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군 5세손 양평공(襄平公) 이양생(李陽生)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①계천군(鷄川君) 종직(從直) → 5世孫 ②양평공(襄平公) 양생(陽生) |
○1423년(세종 5, 계묘)~1488년(성종 19, 무신). 세조조(世祖朝)에 적개공신(敵愾功臣) 계성군(鷄城君)에 봉(封)하다. ○墓는 양주(楊州) 금곡(金谷)에 묘좌(卯坐). 안구보(按舊譜)컨테 기방주억(旡傍註抑) 혹후손(或後孫)이 궐비이연여금고동파(闕卑而然歟今攷同派) 가승(家乘)을 신(信)하고 적재록언(蹟載錄焉) 구보(舊譜)에 공지사적(公之事蹟)이 지유적개공신(只有敵愾功臣) 계성군(鷄城君) 등(等) 어이차역추복수록자야(語而此亦追復收錄者也)라. 금인대동보지중수(今因大同譜之重修)하야 득차자범위이십여차(得此者凡爲二十餘次)하니 난이일일수록(難以一一收錄)이요, 성종실록(成宗實錄)에 왈(曰) 계성군(鷄城君) 이양생(李陽生)이 卒에 賜祭禮葬(사제례장)하다.
*출처: 1987년 경주이씨(慶州李氏) 대종보(大宗譜)
○1423(세종 5)~1488(성종 19). 조선 후기의 무신
아버지는 군수 이종직(李從直)이다.
○서자로 태어나 어릴 때는 신을 삼아 저자에 내어 팔아 생활을 하였고, 비록 책은 읽지 못하였으나 무예(武藝)에 능하여 장용위(壯勇衛)의 군졸이 되었다.
○1467년(세조 13) 5월 이시애(李施愛)의 난이 일어나자 토벌군으로 출전하여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 3등에 책록되고 계성군(鷄城君)에 봉하여졌으며, 충의교위(忠毅校尉) 행호분위중부사직(行虎賁衛中部司直)으로 겸사복(兼司僕)이 되었다.
○서얼 출신이기 때문에 자급(資級)이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이르렀으나 한 번도 현직(顯職)에는 등용되지 못하였고, 평생 겸사복으로 있으면서 포도장으로 도성 내외는 물론 전국 각지에서 일어나는 도적 소탕에 공을 세웠다. 그 중에서도 관악산 일대에 둔취, 항거하였던 고도(古道)·김말응(金末應) 등의 소탕과 충주의 수리산(愁里山), 여주의 강금산(剛金山) 도적들을 소탕하여 큰 공을 세운 것이 유명하다.
○평생을 겸사복으로 지냈으나 불평 한마디 없었고, 옛날 자신이 신장사하던 저자를 지날 때는 반드시 말에서 내려 옛 친구들과 땅에 앉아서 이야기하다가 가곤 하였다 한다. 시호는 양평(襄平)이다.
*참고문헌: 『세조실록(世祖實錄)』 『성종실록(成宗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襄平公慶州李公諱陽生祭壇碑銘(양평공경주이공휘양생제단비명) <역문>
-傍裔孫(방예손) 仁根(인근) 謹撰(근찬)
https://yongjaegong.tistory.com/1413
양평공 이양생 가계도(襄平公 李陽生 家系圖)
花軒公 吏曹判書 李蔓實(화헌공 이조판서 이만실)
||
貞敬夫人(정경부인). 鐡城李氏(철성이씨) 監司 李濬(감사 이준)의 女
├鷄川君 文科 郡守 李從直(계천군 문과 군수 이종직) ═ 豐壤趙氏(풍양조씨) 都評議 趙崇(도평의 조숭)의 女
│ ├縣監公 李吉祥(현감공 이길상)
│ ├敵愾功臣 襄平公 李陽生(적개공신 양평공 이양생) ═ 平山申氏(평산신씨)
│ │ ├戶曹判書 鷄善君 李泰岳(호조판서 계선군 이태악)
│ │ │ └正憲知中樞 鷄興君 李橚(정헌지중추 계흥군 이숙)
│ │ │
│ │ └李金東(이금동)
│ │ └李日復(이일복)
│ │
│ ├女 ═ 李孝商(이효상)
│ ├女 ═ 金玉誠(김옥성)
│ └女 ═ 朴孝至(박효지)
│
├判事公 文科 禮曹判書 李良直(판사공 문과 예조판서 이양직)
├大司憲公 文科 慶尙道觀察使 李繩直(대사헌공 문과 경상도관찰사 이승직)
├女 ═ 縣令 柳淙(현령 유종)
└女 ═ 司正 洪守命(사정 홍수명)
*참조: 1987년 경주이씨(慶州李氏) 대종보(大宗譜)
월성군 5세손 현감공(縣監公) 이길상(李吉祥)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①계천군(鷄川君) 종직(從直) → 5世孫 ①현감공(縣監公) 길상(吉祥) |
○字는 복여(福汝) 현감(縣監). ○墓는 양주해등촌(楊州海等村).
○配는 창녕성씨(昌寧成氏) ○墓는 동원(同原).
*출처: 1987년 경주이씨(慶州李氏) 대종보(大宗譜)
현감공 이길상 가계도(縣監公 李吉祥 家系圖)
吏曹判書公 李蔓實(이조판서공 이만실)
||
貞敬夫人(정경부인). 鐡城李氏(철성이씨) 監司 李濬(감사 이준)의 女
├鷄川君 文科 郡守 李從直(계천군 문과 군수 이종직) ═ 豐壤趙氏(풍양조씨) 都評議 趙崇(도평의 조숭)의 女
│ ├縣監公 李吉祥(현감공 이길상) ═ 昌零成氏(창녕성씨)
│ │ ├判事公 李聃(판사공 이담)
│ │ │ └女 ═ 羅纘(나찬)
│ │ │
│ │ ├光州牧使公 文科 李聆(광주목사공 문과 이영)
│ │ │ ├江西縣令公 李世良(강서현령공 이세양)
│ │ │ ├李世雄(이세웅)
│ │ │ ├女 ═ 僉使 權世俊(첨사 권세준)
│ │ │ └女 ═ 申壽堅(신수견)
│ │ │
│ │ ├縣監公 李䎸(현감공 이오)
│ │ │ └文科 吏曹參議敦寧都正 李嗣宗(문과 이조참의돈녕도정 이사종)
│ │ │
│ │ ├女 ═ 郡守 王宗仁(군수 왕종인)
│ │ │ └永川李氏 李希侗(영천이씨 이희동)
│ │ │
│ │ └女 ═ 晋州姜氏(진주강씨) 班城尉 姜子順(반성위 강자순)
│ │ └女 ═ 崇善 副正(숭선 부정)
│ │
│ ├敵愾功臣 襄平公 李陽生(적개공신 양평공 이양생)
│ ├女 ═ 李孝商(이효상)
│ ├女 ═ 金玉誠(김옥성)
│ └女 ═ 朴孝至(박효지)
│
├判事公 文科 禮曹判書 李良直(판사공 문과 예조판서 이양직)
├大司憲公 文科 慶尙道觀察使 李繩直(대사헌공 문과 경상도관찰사 이승직)
├女 ═ 縣令 柳淙(현령 유종)
└女 ═ 司正 洪守命(사정 홍수명)
*참조: 1987년 경주이씨(慶州李氏) 대종보(大宗譜)
'주요인물 (二) > 양평공◇이양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조실록] 공신연을 베풀다. 적개 공신 귀성군 이준 등이 치사하니, 교서를 반사하다 (0) | 2018.12.10 |
---|---|
[세조실록] 세자가 백관을 거느리고 임금의 탄신을 하례하니 제신에게 잔치를 베풀다 (0) | 2018.12.10 |
[세조실록] 이양생·박의생을 겸사복으로 삼으라고 병조에 전지하다 (0) | 2018.12.10 |
[세조실록] 도총사 이준 등이 개선하여 복명하니 공신호와 전토 노비를 내리다 (0) | 2018.12.10 |
양평공(襄平公) 이양생(李陽生) (0) | 2018.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