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조문집/만오일고이상현

[晩悟公逸稿卷之二] [附錄] 墓誌銘 [并序] 真安 李中洙 謹撰 <역문>

용재공 16세손 이제민 2018. 11. 19. 17:54

晩悟公逸稿卷之二 / 附錄


墓誌銘 [并序] 真安 李中洙 謹撰

在昔戊午名賢慵齋先生李公。於吾老祖退陶先生。爲重表聯戚也。兩家之世分不淺。而邇來後屬寢遠。罕得以情靣相際。日。慵齋裔孫成鎬。訪余於遠遠江舎。示其曾大友晩悟公行蹟。責以幽堂之誌。義不可以不文辭。按公諱相鉉。字聖任。慶州。其郡望也。汾川其并鄕也。純廟丁丑二月二十二日。高宗乙未二月十七日。其生卒也。廣回之阡。枕子原。其再遷葬山也。公儀表雋偉。自童丱。休休有長者風。早服庭訓。留心經典。於常變諸家說。亦能涉獵強記。軰恁以知禮稱。而念士子進取之階。自在公車。勉做十日業。出入塲屋。文藝菀而交道廣。當時族親。如橘山相公裕元。名宰如趙小竹齋東淳。徐硏雲昶輔。洪蘭軒蘭燮。咸以氣義相傾。引類之舉。若可以彚茹征。而世杪矣。乃相度時義。携舊書。僑接于興州乾臯。隣里名碩。多有麗澤之益。而㶊齋權 公璉夏。最其相善者也。一生致力。尤汲汲於 追先惇宗。慵齋衣履之藏。在安東金溪。而後孫㪚處淪落。香火幾乏。則公拔例置祭田。而省掃無欠闕。先生舊址。又有手植杏樹。戊午禍後。枯根枿榦。歴三百年復甹。公築壇封植。平泉之花木。典守依舊。則西山金徴士興洛。首和鴨脚䪨。賦其事。遂廣求諸什。以成傳家寳。門先之金石文字。㪚出無統者。蒐合而刋布之。譜系之世代踈畧者。修明而敦睦之。其心手之應。勇於當行。類如是焉。以故。凢有大議論大措置。宗中皆倚公爲前茅云。逮至晚暮。復還汾川舊野。盖以飮水之願。常在建業。而其禁護先壠。教廸後生。亦不能無眷戀而然也。李氏起於新羅佐命勲臣謁平。麗末。有諱之秀。襲封月城君。我朝。有諱繩直。官大憲。生諱時敏。進士。號琴湖。生諱宗凖。贈副提學。即慵齋先生也。高祖諱友三。曾祖諱悌權。祖諱光震。考諱周顥。連世隱不仕。妣義城金氏。櫝巖齋養厚女。配晉州姜氏。貞敏公恰後士人桓女。柔嘉有婦德。先公某年卒。葬于乾井古臺洞酉坐原。一男二女。男斗炯。女權鍾和金輝庚。斗炯男在昌。女金晚秀金元模。在昌男長。錫鎬。成鎬。其次也。重惟公以有爲之資。苟處可用之地。其名祖華冑。誰之不如。而徃者中葉不竸。遯于荒陬。木食而澗飮。子孫寡聞。無得以振拔幽滯。則公之業㓛令。發進塗。盖將再樹門戸。而世之執國命者。徒以炎凉。而取舎人。荆山之璞。齊門之瑟。顧安所自售爲也。此從古志士之薀經。綸不得做。只恁麼死了底。爲究竟地者。於公。不能無恨。而獨幸夫京鄕從遊之跡。能得賢大夫士月評。抱此而歸卧先庄。留名後人。則其視一時之由曲徑倖冨貴者恁。得失果何如哉。斯可以誌公而銘公也已。銘曰。

士貴知者之知。不患不知者之不知。課吾農讀吾書以遺安兮。宜子孫勿替引之。是庸刻石于竁。千古不虧。

柔兆困敦之小春節。真安。李中洙。謹撰


*출처: 한국국학진흥원
  http://ugyo.net/yk/gds/gdsKisaView.jsp?B_SUJI_ID=KSAC_M_A04000011&B_BOOK_ID=KSAC_T_A04000011_001&B_KWON_ID=005&B_STYLE_ID=005&iPage=1&B_KISA_ID=00079



◎만오처사월성이공묘지명 병서 역문
(晚悟處士月城李公墓誌銘 幷序 譯文)

-진성(眞城) 이중수(李中洙) 찬(撰)

옛 무오명현(戊午名賢) 용재선생(慵齋先生) 이공(李公)이 나의 선조 퇴계선생(退溪先生, 이황李滉)과 외(外) 외(外) 척분(戚分)이 되니 우리 두 집 세의(世誼)가 두터우려만 역사가 오래 흐르고 자손이 소원해져서 정다운 얼굴로 대하는 일이 드물더니 하루는 용재(慵齋) 후손(後孫) 성호(成鎬)가 나의 멀고도 먼 집을 찾아와서 자기 증조부 만오공(晩悟公) 행적(行蹟)을 보이면서 묘소에 묻을 묘지명(墓誌銘)을 위촉하니 의리상으로 보아 사양할 수만도 없다. 공의 휘는 상현(相鉉)이요, 자는 성임(聖任)이며 경주(慶州)는 그 관향(貫鄕)이고 분천(汾川)은 그 거주하는 고향이라. 순묘(純廟) 정축(丁丑, 1817) 2월 22일에 출생했고 고종(高宗) 을미(乙未, 1895) 2월 17일에 졸하니 광회(廣回)의 언덕 자좌(子坐)의 자리가 면리한 장지다. 공의 의표(儀表)가 위대하고 동몽으로부터 늠름한 장자(長者)의 풍채가 있으니 일찍이 가정교훈을 익혀 마음을 경전(經典)에 두고 상변제가설(常變諸家說)에도 또한 능히 탐독하여 기억하니 당시 사유(士儒)들이 예(禮)를 안다고 칭찬하더라.
생각건대, 선비의 나아갈 길이 벼슬길에 있다 해서 힘써 공부하고 과장(科場)에 출입하니 문학(文學)이 발전하고 교제가 넓어서 당시 친족(親族) 중에 귤산상공(橘山相公) 유원(裕元) 같은 명재상(名宰相)이 있고 소죽(小竹) 조동순(趙東淳)과 연운(硏雲) 서창보(徐昶輔), 난헌(蘭軒) 홍난섭(洪蘭燮) 같은 분은 다 의기로 서로 존경하여 뜻과 기미가 맞는 제류를 구하고자 하나 세상이 말엽이라 이에 서로 때를 탄식하고 흥주건고(興州乾臯)에 우거(寓居)하니 인근 명사들의 도움이 많으니 이재((頤齋) 권공(權公) 연하(璉夏)가 가장 친근했다. 일생을 통하여 선조를 추모하고 종족간에 친목하는 데에 힘을 기울여서 용재선생(慵齋先生)의 묘소가 안동(安東) 금계동(金溪洞)에 있으나 후손이 각처에 흩어져 살아서 춘추향화(春秋香火)까지도 어려운 처지에 있으니 공이 빼앗겼던 토지를 도로 찾아 제사에 궁색함이 없도록 노력하였고 옛날 살던 터에 금호공(琴湖公)이 심은 은행나무가 무오사화(戊午史禍, 1498)를 당한 후 잎이 마르고 줄기가 죽었으니 3백여 년이 지난 후에 다시 살아나니 공이 단(壇)을 쌓아 뿌리에 부꾸(북의 방언)를 주어 꽃과 잎이 옛 모습이 되니 서산(西山) 김흥락(金興洛)이 먼저 압각수(鴨脚樹, 은행나무를 말함)에 대한 글을 지어 그때 일을 실으니 드디어 널리 글을 모아서 가보(家寶)로 삼았고 문중선현(門中先賢)들의 글이 흩어져 통합이 안 된 것을 귤산상공(橘山相公, 유원裕元)과 상의하여 수집한 질의 책자로 발간하였으며 보첩(譜牒)의 분명치 않은 세대를 다시 닦아 밝혀서 족친 간에 돈독을 도모했으니 그 마땅히 행한 일에 대해서는 용기를 내는 것이 이와 같은지라. 이러므로 문중에 큰일이 있을 때는 반드시 공을 앞세워 처리하다. 말년에 이르러 다시 분천(汾川) 옛터로 돌아오니 옛 물을 마시고자 함이나 선조 묘소를 보호함과 후생을 가르치는데에도 원인이 있음이라.
이씨(李氏)는 신라(新羅) 좌명공신(佐命功臣) 알평(謁平)에서 일어났고 고려말에 휘 지수(之秀) 월성군(月城君)이 있고 아조(我朝, 조선朝鮮)에 휘 승직(繩直)은 벼슬이 대사헌(大司憲)이었고 아들 시민(時敏)은 진사(進士)로 호를 금호(琴湖)라 했고 금호공(琴湖公)의 아들 휘 종준(宗準)은 부제학(副提學)을 받았으니 이분이 용재선생(慵齋先生)이라. 고조의 휘는 우삼(友三), 증조의 휘는 제권(悌權), 조의 휘는 광진(光震), 부친의 휘는 주호(周顥)니 대대로 벼슬은 아니하다. 모친은 의성김씨(義城金氏)니 독암재(櫝巖齋) 양후(養厚)의 따님이고 배(配)는 진주강씨(晉州姜氏)니 정민공(貞敏公) 흡(恰)의 후손 환(桓)의 따님이니 부덕(婦德)이 있으니 공보다 먼저 졸하여 건정고대동(乾井古臺洞) 언덕 유좌(酉坐)에 안장하다. 1남 2녀를 두니 아들은 두형(斗炯)이요, 따님은 권종화(權鍾和)·김휘경(金輝庚)에 출가했고 두형(斗炯)의 아들에 재창(在昌)이요, 따님은 김만수(金晚秀)·김원모(金元模)에 출가했고 재창(在昌)의 아들에 맏이 석호(錫鎬)·성호(成鎬)라.
오직 공이 쓰일 수 있는 자질로 쓸 줄 아는 세상에 태어났던들 그 이름있는 조상에 빛나는 자손 됨이 누구만 못하리오마는 지난 중엽부터 떨치지 못하고 상중에 숨어서 초식(草食)으로 도랑물을 마시며 살아오니 자손이 배우지 못해서 발탁이 안 되고 침체해졌으니 공의 사업목적이 발신(發身) 출세하여 문호(門戶)를 빛내고자 함이었건만 당시 세상에는 집권자가 이해득실에만 급급하여 사람을 쓰고 버림이 공정하지 못하니 형산(荊山)에 구실과 제문(齊門)의 비파(琵琶)를 뉘라서 알아주리오. 이것이 옛부터 현사(賢士)들이 경륜을 쌓아 놓고도 써보지도 못하고 죽어갔으니 공에 있어서도 한이 없지 않으나 다행한 것은 서울과 지방에서 놀든 형적(形跡)이 현대부(賢大夫)와 기타 인사들의 호명을 얻고 고향에 돌아와서 이름을 후인에 남겼으니 그 당시에 올바르지 못한 일을 해서 요행(僥倖)히 부귀를 얻은 자와 비교할진대 뉘가 나았고 뉘가 못할까 이것이 가히 공을 기록하고 공을 색임 직하도다. 새겨 가로대
선비는 알만한 사람이 알아주는 것이 귀중하고 모든 사람이 몰라주는 것은 근심하지 않나니 나의 농사는 내가 짓고 나의 글은 내가 읽으며 후세들의 편안한 방도를 일깨워주노니 마땅히 자손들은 이를 지킬지어다. 이것을 인용하여 돌에 새겨 광중(壙中)에 묻으니 천고(千古)에 썩지 않으리라.

유조곤돈(柔兆困敦)*) 소춘절(小春節) 진안(真安) 이중수(李中洙) 근찬(謹撰)


-----------------------------------
*) 유조곤돈(柔兆困敦) : 병자년(丙子年). 유조(柔兆)는 고갑자(古甲子)에서, 십간(十干)의 셋째를 이르는 말. ‘병(丙)’과 같고 곤돈(困敦)은 고갑자(古甲子)에서, 십이지(十二支)의 첫째를 이르는 말. 곧 ‘자(子)’를 이른다.


*경주이씨(慶州李氏) 월성군파보(月城君派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