準。又使宣額之 恩及於俎豆之地。李宗準姓名。旣載黨籍中。班班可考。而以孤忠自許衆不與一律。題於高山驛壁之故。終被奇禍。至今思之。凜凜起敬。諸賢伸枉之時。獨不蒙 恩。未知其由。因黨籍已著之跡。擧 先朝未遑之典。以副多士之望。而祠宇 賜額。事體至重。有難輕議。 贈典非本曹所可擅便。 上裁何如。

ⓒ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 1988
한국문집총간 > 용재유고 > 慵齋先生遺稿 附訥齋遺稿 > 附錄 > 鏡光記事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O_0087A_0030_040_0110_2003_A016_XML

○ 예조에서 이종준의 사우(祠宇)에 사액(賜額)을 요청하는 이유오(李兪吾) 등의 상소를 왕께 보고하면서 그 허락 여부를 물은 글.

*출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소

http://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kyujanggak.snu.ac.kr/home/MOK/CONVIEW.jsp?type=MOK^ptype=list^subtype=sm^lclass=AL^mclass=^sclass=^ntype=mj^cn=GK04282_00


柏麓上樑文

慵齋李先生。薄雲豪氣。瑞世奇姿。早歲得師而提撕。三絶餘事。畢竟齊名於李,杜。一死猶光。

ⓒ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 1988
한국문집총간 > 용재유고 > 慵齋先生遺稿 附訥齋遺稿 > 附錄 > 鏡光記事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O_0087A_0030_040_0110_2003_A016_XML

○ 이종준의 삼절(三絶)은 이백(李白)·두보(杜甫)의 명성과 나란히 할 만하다고 칭송하였다. <용재선생세보도(慵齋先生世譜圖)>의 기록에 의하면 백록사(栢麓社)는 이종준 형제가 제향된 곳이다.

*출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소

http://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kyujanggak.snu.ac.kr/home/MOK/CONVIEW.jsp?type=MOK^ptype=list^subtype=sm^lclass=AL^mclass=^sclass=^ntype=mj^cn=GK04282_00


[文峯集] 柏麓里社廟宇上樑文[典籍李尙彦]

恭惟我慵齋李先生。薄雲豪氣。瑞世奇姿。早歲得師而提撕。三絶餘事。畢竟齊名於李杜。一死猶光。
訥齋李先生。淸白故家。孝友至性。一部家禮。寔平生制行之師。二字名堂。揭晩節全身之範。
文峯鄭先生。成此宅相。有若天資。玩樂齋前。妙契誠正之旨。聳動朝右。深究本末之論。

◈문봉집(文峯集)은 문봉(文峯) 정유일(鄭惟一)의 文集이다.
○정유일(鄭惟一) 1533년(중종 28)~1576년(선조 9), 자는 자중(子中), 호는 문봉(文峯)이고 본관은 동래(東萊)이다.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父는 정목번(鄭穆蕃), 母는 경주이씨(慶州李氏) 이홍준(李弘準)의 女.

ⓒ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 1989
한국문집총간 > 문봉집 > 文峯先生文集卷之六 > 附錄 > 柏麓里社廟宇上樑文[典籍李尙彦]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O_0195A_0070_010_0050_2002_A042_XML

重建上樑文

慵齋李先生。佔畢賢弟。戊午名流。遭棼濁而芝焚。未展華國之巨手。竝寒蠹而玉映。猶想講道之餘香。

ⓒ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 1988
한국문집총간 > 용재유고 > 慵齋先生遺稿 附訥齋遺稿 > 附錄 > 鏡光記事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O_0087A_0030_040_0110_2003_A016_XML

[文峯集] 柏麓里社廟宇上樑文

慵齋李先生。佔畢賢弟。戊午名流。遭棼濁而芝焚。未展華國之巨手。竝寒蠹而玉映。猶想講道之餘香。
訥齋李先生。從伯吹箎。在家爲政。智叶申屠之先見。物外鴻冥。道闡藍田之遺規。天荒豹變。
文峯鄭先生。訥翁宅相。退老門徒。問學見許於師門。論思動聽於經幄。

◈문봉집(文峯集)은 문봉(文峯) 정유일(鄭惟一)의 文集이다.
○정유일(鄭惟一) 1533년(중종 28)~1576년(선조 9), 자는 자중(子中), 호는 문봉(文峯)이고 본관은 동래(東萊)이다.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父는 정목번(鄭穆蕃), 母는 경주이씨(慶州李氏) 이홍준(李弘準)의 女.

ⓒ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 1989
한국문집총간 > 문봉집 > 文峯先生文集卷之六 > 附錄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O_0195A_0070_010_0060_2002_A042_XML

*참고: 한국문집총간 > 눌은집 > 訥隱先生文集卷之九 > 上樑文 > 栢麓廟宇上樑文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O_0473A_0090_050_0030_2004_A187_XML


○ 무슨 건물의 상량문인지는 알 수 없으며 도(道)를 강구했던 이종준을 칭송함.

*출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소
http://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kyujanggak.snu.ac.kr/home/MOK/CONVIEW.jsp?type=MOK^ptype=list^subtype=sm^lclass=AL^mclass=^sclass=^ntype=mj^cn=GK04282_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