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26

경모정(敬慕亭)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눌재공(訥齋公) 이홍준(李弘準)

경모정(敬慕亭) 봉화읍 석평리(奉化邑 石坪里) 호평(虎坪) 마을 후강(後崗)에 소재(所在)하며 조선 연산군시대(朝鮮 燕山君時代) 지방사림(地方士林)의 대표인물이었던 눌재 이홍준(訥齋 李弘準)이 건립(建立)한 외영당(畏影堂)이 폐허됨에 그의 후손들이 용재 이종준(慵齋 李宗準)과 눌재..

[안동인물초색인] 이승직(李繩直), 이명민(李命敏), 이시민(李時敏), 이우(李堣), 금의(琴椅), 정유일(鄭惟一)

안동인물초색인 ■ 이승직(李繩直) 1378(우왕 4, 무오) ~ 1431(세종 13, 신해)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 경주(慶州). 경주 출생. 이조판서(吏曹判書) 만실(蔓實)의 자로 송도(松都)에서 출생했다. 생원(生員)ㆍ진사시(進士試) 합격하여 태종(太宗) 때에 순금사호군(巡禁司護軍)ㆍ사헌부장령(司憲府..

용재공 이종준 가계도(慵齋公 李宗準 家系圖)

월성군 6세손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③대사헌공(大司憲公) 승직(繩直) → 5世孫 ⑤금호공(琴湖公) 시민(時敏) → 6世孫 ②용재공(慵齋公) 종준(宗準) ○1454년(단종端宗 2, 갑술甲戌) 추정∼1499(연산군燕山君 5, 기미己未). 字는 중균(仲均)이요, 號는 용재(慵齋). ○성종(成宗) 정유(丁酉)에 진사(進士)하고 성종(成宗) 을사(乙巳)에 문과갑과(文科甲科) 이등(二等)으로 급제. 교리검상(敎理檢詳)에서 사인(舍人)으로 특진(特進)하고 어세겸추록(魚世謙推麓)으로 호당(湖堂)에 올라 사가독서(賜暇讀書)..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1454년(단종端宗 2, 갑술甲戌) 추정∼1499(연산군燕山君 5, 기미己未). ○字는 중균(仲均)이요, 號는 용재(慵齋). ○성종(成宗) 정유(丁酉)에 진사(進士)하고 성종(成宗) 을사(乙巳)에 문과갑과(文科甲科) 이등(二等)으로 급제. 교리검상(敎理檢詳)에서 사인(舍人)으로 특진(特進)하고 어세겸추록(魚世謙推麓)으로 호당(湖堂)에 올라 사가독서(賜暇讀書)의 후은(厚恩)을 입고 수선(修選)에 올라 서장관(書狀官)으로 중국(中國) 북경(北京)에 가서 시(詩)와 서화(書畫)로 화도(華都) 진경(震驚)케 하니 후(後)에 우리나라에 오는 중국사신(中國使臣)은 선생(先生)의 시(詩)를 암송(暗誦)하며 극찬(克讚). ○외직(外職)으로 의성현령시(義城縣令時)에 국옥(鞠獄)의 명단(..

월성군 6세손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월성군 6세손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③대사헌공(大司憲公) 승직(繩直) → 5世孫 ⑤금호공(琴湖公) 시민(時敏) → 6世孫 ②용재공(慵齋公) 종준(宗準) ○1454년(단종端宗 2, 갑술甲戌) 추정∼1499(연산군燕山君 5, 기미己未). 字는 중균(仲均)이요, 號는 용재(慵齋). ○성종(成宗) 정유(丁酉)에 진사(進士)하고 성종(成宗) 을사(乙巳)에 문과갑과(文科甲科) 이등(二等)으로 급제. 교리검상(敎理檢詳)에서 사인(舍人)으로 특진(特進)하고 어세겸추록(魚世謙推麓)으로 호당(湖堂)에 올라 사가독서(賜暇讀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