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헌공 이만실(花軒公 李蔓實)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吏曹判書花軒公誌狀(이조판서화헌공지장)
-六世孫 惟精 識(6세손 유정 지)
父諱蔓實字某號花軒姓李貫慶州上祖新羅翊戴功臣諱謁平其後蘇判諱居明又其後高麗兵部侍郎諱申佑是生千戶長作良是生司諫善景是生檢校代將方烈是生國子進士黃升是生司成克良是生國子進士昌規是生國子進士賁是生兵部尙書諡文烈號抱巖忠堯是生金紫光祿尙書左僕射月城君之秀是生忠宣王朝 僉議參理諱貞烈揆是生判司僕寺事元林娶義城金氏左尹台權女生公太宗朝登文科官止吏曹判書噫內外踐歷嘉言懿範爲法於後世者多而公之曾孫舍人慵齋公戊午禍家藏文獻蕩失無餘何所徵而記述哉然而久典銓長務恢公道關節不到明器必愼獎抑一視其才望優劣黜陟冐倖渚子息朝流視公品藻以定其升沉此公之實蹟也夫余得之於國史而悶其湮沒謹撮其要以待後之立言君子配鐵城李氏生三男二女長男贈判尹鷄川君從直次司導寺正良直次大司憲繩直女柳淙參判洪守命司正內外雲仍不能盡錄
●이조판서화헌공지장(吏曹判書花軒公誌狀) 역문(譯文)
-육대손 유정 지(六代孫 惟精 識)
공의 휘는 만실(蔓實) 호는 화헌(花軒) 성은 이씨(李氏) 관은 경주(慶州)니 상조(上祖)는 신라(新羅) 익대공신(翊戴功臣) 알평(謁平)이요, 그 뒤 소판(蘇判) 휘 거명(居明)이요, 또 그 뒤 고려(高麗) 병부시랑(兵部侍郎) 신우(申佑)니 이분이 천호장(千戶長) 작량(作良)을 낳고 이분이 사간(司諫) 선경(善景)을 낳고 이분이 검교대장(檢校代將) 방렬(方烈)을 낳고 이분이 국자진사(國子進士) 황승(黃升)을 낳고 이분이 사성(司成) 극량(克良)을 낳고 이분이 국자진사(國子進士) 창규(昌規)를 낳고 이분이 국자진사(國子進士) 분(賁)을 낳고 이분이 병부상서(兵部尙書) 시(諡) 문열(文烈) 호(號) 포암(抱巖) 충요(忠堯)가 금자광록상서좌복야월성군(金紫光祿尙書左僕射月城君) 지수(之秀)를 낳고 이분이 고려 충선왕조(忠宣王朝) 첨의참리(僉議參理) 시(諡) 정열(貞烈) 규(揆)를 낳고 이분이 판사복시사(判司僕寺事) 원림(元林)을 낳으니 의성김씨(義城金氏) 좌윤(左尹) 태권(台權)의 따님에게 장가들어 공을 낳으니 태종조(太宗朝)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이르다.
슬프다. 공은 안과 밖으로 밟아온 이력과 아름다운 말과 모범이 될 선행이 후세에 법이 될 일이 많은 것만은 공의 증손 사인(舍人) 용재공(慵齋公)이 무오사화(戊午史禍)를 당하면서 세전(世傳) 문헌(文獻)이 탕실(蕩失)되어 남음이 없으니 무엇을 근거로 행장(行狀)을 지으리오. 그러나 공은 오랜 세월 전장(銓長: 사람을 벼슬에 쓰고 또 내쫓는 곳)에 있어 공도(公道)는 넓어서 관절(關節)이 없고 매사에 조심하여 사람을 쓰고 버리는데 그 재능과 명망의 우열에 따르니 요행을 바라는 사람이 없어지고 조정사류들은 공의 뜻에 따라 오르고 내림이 결정되니 이것이 공의 실행한 대강이라 내가 국사(國史: 나라 사기)에 얻어보고 세상이 모르는 것을 민망히 여겨 그 요취만 뽑아 이에 적어 후일 군자를 기다리노라.
배는 철성이씨(鐵城李氏)로 3남 2녀를 두었으니 장남에 증판윤(贈判尹) 계천군(鷄川君) 종직(從直)이요. 차(次)에 사도시정(司䆃寺正) 양직(良直)이요. 차(次)에 대사헌(大司憲) 승직(繩直)이며 딸 류종(柳淙)은 참판(參判)이요. 홍수명(洪守命)은 사정(司正)이니 안팎 자손을 다 기록지 못 하노라.
*경주이씨(慶州李氏) 월성군파세보(月城君派世譜)
'자료게시판 > 기◆행장◆비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사헌공 이승직] 大司憲月城李公祭壇碑銘(대사헌월성이공제단비명) 并序(병서) <역문> (0) | 2020.11.30 |
---|---|
[중시조 소판공 이거명] 蘇判公祀壇碑(소판공사단비) <역문> (0) | 2020.11.30 |
[시조 표암공 이알평] 始祖事蹟(시조사적) <역문> (0) | 2020.11.14 |
[재신공 이진] 高麗宰臣紫金魚袋慶州李公祀壇碑銘(고려재신자금어대경주이공사단비명) 并序(병서) <역문> (0) | 2020.11.14 |
[정렬공 이규] 先祖貞烈公事績(선조정렬공사적) <역문> (0) | 2020.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