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종실록 5권, 성종 1년 5월 2일 기묘 4번째기사 1470년 명 성화(成化) 6년
포도장 이양생이 도적이 나타났음을 보고하니 홍순로·김계정과 더불어 잡게 하다
○捕盜將李陽生來啓曰: "有盜三十餘人, 攻刦積城縣官廳及縣監衙, 掠奪財物, 遂向黃海道而去。" 命洪純老、李陽生、金繼貞, 各率京軍士五十。 又授發兵符, 令純老發楊州、抱川、永平、鐵原、平康軍士; 陽生發坡州、積城、麻田、長湍、漣川、朔寧、牛峯、兔山軍士; 繼貞發開城、豊德、江陰、平山、瑞興、新溪、谷山軍士, 分道捕之。
포도장(捕盜將) 이양생(李陽生)이 와서 계달하기를,
"도둑 30여 명이 적성현(積城縣)의 관청과 현감아(縣監衙)를 쳐들어와서 재물을 약탈하고 드디어 황해도(黃海道)를 향해 갔습니다."
하니 홍순로(洪純老)·이양생(李陽生)·김계정(金繼貞)에게 명하여 각각 경군사(京軍士) 50명을 거느리고, 또 발병부(發兵符)332) 를 주어 홍순로는 양주(楊州)·포천(抱川)·영평(永平)·철원(鐵原)·평강(平康)의 군사를 징발하게 하고, 이양생은 파주(坡州)·적성(積城)·마전(麻田)·장단(長湍)·연천(漣川)·삭녕(朔寧)·우봉(牛峯)·토산(兎山)의 군사를 징발하게 하고, 김계정은 개성(開城)·풍덕(豐德)·강음(江陰)·평산(平山)·서흥(瑞興)·신계(新溪)·곡산(谷山)의 군사를 징발하게 하여, 길을 나누어 잡게 하였다.
【태백산사고본】 1책 5권 4장 A면 【국편영인본】 8책 493면
【분류】 사법-치안(治安)
[註 332] 발병부(發兵符) : 조선조 때에 군사를 동원할 때 사용하던 신부(信符). 표면에 ‘발병(發兵)’이라 썼으며, 좌부(左符)는 궁내에 두고 우부(右符)는 절도사(節度使) 등에게 주었음.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http://sillok.history.go.kr/id/kia_10105002_004
포도장 이양생이 도적이 나타났음을 보고하니 홍순로·김계정과 더불어 잡게 하다
○捕盜將李陽生來啓曰: "有盜三十餘人, 攻刦積城縣官廳及縣監衙, 掠奪財物, 遂向黃海道而去。" 命洪純老、李陽生、金繼貞, 各率京軍士五十。 又授發兵符, 令純老發楊州、抱川、永平、鐵原、平康軍士; 陽生發坡州、積城、麻田、長湍、漣川、朔寧、牛峯、兔山軍士; 繼貞發開城、豊德、江陰、平山、瑞興、新溪、谷山軍士, 分道捕之。
포도장(捕盜將) 이양생(李陽生)이 와서 계달하기를,
"도둑 30여 명이 적성현(積城縣)의 관청과 현감아(縣監衙)를 쳐들어와서 재물을 약탈하고 드디어 황해도(黃海道)를 향해 갔습니다."
하니 홍순로(洪純老)·이양생(李陽生)·김계정(金繼貞)에게 명하여 각각 경군사(京軍士) 50명을 거느리고, 또 발병부(發兵符)332) 를 주어 홍순로는 양주(楊州)·포천(抱川)·영평(永平)·철원(鐵原)·평강(平康)의 군사를 징발하게 하고, 이양생은 파주(坡州)·적성(積城)·마전(麻田)·장단(長湍)·연천(漣川)·삭녕(朔寧)·우봉(牛峯)·토산(兎山)의 군사를 징발하게 하고, 김계정은 개성(開城)·풍덕(豐德)·강음(江陰)·평산(平山)·서흥(瑞興)·신계(新溪)·곡산(谷山)의 군사를 징발하게 하여, 길을 나누어 잡게 하였다.
【태백산사고본】 1책 5권 4장 A면 【국편영인본】 8책 493면
【분류】 사법-치안(治安)
[註 332] 발병부(發兵符) : 조선조 때에 군사를 동원할 때 사용하던 신부(信符). 표면에 ‘발병(發兵)’이라 썼으며, 좌부(左符)는 궁내에 두고 우부(右符)는 절도사(節度使) 등에게 주었음.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http://sillok.history.go.kr/id/kia_10105002_004
'주요인물 (二) > 양평공◇이양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종실록] 포도장 조한신 등에게 적괴가 잡혔으니 속히 올라오라고 명하다 (0) | 2018.12.10 |
---|---|
[성종실록] 이양생의 아내를 양인으로 삼다 (0) | 2018.12.10 |
[성종실록] 도승지 이극증이 이양생이 잡은 도둑 중에 석방할 만한 자는 석방시킬 것을 청하다 (0) | 2018.12.10 |
[성종실록] 이양생을 절충 장군으로 승진시키고 한봉련 등에게는 관직과 봉록을 더하여 주다 (0) | 2018.12.10 |
[성종실록] 김국광의 의견에 따라 도둑 체포에 공이 있는 이양생을 당상관으로 승진시키다 (0) | 2018.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