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게시판/기◆행장◆비명

[충순위공 6세손 대박자공 이지] 大朴子傳(대박자전)

용재공 16세손 이제민 2018. 11. 8. 20:51

□충순위공(忠順衛公) 6세손 대박자공(大朴子公) 이지(李址)

【계대(系代)】 ①충순위공(忠順衛公) 이숭준(李崇準) → 1世孫 순릉참봉(順陵參奉) 덕림(德林) → 2世孫 ③이(苡) → 3世孫 系子 증공조참의공(贈工曹參議公) 응조(應祚) → 4世孫 성극(成極) → 5世孫 ③약곡공(藥谷公) 재현(再炫) → 6世孫 ②대박자공(大朴子公) 지(址)


大朴子傳(대박자전)
–江左(강좌) 權萬(권만)

大朴子安東金溪里人。姓李名址。士人李達時之庶兄也。年三十九。父再炫歿。達時生甫四歲。旣殮父。址請於宗族隣里曰。不幸先公棄世。適嗣幼。址且權視家事矣。然懼有遺失不保。以重址之罪。籍先人時器用。納諸藏中。以待適子之長。址之居。金文忠公故里也。文忠之孫有別坐煃。賢址之意。爲址手錄其家事。雖匙箸之微。不敢遺。址於是造無孔鑰以鎖之。課農甚力。有餘資則益置臧獲立券。皆以達時。達時遇疾濱危。址解身抱之。晝夜不息。妻文進糜。址曰。是若不興。吾且死。從何食爲。五日而達時甦。址乃食。語文曰。是址生死所係也。善視之。有事於家廟。必引達時卽其位然後攝焉。達時雖早孤者。以址故。得娶鄕之望族。達時之妻。柳文忠兄弟之後也。方柳氏入門。址給文曰。子犯日忌。且避之。翊日。址請於柳入處內寢。凡文所日用細大皆付之曰。謹守之。以待主婦人之至。發所藏器用生銅綠焉。旣而召文入曰。女性褊。恐不能無動也。文笑曰。何淺之知我也。或曰。藏器物以待柳氏文意也。址從容請於達時曰。世或嫡庶有不相睦者。址多子。其賢愚未可知。人情離則相慕。見必以喜。吾聞東峽多閒土。是可耕爲衣食。請辭方行。請一牛載文而行。至太白南洞小川村而居焉。古慵齋李公有兄崇準。址其五世孫也。址五子。仁錫,義錫,敬錫,禮錫,信錫。

任命鐵者。李達時父奴也。居小川。始址載文而至。命鐵擧其帑廚百用讓焉。而其妻子無吝色。址辭焉曰。主篤於倫義。奴獨不能效之乎。文歿於 明陵甲午。址之孫台三年十二。執喪如成人。信錫病勞貧無以自治。台三斥田市藥以療之。信錫得不死。而台三貧不能爲家。然亦不悔也。

永嘉權萬曰。嘗聞之。先人曰址生於崇禎戊辰。與吾王考同年生。王考性峻。於人少許可。高址之行。不斥名而字呼之。址字厚卿云。址以萬生年月日歿。壽六十有一。葬鹿門西延攬山。仁錫有巧性。能造龍簴。


ⓒ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 1998
*한국문집총간 > 강좌집 > 江左先生文集卷之六 > 傳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O_0501A_0070_050_0020_2005_A209_XML



◈강좌집(江左集)은 강좌(江左) 권만(權萬)의 문집(文集)이다.
○성명: 권만(權萬) 1688년(숙종 14)~1749년(영조 25). 자는 일보(一甫), 호는 강좌(江左)이고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남인 학자(南人 學者). 이재(李栽)의 문인(門人). 김성탁(金聖鐸), 이상정(李象靖) 등과 교유.


*강좌집(江左集). ⓒ 한국고전번역원


大朴子傳 45

안동 금계 사람 李址에 대한 전기문으로, 이지는 士人 이달시의 서형이었다. 이지는 용재 이공의 형인 숭준의 5세손인데, 아버지가 죽은 뒤, 가사를 맡아 어린 달시를 잘 길러 후사를 잇게 했다.

*강좌집 예(江左集 禮) > 江左先生文集卷之六 > 傳 > 大朴子傳 45. 유고넷
http://www.ugyo.net/cf/frm/ykFrm.jsp?CODE1=01&CODE2=03&B_SUJI_ID=KSAC_M_A00600005&B_BOOK_ID=KSAC_T_A00600005_003&B_KWON_ID=002&B_STYLE_ID=005&B_KISA_ID=00002



大朴子傳

대박자(大朴子) 이지(李址)는 자가 후경(厚卿), 본관은 월성(月城)이다. 대대로 안동(安東)의 금계리(金溪里)에 거주하였으며, 이재현(李再炫)의 서자(庶子)이다. 이지가 성가(成家)하였을 때 양친 세상을 떠났으며 어린 적제(嫡弟) 달시(達時)가 있었다. 부모의 재산은 장부에 기록해서 창고에 넣어두고, 장례와 제사는 달시가 주관하도록 하고 자신은 도와주었다. 달시가 천연두에 걸렸을 때는 정성껏 간호하여 살렸으며, 또한 농사에 힘을 써서 재산을 늘리고 흉년이 들었을 때는 친족들을 구휼하였다. 달시가 성가(成家)하자 모든 재산을 넘겨주고 자신은 그곳을 떠났다. 대박자(大朴子)는 용모가 훤칠하고 도량이 넓었기 때문에 사대부들이 교류하기를 좋아하였으며, 이름을 부르지 않고 자(字)를 부르거나 호(號)를 불렀다. 이광정(李光庭)은 『소학(小學)』에 넣을 만한 행실이라고 칭찬하였다.

*항와집 건(恒窩集 乾) > 항와문집 권지이 > 雜著 > 大朴子傳
http://www.ugyo.net/cf/frm/ykFrm.jsp?CODE1=01&CODE2=03&B_SUJI_ID=KSAC_M_A00600172&B_BOOK_ID=KSAC_T_A00600172_001&B_KWON_ID=004&B_STYLE_ID=002&B_KISA_ID=00012



○홍종구(洪宗九) 1781~1841(정조 5~헌종 7). 字: 공범(公範), 號: 항와(恒窩), 本貫: 부림(缶林), 父: 혜적(惠績), 母: 월성이씨(月城李氏), 居: 문경(聞慶).

홍종구(洪宗九)는 문광공(文匡公) 허당백(虛白堂) 홍귀달(洪貴達)(1438∼1504)의 후손이다. 아버지의 명으로 족조(族祖) 방와공(方窩公) 홍석주(洪錫疇)의 문하에서 배웠다. 당대 제현들과의 교유를 통해서 학문이 더욱 깊고 넓어졌는데, 안으로 교경재(矯警齋) 홍종섭(洪宗涉)과 밖으로 노암(魯庵) 정필규(鄭必奎)‧정재(定齋) 유치명(柳致明) 같은 인물이 가장 친밀했다. 평생의 업적으로는 산일되어 있던 문광공 홍귀달의 유문(遺文)을 수집하여 속간(續刊)한 일과 임호서원(臨湖書院)이 퇴락해지자 수리하여 옛 제도를 회복하게 한 일, 그리고 홍씨(洪氏) 보록(譜錄)이 세대를 거치면서 혹 빠지거나 잘못된 부분을 교감하여 바르게 고친 일 등을 들 수 있다. 행장(行狀)은 류연귀(柳淵龜)가 지었고, 묘갈명(墓碣銘)은 권상규(權相圭)가 지었다.


*항와집(恒窩集). 유교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