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종실록 22권, 성종 3년 9월 4일 정유 2번째기사 1472년 명 성화(成化) 8년
후원에 나아가 관사하고 많이 맞힌 자에게 활과 화살을 하사하다
○御後苑, 觀射, 賜中多者李陽生、朴壅弓矢。
후원(後苑)에 나아가 관사(觀射)710) 하고, 많이 맞힌 자 이양생(李陽生)·박옹(朴㙲)에게 활과 화살을 하사(下賜)하였다.
【태백산사고본】 4책 22권 1장 B면 【국편영인본】 8책 684면
【분류】 왕실-행행(行幸) / 왕실-사급(賜給)
[註 710] 관사(觀射) : 임금이 신하들이 활을 쏘는 것을 구경하고 상을 주던 일로, 무예를 권장하는 데 목적이 있었음.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http://sillok.history.go.kr/id/kia_10309004_002
후원에 나아가 관사하고 많이 맞힌 자에게 활과 화살을 하사하다
○御後苑, 觀射, 賜中多者李陽生、朴壅弓矢。
후원(後苑)에 나아가 관사(觀射)710) 하고, 많이 맞힌 자 이양생(李陽生)·박옹(朴㙲)에게 활과 화살을 하사(下賜)하였다.
【태백산사고본】 4책 22권 1장 B면 【국편영인본】 8책 684면
【분류】 왕실-행행(行幸) / 왕실-사급(賜給)
[註 710] 관사(觀射) : 임금이 신하들이 활을 쏘는 것을 구경하고 상을 주던 일로, 무예를 권장하는 데 목적이 있었음.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http://sillok.history.go.kr/id/kia_10309004_002
'주요인물 (二) > 양평공◇이양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종실록] 유자광·홍순로·이양생·김순신 등에게 관작을 제수하다 (0) | 2018.12.10 |
---|---|
[성종실록] 이양생이 강도인 고도금·말응귀·가을마·수을외를 잡아 오다 (0) | 2018.12.10 |
[성종실록] 난신에 연좌된 자들을 옮겨 안치하고 영풍군의 처 소사 등을 방면케 하다 (0) | 2018.12.10 |
[성종실록] 포도장 조한신 등에게 적괴가 잡혔으니 속히 올라오라고 명하다 (0) | 2018.12.10 |
[성종실록] 이양생의 아내를 양인으로 삼다 (0) | 2018.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