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군 7세손 돈녕도정공(敦寧都正公) 이사종(李嗣宗)
【계대(系代)】 ①월성군(月城君) 이지수(李之秀) → 1世孫 ①정렬공(貞烈公) 규(揆) → 2世孫 판사복시사공(判司僕寺事公) 원림(元林) → 3世孫 ①화헌공(花軒公) 만실(蔓實) → 4世孫 ①계천군(鷄川君) 종직(從直) → 5世孫 ①현감공(縣監公) 길상(吉祥) → 6世孫 ③현감공(縣監公) 오(䎸) → 7世孫 돈녕도정공(敦寧都正公) 사종(嗣宗) |
○字는 대건(大建) 연산(燕山) 을묘(乙卯, 1495)年 진사(進士). 영안(令按) 국조실록칙(國朝實錄則) 공지입조위관사적(公之立朝位官事蹟)이 소소재록(昭昭載錄)하니 약거기대자칙(若擧其大者則) 안동부사(安東府使), 성주목사(星州牧使), 장단부사(長湍府使), 철원부사등(鐵原府使等) 시직(是職)이 개외력자이재철원시(皆外歷者而在鐵原時)에 헌부계청체직(憲府啓請遞職)하니 전왈(傳曰) 이모오사칙미가지야(李某誤事則未可知也)라 당상관직(堂上官職)으로 기불가위부사호(豈不可爲府使乎)아 하며 기후(其後)에도 루유헌부급대간체직지계이계첩부윤(累有憲府及臺諫遞職之啓而啓輒不允)하다. 중종(中宗) 정묘(丁卯, 1507)年에 증광별시(增廣別試) 병과(丙科)로 승(陞) 이조참의돈녕도정(吏曹參議敦寧都正)하다.
○配는 신씨(申氏) 의 女.
○配는 화순최씨(和順崔氏) 참판(參判) 한원(漢源)의 女. ○墓는 해등촌(海等村) 계좌합폄(癸坐合窆).
*출처: 1987년 경주이씨(慶州李氏) 대종보(大宗譜)
●[진사] 연산군(燕山君) 1년(1495) 을묘(乙卯) 증광시(增廣試) [진사] 2등(二等) 8위(13/100)
*https://yongjaegong.tistory.com/1348
●[문과] 중종(中宗) 2년(1507) 정묘(丁卯)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7위(17/36)
*https://yongjaegong.tistory.com/1349
◈吏曹參議慶州李公諱嗣宗祭壇碑銘(이조참의경주이공휘사종제단비명) <역문>
-傍裔孫(방예손) 仁根(인근) 謹撰(근찬)
https://yongjaegong.tistory.com/1433
돈녕도정공 이사종 가계도(敦寧都正公 李嗣宗 家系圖)
縣監公 李吉祥(현감공 이길상) ═ 昌寧成氏(창녕성씨)
├判事公 李聃(판사공 이담)
├光州牧使公 文科 李聆(광주목사공 문과 이영)
├縣監公 李䎸(현감공 이오) ═ 載寧鄭氏(재령정씨) 郡守 鄭桓(군수 정환)
│ └文科 敦寧都正公 李嗣宗(문과 돈녕도정공 이사종)
│ ||
│ 申氏(신씨), 和順崔氏(화순최씨) 參判 崔漢源(참봉 최한원)의 女
│ ├郡守公 李晼(군수공 이원)
│ ├縣監公 李晈(현감공 이교)
│ ├李晐(이해)
│ ├通德郞公 李昉(통덕랑공 이방) ═ 坡平尹氏(파평윤씨) 郡守 尹墩(군수 윤돈)의 女
│ │ └進士 僉樞公 李文幹(진사 첨추공 이문간)
│ │
│ ├將仕郎公 李暾(장사랑공 이돈)
│ ├女 ═ 李楣(이미)
│ ├女 ═ 金末壽(김말수)
│ └女 ═ 鄭繼先(정계선)
│
├女 ═ 郡守 王宗仁(군수 왕종인)
└女 ═ 晉州姜氏(진주강씨) 班城尉 姜子順(반성위 강자순)
*참조: 1987년 경주이씨(慶州李氏) 대종보(大宗譜)
'경주이씨 인물 과거 > 월성군파◆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성군 7세손 황산도찰방공(黃山道察訪公) 이덕장(李德璋) (0) | 2021.05.16 |
---|---|
월성군 7세손 천유당공(天有堂公) 이덕연(李德淵) (0) | 2018.12.10 |
월성군 6세손 훈도공(訓導公) 이공준(李公準) (0) | 2018.12.10 |
월성군 6세손 눌재공(訥齋公) 이홍준(李弘準) (0) | 2018.12.10 |
월성군 6세손 용재공(慵齋公) 이종준(李宗準) (0) | 2018.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