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 보기

more

[중종실록] 성균관의 진사 이홍준이 상소하다

중종실록 15권, 중종 7년 4월 17일 신묘 5번째기사 1512년 명 정덕(正德) 7년성균관의 진사 이홍준이 상소하다○成均進士李弘準上疏陳時弊, 命下各該司, 採其可用者。성균관의 진사 이홍준이 상소하여 시폐(時弊)를 말하였는데, 각 해사(該司)에 내려 그 쓸 만한 것을 채택하게 하였다.【태백산사고본】 88책 15권 38장 A면【국편영인본】 14책 569면【분류】 정론-정론(政論) / 행정-중앙행정(中央行政) / 사상-유학(儒學)*http://sillok.history.go.kr/id/kka_10704017_005

눌재공◆이홍준 2024.05.24 0

[중종실록] 진사 이홍준 등의 진언을 시행하도록 해조에 명하다

중종실록 15권, 중종 7년 4월 17일 辛卯 1번째기사 1512년 명 정덕(正德) 7년진사 이홍준 등의 진언을 시행하도록 해조에 명하다○辛卯/下進士李弘準、生員曺孟謙等陳言于政院曰: "凡陳言, 若不取則已, 如或可取, 便當施行。 況求言之時, 有此陳言乎? 其語該曹。"진사(進士) 이홍준(李弘準)·생원(生員) 조맹겸(曹孟謙) 등의 진언(陳言)을 정원(政院)에 내리면서 이르기를,"무릇 진언을 취하지 않는다면 그만이거니와 취한다면 곧 시행해야 하는데, 하물며 직언(直言)을 구할 때에 이런 진언이 있는 데이겠는가. 이를 해조에 말하라.“하였다.【태백산사고본】 8책 15권 37장 B면【국편영인본】 14책 568면【분류】 정론-정론(政論)*https://sillok.history.go.kr/id/WKA_10704017_001

눌재공◆이홍준 2024.05.23 0

[강원도민일보][명경대] 선비 묘명과 할매 시

[강원도민일보][명경대] 선비 묘명과 할매 시남궁창성2023. 2. 16. 05:00*https://v.daum.net/v/20230216050041438*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1169440 ‘재주가 없는데 덕도 없으니 사람일 뿐(旣無才 又無德 人而已) 살아서는 벼슬 없고 죽어서는 이름 없으니 혼일 뿐(生無爵 死無名 魂而已) 걱정과 즐거움 다하고 모욕과 칭송도 그치니 남은 것은 흙뿐(憂樂空 毁譽息 土而已)’생몰 연대를 알 수 없는 조선시대 전기 이홍준(李弘準) 선생이 남긴 묘명이다. 스물일곱 자로 전 생애를 기록했다. 중종 실록에서는 중종 7년(1512년) 4월17일 진사(進士) 이홍준이 진언을 했다는 기록이 있다.점필재 김종직의 문인인 이..

눌재공◆이홍준 2024.05.23 0

이제현묘지명(李齊賢墓誌銘)

이제현묘지명(李齊賢墓誌銘)*국립문화유산연구원:https://portal.nrich.go.kr/kor/ksmUsrView.do?menuIdx=584&ksm_idx=1661시대: 고려연대: 1375년(우왕 1)유형: 묘지명·묵서명크기: 높이 168.0 너비 63.2 두께 20.5소재지: 북한 개성고려박물관서체: 전서(篆書), 해서(楷書)찬자 /각자 /서자: 이색(李穡) / 훈곡(薰谷), 명호(明昊) / 전액 : 권중화(權仲和), 본문 : 설경수(偰慶壽)지정사항: 비지정유산개관묘지명은 『목은문고(牧隱文藁)』 권16과 『동문선(東文選)』 권126에 실려 있으며, 1376년(우왕 2) 무렵 이색이 작성한 것으로 추정된다.묘지명의 주인공 이제현(李齊賢)의 자는 중사(仲思), 호는 익재(益齋)이다. 경주 사람이다. ..

경주이씨◇자료 2024.05.14 0

인기글 보기

경주이씨 평리공파 분파도

경주이씨 평리공파 분파 계통(慶州李氏 評理公派 分派 系統)  *□ - 대파(大派), ● - 중파(中派), ◇ - 소파(小派), ▲ - 지파(支派)       바로가기           ↑16世 인정(仁挺)─── 진(瑱) ───세기(世基)       □평리공파        동암공              송암공       (評理公派)        (東菴公)           (松巖公)         │         │17世 부(榑) ─── 규(樛)       사인공           헌납공       (舍人公)        (獻納公)         ┌──────┘18世 원선(元善)──의반(依班)      ●전서공파      ●검교공파       (典書公派)       (檢校公派)         │    ..

경주이씨◇분파 2019.12.10 0

경주이씨 익재공파 분파도

경주이씨 익재공파 분파 계통(慶州李氏 益齋公派 分派 系統)   *□ - 대파(大派), ● - 중파(中派), ◇ - 소파(小派)                               바로가기                                   ↑17世 관(琯)────제현(齊賢)───지정(之正)       □이암공파       □익재공파          □호군공파        (怡庵公派)       (益齋公派)          (護軍公派)                                   │         ┌───────┘         │18世 서종(瑞種)─달존(達尊)─창로(彰路)         시랑공        운와공       ●밀직공파        (侍郎公)     (雲窩..

경주이씨◇분파 2019.12.10 0

경주이씨 국당공파 분파도

경주이씨 국당공파 분파 계통(慶州李氏 菊堂公派 分派 系統) *□ - 대파(大派), ● - 중파(中派), ◇ - 소파(小派)       바로가기          ↑17世 천(蒨) ──── 매(邁) ──── 과(過) ──── 조(蓨)       □국당공파        □부정공파         □상서공파          □사인공파        (菊堂公派)       (副正公派)           (尙書公派)         (舍人公派)        │        │18世 경중(敬中)─배중(培中)─달충(達衷)─성중(誠中)       ●문정공파  전리판서공  ●제정공파  ●정순공파        (文貞公派)   (典理判書)    (霽亭公派)    (靖順公派)        │           ┌─────..

경주이씨◇분파 2019.12.10 0

경주이씨 주요 인물

경주이씨 주요 인물 이(ㄱ) 이(ㄴ~ㅂ) 이(ㅅ) 이갑성(李甲成) 1889~1981. 일제강점기 민족대표 33인 중의 한 사람으로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독립운동가. 호는 연당(硏堂). 1919년 최연소자로 청년층을 대표하여 3·1운동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민족독립선언서에 서명. 독립촉성국민회(獨立促成國民會) 회장. 제2대 민의원에 당선. 국민회(國民會)의 최고위원에 추대. 자유당 최고위원에 임명. 33인유족회장·국산부흥회장. 건국훈장 대통령장. 이개립(李介立) 1544(중종 39)~1625(인조 2). 조선시대 임진왜란, 정유재란 당시의 의병장. 자는 대중(大中 혹은 大仲), 호는 성오당(省吾堂)·역봉(櫟峰). 대호군(大護軍) 이욱(李昱)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부호군(副護軍) 이선동(李善童)이다..

경주이씨◇인물 2019.06.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