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조문집/용재유고이종준

[慵齋遺稿] 해제

용재공 16세손 이제민 2018. 11. 16. 16:15

해제


서명

慵齋先生遺稿

저자

李宗準(朝鮮) 著

현대어서명

용재선생유고

간행년대

[純祖24年(1824)]

청구기호

奎4282

판본

木版本

책수

1冊(48張)

사이즈

30×20cm



용재(慵齋) 이종준(李宗準: ?~1499), 이홍준(李弘準: 生沒年 미상) 형제의 시문유집(詩文遺集).


후손(後孫) 이창욱(李昌郁)이 1824년[순조(純祖) 24]에 간행(刊行)했다. 이종준(李宗準)의 자는 중균(仲均), 호는 용재(慵齋), 용헌(慵軒), 부휴자(浮休子), 상우당(尙友堂), 태정일민(太庭逸民), 장육거사(藏六居士) 등이다. 본관은 경주(慶州), 대사헌(大司憲) 승직(繩直)의 손자요, 시민(時敏)의 아들이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1485년(성종成宗 16) 별시문과(別試文科) 갑과(甲科)에 합격하여 의성현령(義城縣令)으로서 경상도지도(慶尙道地圖)를 제작하였으며 서장관(書狀官)으로 중국에 다녀온 뒤 1492년 사가독서(賜暇讀書)하고 사인(舍人)에 이르렀다.


1498년[연산군(燕山君) 4] 무오사화(戊午史禍)에 걸려 부령(富寧)으로 귀양가던 도중 단천(端川) 마곡역(磨谷驛)에 이르러 이사중(李師中)의 시(詩)를 써 붙인 것이 불온하다 하여 서울에 압송 이듬해에 사형되었다. 시문(詩文)과 서화(書畵)에 모두 능하였고 부제학(副提學)으로 추중(推重), 안동(安東)의 경광서원(鏡光書院)·백록리사(栢麓里祠)에 제향(祭享)되었다.


이홍준(李弘準)은 진사(進士)로서 저술(著述)을 좋아하지 않았다. 따라서 그의 문적(文跡)은 극히 남아 있는 것이 드물다.


권두(卷頭)에는 1824년에 쓴 김희주[金熙周: 의성인(義城人)]의 서문(序文)과 용재선생세보도(慵齋先生世譜圖)가 있다.

다음에는 목록(目錄)이 있고 시(詩) 10수, 소(疏) 1편(辭臺職), 잡서(雜著) 3편[금군위묘갈(琴軍威墓碣), 유산낙부시발(遺山樂府詩跋), 전적벽부서첩발(前赤壁賦書帖跋)], 부록(附錄) 19편[화용재갱점필재근체운(和慵齋賡佔畢齋近體韻), 송이중균지임의성사수(送李仲勻之任義城四首), 기용재거사(寄慵齋居士), 제용재화(題慵齋畵), 무오당적서(戊午黨籍書), 중균화(仲勻畵), 용재이선생묘석음기(慵齋李先生墓石陰記), 묘갈명병서(墓碣銘幷序), 행장(行狀), 사화수말(史禍首末), 경광서원상량문(鏡光書院上樑文), 봉안문(奉安文), 상향축문(常享祝文), 백록상향축문(栢麓常享祝文), 개제시제문(改題時祭文), 조야회도략(朝野會道略), 의성읍지(義城邑誌), 백록상량문(栢麓上樑文), 중건상량문(重建上樑文)]이 실려 있다.

이 중 <사화수말(史禍首末)> <무오당적(戊午黨籍)>은 사화(史禍)에 관한 간략한 자료가 될 수 있다.


<눌재선생유고(訥齋先生遺稿)>에는 월성이씨가훈(月城李氏家訓), 선조고가선대부대사헌부군가장(先祖考嘉善大夫大司憲府君家狀), 선부군가장(先府君家狀), 중형장육당가장(仲兄藏六堂家狀), 동묘지문(同墓誌文), 자제비문(自製碑文), 통훈대부행낙안군수남공묘갈문(通訓大夫行樂安郡守南公墓碣文), 동약서(洞約序), 백록상향축문(栢麓常享祝文), 백록상량문(栢麓上樑文), 중건상량문(重建上樑文) 등이 실려 있다.


*출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소

☞ http://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kyujanggak.snu.ac.kr/home/MOK/CONVIEW.jsp?type=MOK^ptype=list^subtype=sm^lclass=AL^mclass=^sclass=^ntype=hj^cn=GK04282_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