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게시판/기◆행장◆비명

[용재공 이종준] 敬義齋記(경의재기) <역문>

용재공 16세손 이제민 2021. 1. 2. 17:15

□용재공 이종준(慵齋公 李宗準)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③대사헌공(大司憲公) 승직(繩直) → 5世孫 ⑤금호공(琴湖公) 시민(時敏) → 6世孫 ②용재공(慵齋公) 종준(宗準)

 

 

敬義齋記(경의재기)
-永陽 李泰龍(영양 이태용)

 

飛鳳之陽有曰長洞林壑淸而窈泉石佳而邃有蒼蒼淳古之氣洞之中李氏居焉其人亦然慕其先祖慵齋先生構一齋以扁之曰景義登斯齋也霽月登欄思先生之氣像淸風入戶思先生之膏衿高嶂嶄截思先生之節操長湖蕩漾思先生之文章無一物而不念一時而可忘顧先生世遠遠則易爲忘焉諸孫家貧貧則莫暇念焉純孝至誠之中無有所謂遠地貧也仍拓其荒址躬負其材瓦不一月而訖之爰作追遠興感之地也之偃臥於華堂錦茵之上其父祖之祠宇將類而不知繕境塋己壤而不知築者過此必顙泚而肚刺矣鳴乎先生以章爾之天姿以琴湖爲父訥齋爲弟佔畢爲師寒暄一蠹睡軒秋江爲友其官霜臺也灜閣也湖堂也淸標重望高於北斗乃至詩律鳴於中朝書畫驚於東便聲光播四海不幸値燕山戊午之禍令天下後世之善人高士長吁之痛哭之四百年而猶不己高風淸節之動人心有如是耶其蒞韶縣也移建儒宮丕振士風韶之人士至今誦之自琴溪之遷宅鏡光之撤院人無以依憑以想像焉天使來住韶鄕之雲仍聲之于寥寥之今曰令韶之人士詠歎而讃頌之噫嘻悲夫彼當時昏朝鬼蜮之徒狂濤漲天毒焰焦地而今安在哉其盧沼矣其墓田矣或者得死於牖下百世之舌戮筆斬嚴於斧鋮我慘絶痛極之先生愈久而愈光孰謂善惡徒然耶其裔孫元熙敬熙在韶甫遠訪漢城寓舍訪余爲之記余亦韶之人也仰先生之風儀諸賢之誠力盥手而書之仍以告李氏之來裔孫之慕先皆如今日諸賢則李氏之門隆矣否則賛矣人將以斯齋之如何卜斯門之隆賛勗哉李氏之來裔

 


●경의재기(敬義齋記) 역문(譯文)
-영양 이태용 기(永陽 李泰龍 記)

 

비봉산(飛鳳山) 남쪽에 장동(長洞)이 있으니 숲과 구렁이 맑고 고우며 샘과 돌이 아름답고 깊어서 창창한 옛 기운이 감돈다. 동리(洞里) 안에는 이씨(李氏)가 살고 있으니 그 사람이 또한 선조(先祖) 용재선생(慵齋先生, 이종준李宗準)을 추모하여 집을 짓고 경의(敬義)라고 이름한다.
이 집에 오르니 밝게 개인 달빛이 난간에 오르니 선생의 기상이 생각나고 맑은 바람이 창으로 들어오니 선생의 흉금(胸襟)이 생각나고 높은 봉우리가 깎아 세운 듯하니 선생의 절개가 생각나고 장호(長湖)물이 깊으니 선생의 문장(文章)이 생각나네. 한가지에도 생각 아니 나는 것이 없으니 한시라도 잊으랴.
돌아보건대 선생의 대수(代數)가 오래되니 오랜즉슨 잊어버리기 쉽고 자손들이 가난한지라. 가난하면 조상을 생각을 생각할 겨를이 없으나 순전한 효심과 성의가 있는 곳에 대가 멀고 집이 가난함이 있으리오. 드디어 험한 터전을 개척하고 몸소 재목을 저 올리니 한 달이 안 되어 집이 완공되니 이에 추원(追遠)하고 흥감(興感)할 곳을 만들었다. 세상에는 화려한 집 비단요 위에 누어서 그 조상의 사당(祠堂)은 무너져도 수선할 줄 모르고 분묘(墳墓)가 헐려도 고칠 줄 모르는 자도 이곳을 지날 때는 이마에 땀이 나고 간장을 찌르는 듯할지라.

 

슬프다. 선생이 탁월한 자질로써 금호공(琴湖公, 이시민李時敏)이 부친이요. 눌재(訥齋, 이홍준李弘準)가 동생이며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가 스승이 되고 한훤(寒暄, 김굉필金宏弼)·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수헌(睡軒, 권오복權五福)·추강(秋江, 남효온南孝溫)이 벗이 되며 그 벼슬은 상대(霜臺)·영각(瀛閣)·호당(湖堂)이니 청표(淸標)한 무거운 명망은 북두칠성(北斗七星)보다 높았고 시율(詩律)은 중국 조정을 울렸으며 서화(書畫)는 동쪽 사신을 놀라게 해서 명성과 광채가 사해(四海)에 퍼졌더니 불행하게도 연산(燕山) 4년 무오사화(戊午史禍, 1498년)를 만나 천하후세(天下後世)에 선인(善人) 고사(高士)로 하여금 길이 탄식하는 아픔을 주고 사백 년이 지난 오늘까지 끊이지 않으니 높은 풍화(風和)와 맑은 절개(節槪)가 사람을 감동시킴이 이 같을 수 있으랴. 그 의성현령(義城縣令)을 지낼 때 향교(鄕校)를 옮겨서 사림에 풍화를 진작시켜서 의성 인사들이 지금까지 송덕(誦德)하드니 금계(琴溪)에 집을 옮기고부터 경광서원(鏡光書院)이 훼철(毁撤)된 뒤로는 사람이 의지하여 상상할 수 없이 되니 천사(天使)가 내왕할 때 의성(義誠) 땅 자손들이 적막한 중에서 소리를 하더니 오늘날 의성 땅 인사들로 하여금 읊조리고 찬송케 하니 슬프다. 당시 혼암(混暗)한 조정에 악귀 같고 여우 같은 무리가 미친 물결은 하늘에 닿고 독한 염초는 땅을 태우더니 지금은 어디 있는고. 그 살던 집은 못이 됐을 것이요. 그 묻힌 무덤은 전지가 됐으며 혹자는 바라지 아래서 죽었을지니 백 대를 통해 혀끝으로 죽이고 붓으로 베이는 것이 도끼보다 더 엄혹할 것이니 우리 슬퍼하고 절통함이 극도에 달했고 선생은 오래갈수록 더욱 빛이 나니 누가 착하고 악함이 같다고 하겠는가.

 

선생의 후손 원희(元熙)·경희(敬熙)·재소(在韶)가 멀리 막성(漠城) 집을 찾아 나에게 정자기(亭子記)를 부탁하니 나도 의성사람이라 선생의 유풍(遺風)을 흠앙(欽仰)하고 제현(諸賢)의 성력(誠力)에 감동하여 손을 씻고 써서 이씨(李氏)의 후계 자손들의 선조를 추모함이 오늘 제현(諸賢)들과 같으면 이씨(李氏) 문중(門中)이 융성(隆盛)할 것이요, 그렇지 못하면 비색(否塞) 하리니 사람들이 이 집이 장차 어떻게 됨에 따라 이 문중(門中)이 흥하고 쇠함을 점칠 것이니 힘쓰라 이씨(李氏)들 자손(子孫)이여.

 

*경주이씨(慶州李氏) 월성군파보(月城君派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