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적지 유물/의성◆양산지역

[디지털의성문화대전] 이종준(李宗準), 경의재(景義齋)

용재공 16세손 이제민 2019. 3. 7. 20:34

[디지털의성문화대전] 이종준(李宗準), 경의재(景義齋)

*디지털의성문화대전:
http://www.grandculture.net/uiseong/toc/GC05200869
http://aks.ai/GC05200869



한자 : 李宗準
이칭/별칭 : 중균(仲勻), 용재(慵齋), 용헌(慵軒), 부휴자(浮休子), 상우당(尙友堂), 태정 일씨(太庭 逸氏), 장육거사(藏六居士)
분야 : 역사/전통 시대, 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 인물/문무 관인
지역 : 경상북도 의성군
시대 :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 이광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 1458년 - 이종준 출생
활동 시기/일시 : 1477년 - 이종준 생원시에 급제
활동 시기/일시 : 1485년 - 이종준 문과 알성시에 급제
활동 시기/일시 : 1493년 - 이종준 사헌부 지평
활동 시기/일시 : 1498년 - 이종준 함경도 부령으로 유배
몰년 시기/일시 : 1499년 - 이종준 사망
추모 시기/일시 : 1689년 - 이종준 복관, 홍문관 부제학에 추증
출생지: 이종준 출생지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
거주|이주지 : 이종준 거주지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
부임|활동지 : 이종준 부임지 - 경상북도 의성군
유배|이배지 : 이종준 유배지 - 함경북도 부령
사당|배향지 : 경광 서원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
사당|배향지 : 경의재 -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 장리
성격: 문신
성별 : 남
본관 : 경주(慶州)
대표 관직 : 의성 현령

[정의]
조선 전기 의성 현령을 역임한 문신.

[가계]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중균(仲勻), 호는 용재(慵齋)·용헌(慵軒)·부휴자(浮休子)·상우당(尙友堂)·태정일씨(太庭逸氏)·장육거사(藏六居士). 이만실(李蔓實)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대사헌(大司憲) 이승직(李繩直)이고, 아버지는 생원 이시민(李時敏)이며, 어머니는 안동 권씨(安東 權氏)로 권계경(權啓經)의 딸이다. 부인은 안동 권씨 권탁의 딸이다.

[활동사항]
이종준(李宗準)[1458~1499]은 젊어서 우뚝한 기개가 있고 시문은 청건(淸建)하였으며, 서화(書畵)에 능통했다고 전해진다. 일찍이 사림파의 종장(宗匠)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477년(성종 8) 생원시(生員試)에 급제하였으며, 1485년 문과 알성시(謁聖試)에 갑과(甲科)로 급제하였다. 1487년 일본 사신의 호송관으로 차출되었는데, 이때 동래부에서 일본 사신이 그의 서화를 얻고 보물을 갖게 되었다며 매우 기뻐했다고 한다. 1493년 사헌부 지평(司憲府 持平)이 되고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어 의성 현령(義城 縣令), 홍문관 교리(弘文館 校理), 의정부 사인(議政府 舍人) 등의 벼슬을 역임하였다.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나자 사림파들을 비호하고, 또한 스승인 김종직의 부관참시(剖棺斬屍)를 반대하며, 유자광(柳子光)의 극형을 주장하다 오히려 함경도 부령(富寧)으로 유배되었다. 유배 도중 단천(端川) 마곡역에 이사중(李師中)의 시를 써서 붙였는데, 그 시 내용 가운데 연산군에 대해 원망하는 내용이 있다 하여 다시 서울로 압송되고, 이듬해 장살 당하였다.

이종준이 의성 현령으로 부임한 시기는 명확하지 않으나 1494년으로 추정된다. 현령 재직 시 두드러진 업적은 의성 향교(義城 鄕校)를 현재의 위치로 이건한 것이다. 산세를 등지고 있고 또한 앞산 기슭이 가로 놓여 시계가 좋지 않아서 옮기게 되었다고 한다. 이에 모두들 시야가 환하게 트여 감탄했다고 한다. 또한 공해(公廨)를 새롭게 고치고, 거기에다가 손수 매를 그렸다고 전해진다. 한편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 東國輿地 勝覽)』에는 그가 객관(客館) 남쪽에 죽루(竹樓)를 세웠다고 한다. 또한 현령 재임 시절 여러 사람과 더불어 「경상도 지도(慶尙道 地圖)」를 제작했다고 한다.

[저술 및 작품]
유고로 『용재유고(慵齋遺稿)』가 전해지고 있으며, 『신선태을자금단(神仙太乙紫金丹)』이라는 의서도 있다. 시, 서, 화에 능했다고 하는데, 장식화풍으로 그려진 「송학도(松鶴圖)」[국립 중앙 박물관 소장] 1점이 남아 있다.

[묘소]
묘는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에 있었다고 한다.

[상훈과 추모]
1648년(인조 26) 안동의 유림들이 사당을 세웠고, 1689년(숙종 15) 홍문관 부제학(弘文館 副提學)으로 증직(贈職)되었다.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 경광 서원(鏡光書院)에 배향되었다. 그리고 의성군 가음면 장리에 경의재(景義齋)가 건립되었다.

[참고문헌]
『성종 실록(成宗 實錄)』
『연산군 일기(燕山君 日記)』
『국조 방목(國朝 榜目)』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의성현지』
『조선환여승람(朝鮮 寰輿 勝覽)』
『갈암집(葛庵集)』
『의성 승감(義城 勝鑑)』(박재구·임태순, 1962)
『의성 군지』(의성 군지 편찬 위원회, 1998)
유교넷(http://www.ugyo.net/)

[지식연계]
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이종준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경의재(景義齋)

 

 

용재 이종준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경주 이씨 재사인 경의재의 측면 모습이다. 정면 3칸, 측면 1칸 반 규모의 팔작기와집이다.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 장리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디지털의성문화대전:
http://www.grandculture.net/uiseong/toc/GC052P00603
http://aks.ai/GC052P00603

 

 

용재 이종준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경주 이씨 재사인 경의재 모습이다.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 온돌방 1칸씩을 연접시킨 중당협실형의 건물이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디지털의성문화대전:
http://www.grandculture.net/uiseong/toc/GC052P00604
http://aks.ai/GC052P00604

 

경의재 현판

 

 

용재 이종준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경주 이씨 재사인 경의재의 현판이다.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 장리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디지털의성문화대전:
http://www.grandculture.net/uiseong/toc/GC052P00605
http://aks.ai/GC052P0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