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인물 (二)/양평공◇이양생

[세조실록] 공신연을 베풀다. 적개 공신 귀성군 이준 등이 치사하니, 교서를 반사하다

용재공 16세손 이제민 2018. 12. 10. 16:50

세조실록 44권, 세조 13년 11월 2일 갑자 1번째기사 1467년 명 성화(成化) 3년
공신연을 베풀다. 적개 공신 귀성군 이준 등이 치사하니, 교서를 반사하다


○甲子/御仁政殿, 設功臣宴, 世子進酒。 敵愾功臣龜城君 浚等, 致詞曰: "玆遇運際天千, 風虎雲龍。 妖氛滔天, 迅掃一戎。 奉揚神武, 克咸厥功。 寵膺晉錫, 需雲恩濃。 帶礪何忘, 更竭丹衷。 臣拜稽首, 萬福攸同。" 讀訖, 頒敎書。 敎精忠出氣布義敵愾功臣顯祿大夫龜城君兼五衛都摠府都摠管:

王若曰: 一德一心, 久擬維城之重望; 懋功懋賞, 式擧丕視之彝儀。 匪脩私恩, 實出公義。 惟爾同氣之生, 猶子而視。 嘗在襁褓, 忽嬰疾疢之侵, 親加調護, 旋獲平痊之効。 冞篤矜憐, 常在左右。 年雖幼少, 器自老成。 非惟秉心之忠直, 夙夜惟寅; 抑亦處事之精通, 周旋咸中。 早擢登俊之試, 益紆眷注之深。 苟余委任之日, 乃爾盡節之秋。 頃者賊臣李施愛, 陰畜異謀, 廣植姦黨, 扇訛言而惑衆聽。 拘使命而殺朝差, 蔑棄諭書, 僞署官爵, 妄恃狡兔之窟, 盜弄潢池之兵。 神旣憤而已切陰誅, 衆亦怒而寧稽天討。 肆予震怒, 命汝爲咸吉平安黃海江原四道兵馬都摠使徂征。 自膺推轂之初, 已運折衝之策。 率厲諸將, 人奮敵愾之忠; 指揮三軍, 士協殄讎之志。 成掎角於莫測, 變奇正於無窮, 疾如風徐如林, 秘於天邃於地。 觸鋒冒刃, 衂銳摧堅, 一皷而雷霆震盪, 再麾而山岳動搖。 群兇狼奔, 不啻碫卵之潰; 渠魁鼠竄, 竟伏鐵鑕之誅。 曾未浹旬, 忽已獻捷。 一方按堵如舊, 萬姓皷舞均歡。 念汝戎功, 在我王室疏封錫命, 豈獨展親親之恩? 崇德報功, 實亦表賢賢之義。 肆策爾爲敵愾一等功臣, 宥及永世。 仍賜奴婢十三口、田一百五十結、銀五十兩、衣二襲、鞍具內廐馬一匹, 至可領也。 於戲! 日可貫天可撑, 益鞏鴻圖於盤石。 山如礪河如帶, 庶享匹休于雲來。

敎推忠佐翼出氣布義敵愾功〔臣〕 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左議政兼春秋館監事世子侍講院傅昌寧君 曺錫文:

王若曰: 紆謨廟堂, 旣稱股肱之隆委; 決勝樽俎, 又副干城之重望。 自非有文武之全才, 曷能兼將相之偉績? 宜加褒賞, 用表豪雄。 卿性資端方, 識度英邁。 早歷華要, 聲名已足人聞; 擢置巖瞻, 經濟自爲己任。 日者逆竪孼茅, 愚氓詿誤, 始騁姦而狙詐, 終構兵而鴟張。 罪盈天地所不容, 惡稔神人所共憤。 乃予赫怒, 命將討平。 授鈇鉞而登墻, 已無愧晋公之節度; 入帷幄而運策, 必有資子房之從容。 肆命卿爲咸吉平安黃海江原四道兵馬都摠副使, 卿能善贊奇正之謀, 盡盪豺狼之窟。 豈惟一方之底定? 抑亦四境之同懽。 功多厚賞, 古有成規。 況卿旣與佐翼之勳, 惟余當懋褒賞之典。 肆策卿爲敵愾一等功臣, 爵其父母妻, 宥及永世。 仍賜奴婢十三口、田一百五十結、銀五十兩、衣一襲、鞍具內廐馬一匹, 至可領也。 於戲! 出將入相, 旣樹不世之隆功; 礪山帶河, 永保無窮之令聞。

敎精忠出氣布義敵愾功臣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右議政康純:

王若曰: 敵愾折衝, 旣建莫大之績; 策勳行賞, 宜加不貲之恩。 寔豈予私? 自有古典。 惟卿襟期醇直, 器宇寬洪。 倜儻慕古人之風, 雄深有丈夫之略。 捫蝨志壯, 應國家斷斷無他; 窺牛氣雄, 處帷幄恢恢有裕。 肆閫寄之每委, 自絶刁斗之音。 致國步之永康, 益洽干羽之化。 近者逆臣李施愛, 陰蓄異志, 嘯聚兇徒, 煽亂興兵, 窮兇極惡。 神人共憤, 覆載不容。 欲震一怒之威, 孰司三軍之命, 廼咨于衆, 無踰于卿。 故命卿爲鎭北將軍討之。 旣登壇而忘家, 誓裹革而報國。 以卿之鎭定乎北者常久, 而民之信服於中者素深。 士皆樂用而先登, 賊乃不戰而自蹶。 兇徒褫魂, 渠魁授首。 妖氛迅掃於千里, 慶頌交騰於四方。 雖古善兵之諸將, 固無齊驅。 於今奮庸之戎臣, 孰有居右? 盍加懋賞, 庸答殊勳? 肆策卿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柱石邦家, 旣兼資於將相; 山河帶礪, 庶匹休於始終。

敎精忠出氣布義敵愾功臣正憲大夫工曹判書蘂城君 魚有沼:

王若曰: 敵愾竭忠, 惟臣子之偉績; 報功行賞, 乃國家之令規。 卿稟氣英豪, 操行廉謹。 首擢虎牓, 才冠羽林。 出鎭邊營, 人擬長城之器; 入典兵務, 衆服大樹之材。 凡所歷敭, 頗有聲績。 頃者逆臣李施愛, 敢圖不軌, 恣行賊殺。 遂聚衆擧兵, 大肆跳梁。 予乃赫怒, 命龜城君 浚, 帥諸將討之, 卿乃奮不顧身, 親冒矢石。 盡銳經擣, 遂使前徒倒戈, 元兇授首。 不日之間, 戡定凱旋, 不賴英雄之鷹揚, 奚致盪平之神速? 載念奇功之懋, 宜加厚賞之酬。 肆策卿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盟以丹書, 旣擧疇庸之典; 礪乃素節, 益酬篤棐之忱。

敎精忠出氣布義敵愾功臣正憲大夫兵曹判書平陽君 朴仲善:

王若曰。 國有兇孼, 利器乃能芟除; 臣奏膚功, 寵命宜加旌賞。 匪今伊始, 自古而然。 日者賊臣李施愛, 陰懷異謀, 竊據朔鄙, 詭言扇惑, 矯殺邊將、守宰。 遂擧兵以叛, 自古亂賊, 莫此爲甚。 念卿本平陽勳胄, 且連戚畹。 倍激忠憤, 乃命爲平虜將軍, 率黃海道兵赴之。 卿能益奮義勇, 獨當一隊, 摩壘摧堅, 掃蕩妖孼, 用雪神人之憤。 報功之典, 予豈敢後? 肆策卿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竭誠敵愾, 業不墜於先人; 共戚同休, 庶罔渝於後裔。 如帶如礪, 有山有河。

敎精忠出氣布義敵愾功臣崇政大夫咸吉北道兵馬水軍節度使陽川君 許琮:

王若曰: 効忠敵愾, 匪賢豪孰能; 論賞酬功, 在公義宜急。 惟卿器局豪逸, 襟宇開通。 幼業詩書, 壯兼弓馬。 夙蘊經世之才, 恒懷輔國之忠。 頃者賊臣李施愛, 謀逆構亂, 擧兵稔惡。 罪實滔天而貫盈, 衆願剋日以殄滅。 予乃命將征之, 起復卿爲咸吉道節度使。 卿能協謀同力, 遂擒渠魁傳首奏捷。 大雪神人之憤, 克底邊境之寧, 卿勳之殊, 予嘉曰篤。 肆策卿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平梟獷績旣懋, 稽古事而誓山河; 上麒麟寵亦隆, 保初心以及苗裔。

敎精忠布義敵愾功臣正憲大夫右參贊坡平君 尹弼商:

王若曰: 德懋懋官, 功懋懋賞, 此古今之通義, 國家之令典也。 惟卿稟性端雅, 處事精詳。 歷施諸任, 施無不可。 予甚器之, 俾長喉舌之任, 卿能啓沃獻替, 出納惟允, 可謂無愧於先哲者矣。 頃者逆臣李施愛包藏禍心, 殺害州鎭將守, 盜弄邊兵, 敢干天誅, 軫予北顧之憂。 於是時獨在禁幄, 密贊籌策, 遂使群兇旋熸, 元惡授首。 不必被堅執銳, 汗馬殺兔, 以爲功也。 汝勳汝業, 論則第一。 肆策卿云云。 於戲! 黃河泰山, 誓勿忘於今日; 丹書鐵卷, 期永傳於後昆。

敎精忠出氣布義敵愾功臣資憲大夫行慶源都護府使慶源鎭兵馬僉節制使烏林君 金嶠:

王若曰: 臣子(謁)〔竭〕 誠以禦侮, 帝王崇德而報功, 此國家之常經, 而古今之通義也。 惟卿志氣英邁, 才藝驍雄。 自在潛邸, 左右服勞, 予甚器之。 逮予卽位, 委以百里之寄, 聲績藹然, 予益重之。 日者賊臣李施愛謀逆, 殺害將宰, 拘留使命, 興兵跋扈, 罪盈滔天。 予命龜城君 浚, 帥諸將誅之, 卿爲偏裨, 奮萬死先三軍, 出奇衂銳, 遂乘勝大捷。 師出未幾, 元兇授首, 朔方悉平。 厥功甚茂, 予豈敢忘? 肆策卿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誓指山河, 旣流芳於不朽; 業傳苗裔, 庶匹休于無疆。

敎精忠出氣布義敵愾功臣資憲大夫工曹判書兼五衛都摠府都摠管宜山君 南怡:

王若曰: 討賊敵愾, 必資良將之材; 旌忠策勳, 宜擧懋賞之典。 是由公義, 匪循私恩。 惟卿識該六韜, 氣壓萬衆。 幼負驍健之藝, 早備禁衛之行。 乃者賊臣李施愛, 騁逆謀而狙獷, 煽兇焰而鴟張。 乃命元戎, 往致天討。 令卿隨赴, 先率徑趨, 唯知進死之榮, 常恐出戰之後。 攘臂賈先登之勇, 挺身奮獨當之心。 親冒矢石之交, 直擣豺虎之穴。 殪兇徒於三箭, 掃妖氛於一呼。 欲報膚功, 宜加寵命。 肆策卿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河如帶山如礪, 其可忘於今休; 旱作霖川作舟, 庶益勵於後効。

敎精忠出氣布義敵愾功臣嘉靖大夫吏曹參判延安君 李淑琦:

王若曰: 臣子之忠, 莫大於敵愾; 人君之道, 當急於賞功。 惟卿剛毅不群, 端方有守。 負折衝千里之才, 抱適用百家之學。 早登名於虎榜, 屢分佩於魚符, 威惠幷行, 聲績茂着。 日者賊臣李施愛, 陰蓄異志, 大肆兇謀, 遂擧兵衆, 自速天誅。 逮官軍之已臨, 猶螗臂之敢拒。 卿以偏裨之將, 當矢石之間, 不惜身命而驅馳, 卒致兇醜之殄滅。 功旣雄偉, 義合褒崇。 肆策卿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嘉乃丕績, 誓已指於山河; 與國咸休, 期永保於苗裔。

敎精忠出氣敵愾功臣崇祿大夫議政府左贊成兼世子侍講院貳師兵曹判書五衛都摠府都摠管春秋館知事光山君 金國光:

王若曰: 運籌決天里勝, 必賴命世之豪; 戮力建萬世功, 宜厚自天之寵。 稽諸古典, 實是恒規。 惟卿稟性端良, 天資沈重。 早登科第, 歷躡班聯。 識達古人之大方, 智通當世之要務。 昔予一見, 謂得不器之才, 逮後累遷, 果効多聞之建。 乃者逆臣李施愛, 負險謀亂, 聚黨擧兵, 孰不切齒而腐心? 故乃命將而致討。 卿以兼判兵曹, 常在予左右, 專任方略。 師出未幾, 兇徒盡殄, 捷音儀奏, 幅員同懽。 効力驅馳, 豈獨韓信之勇; 折衝談笑, 居多子房之謀。 旣有雋偉之功, 可無褒賞之典? 肆策卿爲敵愾二等功臣, 爵其父母妻, 宥及永世。 仍賜奴婢十口、田一百結、銀二十五兩、衣一襲、內廐馬, 至可領也。 於戲! 股肱心膂, 旣一體以相資; 帶礪山河, 期萬世而共享。

敎精忠出氣敵愾功臣嘉善大夫行中樞府僉知事吉城君 許惟禮:

王若曰: 竭精忠而擒賊, 旣立殊勛; 施懋賞以旌功, 庸加寵命。 玆率公義, 匪循私恩。 惟卿出系沛鄕, 選補禁旅。 頃者逆臣李施愛, 敢負恩而謀不軌, 遂興兵而拒官軍。 卿能奮義膽, 單身走吉州, 遂謀擒賊。 旣脫父於將亡, 且敵予之所愾。 夷險一節, 忠孝兩全。 念玆奇功, 宜加異數。 肆策卿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盟以丹書, 旣擧疇庸之典; 礪乃素節, 益輪篤弼之誠。

敎精忠出氣敵愾功臣嘉善大夫行中樞府僉知事鍾城君 李雲露:

王若曰: 討賊敵愾, 旣立殊勳; 策命旌功, 宜加寵典。 卿遠自邊鄙來, 侍于朝有年。 近還梓鄕, 爲遂叛逆所脅, 然縱能縛賊, 來獻轅門, 可知素節之堅。 汝心汝功, 惟予汝嘉, 肆策卿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丕視功載, 旣選爾勞; 世篤忠貞, 無替我命。

敎精忠出(擧)〔氣〕 敵愾功臣嘉靖大夫行會寧都護府使會寧鎭兵馬節制使全義君 李德良:

王若曰。 有非常之才, 乃能樹戡難之績; 施不貲之賞, 斯可酬敵愾之功。 惟卿才藝出群, 氣略超衆。 忠義常勵於平素, 軀命豈惜於險危? 頃者賊臣李施愛, 潛蓄禍心, 殺州鎭將守, 遂興兵豕突, 惡旣極於滔天, 憤實同於率土。 予乃命將討之, 卿能奮激忠肝, 先士卒冒矢石, 皷勇力攻, 遂使賊徒瓦解, 渠魁伏誅。 不日耆定, 爾功爾勞, 予敢忘諸? 肆策卿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奔走先後, 旣竭一心而効忠; 帶礪山河, 庶傳萬葉而盡節。

敎精忠出氣敵愾功臣嘉靖大夫行虎賁衛上護軍昆山君 裵孟達:

王若曰: 遇非常之變, 方知超卓之奇才; 樹莫大之功, 可享稠重之寵命。 此古之名臣良將, 所以富貴不離其身, 而聲名流於後世者也。 惟卿稟資雄壯, 秉心堅確。 初發跡於羽林, 人皆目爲良將。 日者賊臣李施愛, 陰圖不軌, 賊殺將宰, 團結土軍, 抗拒天兵, 其跋扈極矣。

予乃命將討之, 卿爲偏裨, 一乃心力, 觸冒矢石, 遂成破竹, 奸兇授首, 邊境復晏。 厥功懋焉, 惟予汝嘉。 肆策卿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如帶如礪, 指山河以毋忘; 有猷有爲, 傳子孫而勿替。

敎精忠出氣敵愾功臣嘉善大夫行全羅道節度副使兼全州府尹嘉平君 李亨孫:

王若曰: 禦侮戡難, 爲臣之効忠; 策勳行賞, 有國之恒規。 從古則然, 匪今伊始。 惟卿早有雋材, 再捷武擧。 非特羽林之傑, 且著良吏之名。 近者賊臣李施愛, 敢逞不軌之謀, 賊殺將宰, 遂肆貫盈之惡, 抗拒官軍。 肆予命將征之, 卿能發忠義, 身先士卒, 不避險艱, 躬冒矢石, 致使逆黨破竹, 渠魁伏鈇。 疇厥平定之庸, 綽有摧陷之効。 肆策卿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予曰有羽翼, 旣不讓於古人; 卿其指山河, 永無忘於今日。

敎精忠出氣敵愾功臣嘉善大夫行龍驤衛上護軍咸城君 李從生:

王若曰: 敵王所愾, 臣子之殊勳; 賞人有功, 國家之彝典。 近者賊臣李施愛, 潛構叛謀, 嘯聚兇黨, 盡殺將宰, 大肆炰烋。 予命將征之, 卿乃身先士卒, 摧堅陷陣, 克底平定。 念卿戎功, 敢忘旌賞? 肆策卿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咸休之義, 丕視舊章; 永存之心, 庶傳來裔。

敎精忠出氣敵愾功臣嘉善大夫咸興府尹咸興鎭兵馬節度使全城君 李恕長:

王若曰: 錯節盤根, 方知利器之異; 運籌畫策, 必資佐幕之賢。 旣樹非常之勳, 宜加不貲之寵。 惟卿多材多藝, 有守有猷。 早捷科名, 歷任繁劇。 予甚器之, 期將大用。 頃者賊臣李施愛, 敢圖不軌, 肆行賊殺, 遂擧兵跳梁, 一道洶洶。 予命龜城君 浚, 摠大兵討之, 卿爲從事, 參佐幕府。 借箸謀議, 多所裨補, 善治軍簿, 罔有遺誤。 或冒險履危, 往復馳報, 奉算周旋, 動中幾會, 遂成破竹之勢, 旋聞報捷之音。 卿功之懋, 予不敢忘。 肆策卿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指山河而盟, 期匹休於萬世; 竭股肱之力, 庶永肩於一心。

敎精忠出氣敵愾功臣通訓大夫軍資監正金順命:

王若曰: 戡難敵愾, 爲臣之至忠; 崇德酬勞, 有國之令典。 頃者賊臣李施愛, 辜覆育之恩, 負窟穴之固, 扇浮言以惑衆, 殺官吏而擧兵。 亂旣極矣, 蔓難圖焉。 予命龜城君 浚, 節度將諸討之, 汝爲佐幕。 軍機事秘, 難於遙聞, 汝數來啓達, 纖毫不遺。 還奉成算, 明諭將士, 俾一心力, 審幾進攻。 渠魁狼狽, 自就天誅。 嘉汝之功, 予何敢忘? 肆策爾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丹書、白馬, 期永保於一心; 泰山黃河, 誓毋忘於萬世。

敎精忠出氣敵愾功臣通訓大夫宗簿寺正金瓘:

王若曰: 敵王所愾, 實竭忠義之心; 念爾有功, 敢稽褒崇之典? 惟爾性資聰敏, 智識精通。 早捷興賢之科, 歷曉經世之務。 賢名播聞, 惟予汝嘉。 頃者賊臣李施愛, 輒懷兇謀, 大肆跳梁, 覆載不容, 神人共憤。 予命龜城〔龜城君〕 浚爲都摠使討之, 俾爾從事幕府。 爾能裨贊謀畫, 往復馳報, 動中機會, 卒纖逆黨, 遂底平定, 俾予紓北顧之憂。 念爾之勳, 可謂懋矣。 肆策爾云云, 至可領也。 於戲! 平禍亂安國家, 旣有非常之績; 膺寵命誓帶礪, 益殫不貳之忠。

敎精忠出氣敵愾功臣折衝將軍行義興衛大護軍兼五衛將具謙:

王若曰: 建非常之功者, 受不貲之賞, 此古今之通規也。 頃者賊竪李施愛, 輒圖不軌, 賊殺將宰, 遂擧兵竊據, 處劉孔棘。 予乃命將討之, 爾能心懷敵愾勇徑赴, 親犯矢石, 推堅衂銳, 遂盪賊穴, 一方奠枕。 嘉乃丕績, 曰篤不忘。 肆策爾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折衝千里, 旣爲社稷之臣; 永肩一心, 肯渝山河之誓。

敎精盡出氣敵愾功臣折衝將軍行義興衛大護軍朴埴:

王若曰: 奮忠義而敵愾, 旣建殊勳; 施寵命而旌能, 宜加厚賞。 寔曰公義, 豈其私恩? 惟爾武略超群, 才藝拔萃。 智可將百旅, 勇堪敵萬夫。 頃者賊臣李施愛, 陰蓄逆謀, 肆行賊害, 神人共怒, 覆載難容。 爾能忿激忠義, 敵我所愾, 躬冒矢石, 畢殲群醜。 念玆戎功, 曰篤不忘。 肆策爾爲云云, 至可領也。 嗚呼! 嘉乃丕績, 旣加褒奬之恩; 與國咸休, 益堅終始之節。

敎精忠出氣敵愾功臣通政大夫工曹參議金伯謙:

王若曰: 勇於敵愾, 旣立希世之勳; 賞以報功, 宜加異等之寵。 此古今之大義, 而帝王之恒規。 近者賊臣李施愛, 謀構大逆, 賊殺將宰, 遂抗官軍, 自速天誅。 予命龜城君 浚, 帥師討之, 以爾久爲禁衛, 衆推驍雄, 俾之從征。 爾能奮激義肝, 冒犯險危, 往來啓達, 不失機會, 遂殄兇醜, 傳首獻捷, 一方按堵, 予心載寧。 若汝之功, 惟予乃嘉。 肆策爾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好爾無斁, 猶嫌爵賞之輕; 與國咸休, 永思帶礪之誓。

敎精忠出氣敵愾功臣資憲大夫咸吉北道觀察使牙城君 魚世恭:

王若曰: 敵王所愾, 匪忠藎莫能; 賞人有功, 在典則當擧。 惟卿秉心堅確, 處事通明。 且兼武略之雄, 非徒儒術之善。 頃者賊竪李施愛, 敢圖不軌, 殺害將宰, 擧兵欲南, 勢將莫遏, 稔惡滔天。 予乃命將往征, 以卿嘗任喉舌, 明知予意, 可試剸裁, 委任方面。 卿能(謁)〔竭〕 誠宣力, 遂掃兇徒, 亟底平定, 撫輯一方, 按堵如舊。 予曰: "有先後。" 予曰: "有禦侮者, 舍卿而誰?" 肆策卿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名垂竹帛, 丕視功載於將來; 誓指山河, 共保基圖於永世。

敎精忠出氣敵愾功臣禦侮將軍行義興衛護軍吳自治:

王若曰: 德懋懋官, 功懋懋賞, 此有國之恒規也。 惟爾才略超衆, 拳勇絶人。 多藝素聞於平昔, 効忠今見於危難。 頃者逆臣李施愛, 潛圖不軌, 大肆跋扈, 拒我熊貔, 軫予宵旰。 罪不容於覆載, 怒斯赫於雷霆。 乃命將征之, 爾乃誓心忘生, 戮力果毅, 旋致勘定, 妖塵廓淸。 奇功可比於前賢, 厚賞宜遵於舊典。 肆策爾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予旣帶礪爲誓, 永念戎功; 爾亦金石其心, 益勵素節。

敎精忠出氣敵愾功臣折衝將軍行忠武衛上護軍鄭崇魯:

王若曰: 効力矢石, 賈勇三軍之前; 勒名鼎鍾, 垂耀千載之下。 此臣子盡忠之大節, 而國家報功之恒規。 惟爾武藝超衆, 選充宿衛, 平時慷慨有壯志。 近者賊臣李施愛, 陰畜異志, 矯殺邊將守宰, 盜弄兵器, 據有一道, 豨縱虎噬, 大肆兇狂。 神人共憤, 予乃赫怒, 命龜城君 浚, 摠兵討之, 爾爲裨將, 奮不顧身, 先登徑擣, 賊徒望風奔潰, 殲厥渠魁, 一方底定。 奔走前後, 予嘉乃功。 肆策爾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丕視功載, 共貞莫大之休; 益勵初心, 永弼無彊之業。

敎精忠出氣敵愾功臣朝奉大夫內贍寺僉正張末孫:

王若曰: 有旂常之紀, 伸帶礪之盟, 皆所以勸忠於當時, 而勵効於後世也。 惟爾性資醇慤, 學識疏通。 早捷科第, 頗有名稱, 忠義之道, 實所佩服。 頃者賊臣李施愛, 陰蓄逆謀, 敢逞跋扈, 兇焰孔熾。 予命龜城君 浚, 摠兵討之, 勝算妙運, 賊勢先熸, 遂縛致渠魁于轅門之下, 妖氣廓淸, 朔域按堵。 汝於是時, 爲鎭北將軍康純從事, 參佐幕籌, 奔走効力。 肆策汝云云, 至可領也。 於戲! 咸休之義, 旣丕視乎舊章; 永保之心, 庶勿替於來裔。

敎精忠出氣敵愾功臣通訓大夫內贍寺正孫昭:

王若曰: 同心協力, 克成敵愾之勳; 論賞旌能, 宜擧報功之典。 頃者逆臣李施愛, 裒兇植黨, 訛言惑衆, 賊殺官吏, 蔑棄諭書, 遂擧兵衆, 大肆跳梁。 予命龜城君 浚, 摠兵討之, 爾乃參佐平虜將軍朴仲善幕府, 摠攝軍務, 履險冒危, 往來奔走, 報賊情狀, 諭予指畫, 動中機會, 罔有差誤, 勝勢遂振, 逆魁授首, 一方晏然。 念爾之功, 敢忘褒奬? 肆策爾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入幕贊畫, 旣樹不世之茂烈; 帶河礪山, 永保無彊之匹休。

敎精忠出氣敵愾功臣折衝將軍行義興衛副護軍吳順孫:

王若曰: 敵愾効忠, 爲臣之殊績; 有功論賞, 有國之恒規。 日者賊臣李施愛, 構逆稔惡, 竊據北邊, 殺害官吏, 興兵豕突, 敢抗官軍。 爾乃身出萬死, 奮不顧後, 冒刃觸鋒, 搉堅陷陣, 廓淸大憝。 厥功旣懋, 敢稽褒賞? 肆策爾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旣竭股肱之力, 乃心邦家; 永懷帶礪之盟, 爰及苗裔。

敎精忠出氣敵愾功臣折衝將軍行龍讓衛護軍沈膺:

王若曰: 德懋則爵之高官, 功大則報以厚賞, 此國家之公誼, 而古今之恒規。 惟爾早捷武擧, 久侍禁衛, 爪牙有勞, 爾之材力, 予固心之屬者。 逆賊李施愛, 圖爲不軌, 大肆兇狂, 實同神人之憤, 敢稽雷霆之威? 予命龜城君 浚討之, 爾能奮勇徑擣, 賊徒瓦解, 遂殲渠魁, 朔界廓淸。 惟爾勠力効忠之績, 予敢忘諸? 肆策爾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策勳酬功, 豈一時之私惠; 同休共戚, 庶萬世而永辭。

敎精忠出氣敵愾功臣通政大夫刑曹參議尹末孫:

王若曰: 國家有難, 惟豪傑能奮其忠; 臣隣建功, 在君上當懋其賞。 玆率彝典, 用答殊勳。 爾奮迹行伍, 侍從禁旅, 爲予爪牙有年矣。 頃者賊臣李施愛, 辜負國恩, 潛懷逆心, 妄謂: ‘險遠足恃, 邊氓可愚。’ 扇動浮言, 賊殺將宰, 鴟張一方, 罪惡滔天。 予乃命將征之, 爾乃領兵往赴, 身先士卒, 親冒鋒刃, 摧堅突陣。 遂致兵勢大振, 賊徒瓦解, 渠魁授首。 念玆戎功, 宜加褒典。 肆策爾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指山河爲誓, 期與國而咸休; 作腹心竭誠, 庶裕後於永世。

敎精忠出氣敵愾功臣折衝將軍行忠武衛護軍金沔:

王若曰: 敵愾効忠, 惟臣子之大節; 論功行賞, 乃國家之恒規。 頃者賊臣李施愛, 裒兇鞠頑, 興兵拒命, 以爾時稱禁衛之雄, 選預偏裨之列。 爾能奮激忠肝, 挺突賊壘, 詗知餉道, 歷冒艱危, 用壯貔貅之氣, 卒殲豺虎之群。 爾績旣懋, 予心是嘉。 肆策爾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圖形銘鼎, 用答爪牙之勞; 礪山帶河, 永期苗裔之保。

敎精忠出氣敵愾功臣建功將軍虎賁衛大護軍孟石欽:

王若曰: 敵愾効忠, 臣子之大節; 策功行賞, 國家之通規。 稽古盡然, 在今可廢? 惟爾智略出衆, 才勇兼人。 頃者賊臣李施愛, 辜負國恩, 嘯聚兇黨, 賊殺將宰, 竊據一方。 及大兵臨境, 尙欲蜋臂圖拒, 跋扈極矣。 爾爲鎭北將軍康純幕士, 能挺身摩壘, 衝冒矢石, 遂殲兇醜, 亟奏膚功。 惟爾之績, 予何敢忘? 肆策爾云云, 至可領也。 於戲! 疏封錫爵, 用答殊勳; 礪山帶河, 益殫素節。

敎精忠敵愾功臣顯祿大夫永順君 溥:

王若曰: 竭誠敵所愾, 旣建非常之勳; 旌能報厥功, 宜加不貲之賞。 載稽往牒, 式遵彝規。 惟爾分氣華萼, 鍾秀猗蘭, 性資渾厚, 智識精通。 非苦心思, 能窮六籍之奧; 不勞指授, 博兼百藝之能。 頃臨軒而策士, 廼擢科而蜚英, 足驗日就之功, 亦由天資之美。 嘗承聖考之遺囑, 特與中宮而眷憐, 允爲肺腑之英, 恒代喉舌之任。 屬玆孼芽之輩, 敢逞不軌之謀, 猰㺄跋扈於潢池, 梟獍聯翩於邊鎭。 實同神人之憤, 方軫宵旰之憂。 汝獨左右周旋, 出納謀議, 下授妙算, 上達戎情。 動合幾宜, 遂致克捷, 鞏邦家盤石之祚, 副朝野維城之望。 載念汝勳, 敢稽予賞? 肆策爾爲敵愾三等功臣, 宥及永世。 仍賜奴婢八口、田八十結、銀一十兩、衣一襲、內廐馬一匹, 至可領也。 於戲! 功懋賞德懋官, 庸擧策勳之典; 河如帶山如礪, 益輸篤弼之誠。

敎推忠佐翼敵愾功臣崇祿大夫議政府右贊成西原君 韓繼美:

王若曰: 有間世之才者, 能建非常之功; 建非常之功者, 當享稀世之報。 宜加寵典, 用答殊勳。 若稽古章, 咸率是道。 比者賊臣李施愛, 歷稔藏兇, 植黨騁狡, 扇浮言而鼓群疑, 拘使命而殺將宰, 恣其蠆毒, 速我天誅。 卿本屬葭聯, 更勵筠操。 以平安大將, 聞諭命卽行, 誓忘軀而殄讎, 期畢命而報國。 提一方銳卒, 遽扼腹背之形, 激三軍精忠, 用成掎角之勢。 各皷乃勇, 直擣其鋒, 破竹莫兪於發機, 拉朽盡殲其跋扈。 旋聞凱音, 可稽論賞? 肆策卿爲敵愾三等功臣, 爵其父母及妻, 宥及永世。 仍賜奴婢八口、田八十結、銀一十兩、衣一襲、內廐馬一匹, 至可領也。 於戲! 旣翊戴于寡躬, 業傳彝器; 復削平于兇醜, 勳襲太常。 休焉共貞, 勖歲一節。

敎精忠敵愾功臣中義大夫咸吉南道兵馬水軍節度使栗元君 徖:

王若曰: 氣分龍種, 實毓秀於猗蘭; 藝售虎韜, 克收功於破竹。 宜膺異數, 用諧僉言。 惟爾性度端方, 智識通達。 兼無挾貴之習, 恒有愼行之心。 早說《禮》而敦《詩》, 常業武而多技。 頃者賊臣李施愛謀反, 興兵跋扈, 屬聞鼙皷而思將, 盍疇肺腑而求才? 遂受命而啓行, 能出奇而制勝, 俄獲大首, 用奏捷音, 數旬之間, 一方以靖。 屬膚功之旣奏, 奚寵命之可稽? 肆策爾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銘功鍾鼎, 豈一時之私恩; 垂裕箕裘, 庶萬葉而永享。

敎精忠敵愾功臣資憲大夫行黃海道兵馬水軍節度使楡城君 宣炯:

王若曰: 忘身徇國, 臣子之至忠; 策命旌功, 國家之彝典。 惟卿性資英特, 識度恢弘。 藝超豪雄之群, 識達古今之變。 夙膺邊閫之寄, 每樹良翰之聲, 隱然國倚長城, 偉哉世稱大樹。 屬玆賊竪李施愛, 敢逞兇謀, 跳梁潢池, 殺害將宰, 罪盈惡稔, 神怒人憤。 卿以黃海道觀察使, 提本道之兵, 肅將天威, 克迪果毅, 盪平兇醜, 旋啓捷音。 予懋乃績, 曰篤不忘。 肆策卿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疏封錫爵, 用答爪牙之勞; 鐵券丹書, 永保山河之誓。

敎精忠敵愾功臣正憲大夫行中樞府同知事驪山君 閔發:

王若曰: 宣力敵愾, 克成廓淸之功; 旌勳奬忠, 盍擧褒崇之典? 匪示私惠, 實遵恒規。 惟卿膂力雄强, 氣岸倜儻。 昔在潛邸, 夙著爪牙之功; 逮至膺圖, 久勞宿衛之列。 夙夜惟勤, 眷愛冞加。 頃者賊臣李施愛, 陰蓄凶謀, 肆行賊殺, 遂擁兵衆, 敢拒官兵。 肆命龜城君 浚討之, 卿爲裨將, 乃能憤罪惡之滔天, 誓盪平於不日, 挺身奮勇, 突陣決圍, 遂使群兇倒戈, 元惡授首。 卿功滋大, 予心益嘉。 肆策卿爲云云, 至可領也。 嗚呼! 竭肱〔股〕 奔走之忠, 旣與同於休戚; 念山河帶礪之誓, 益當堅於始終。

(股)敎精忠敵愾功臣資憲大夫行中樞府僉知事兼五衛將寶山君 吳子慶:

王若曰: 攄忠戮力, 克成敵愾之勳; 旌英奬能, 宜崇報功之典。 從古若是, 在今何疑? 惟卿器宇宏深, 風儀偉碩。 才堪萬人之敵, 勇居三軍之先。 旣荷倚重之深, 益勤宿衛之任。 屬者賊臣李施愛, 包藏禍心, 賊害將宰, 肆猘犬吠主之毒, 逞悍梟攫母之謀。 罪惡貫盈, 神人共憤。 命爲裨將, 委以折衝, 卿能奮發忠義, 赤心報國。 督勵士卒, 獨當一隅, 畢熸群醜, 克淸大憝。 予嘉乃績, 曰篤不忘。 肆策卿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摧鋒衂銳, 旣成電掃之功; 礪山帶河, 永保歲寒之節。

敎精忠敵愾功臣嘉善大夫隋城君兼五衛將崔有臨:

王若曰: 忘身絢國, 旣建不世之勳; 崇德報功, 宜擧非常之典。 若稽古昔, 厥有成規。 頃者逆賊李施愛, 扇惑齊氓, 嘯聚兇黨, 竊據邊鎭, 盜弄兵戈。 惡已稔於貫盈, 罪不容於覆載, 爰興一怒之旅, 期致群醜之殲。 惟卿奮不顧身, 爭先赴敵, 出入險危, 衝冒矢石, 元兇授首, 萬姓安生。 念玆戎功, 敢忘褒奬? 肆策卿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太山黃河, 誓毋忘於帶礪; 丹書、鐵卷, 期永傳於子孫。

敎精忠敵愾功臣資憲大夫行忠武衛上護軍丹城君 禹貢:

王若曰: 伐叛討逆, 旣立非常之勳; 旌能報功, 宜加不貲之賞。 惟卿素履淸忠, 夙業書劍。 才堪萬人之敵, 氣超百夫之雄。 爲州而遺愛存, 歷任而成績著。 頃者逆賊李施愛, 敢逞不臣, 擧兵莫遏。 卿能身先士卒, 衝冒矢石, 一戰多捷, 遂殲賊徒。 予嘉乃績, 曰篤不忘。 肆策卿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爪牙心腹, 旣一體而相須; 帶礪山河, 誓萬世而共保。

敎精忠敵愾功臣嘉靖大夫行忠武衛上護軍兼五衛將漆山君 鄭種:

王若曰: 盡忠戡難, 旣樹不世之勳; 崇德報功, 盍擧非常之典? 若稽往牒, 自有彝章。 頃者逆賊李施愛, 敢逞兇謀, 殺害將宰, 興兵敢拒, 兇焰滋熾。 予命將討之, 卿能奮不顧身, 衝冒矢石, 出奇制勝, 遂使賊徒瓦解, 元兇授首。 功旣懋焉, 賞何稽也云云。 於戲! 名垂竹帛, 已膺晉錫之寵章; 誓指山河, 庶保咸休於永世。

敎精忠敵愾功臣嘉善大夫行虎賁衛大護軍豐城君 鄭俊:

王若曰: 折衝禦侮, 克成敵愾之勳; 崇德報功, 式擧懋賞之典。 匪予私惠, 自古通規。 惟卿早躋武職, 宿衛寡躬, 及分邊鎭之符, 屢報戎虜之捷, 予嘗倚重焉。 頃者賊臣李施愛, 潛蓄逆謀, 肆行賊殺, 遂擁兵衆, 敢抗官軍, 罪惡旣已滔天, 殄滅須當克日。 予命龜城君 浚討之, 卿爲偏裨, 能承節度, 先士卒而直進, 冒矢石而力攻。 遂使賊徒, 倒戈而自糜, 元兇破竹而盡殪。 膚功旣奏, 旌賞奚遲? 肆策卿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功多厚賞, 用示非常之恩; 歲寒後凋, 益勵不貳之操。

敎精忠敵愾功臣忠毅校尉行虎賁衛中部司直李陽生:

王若曰: 敵愾効忠, 克建非常之績; 紀功行賞, 宜加莫大之恩。 自古皆然, 匪今伊始。 惟爾勇敢超衆, 才力過人。 嘗器使於衛從, 擬試可於緩急。 頃者賊臣李施愛, 辜恩負紀, 潛蓄不軌之謀, 植黨興兵, 益張敢拒之勢。 乃命龜城君 浚, 亟致天誅, 爾乃奮膽從征, 捐生詗敵, 擒元兇而底定, 飛捷報而獻功。 肆策爾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有功當賞, 予旣待汝以非常; 舍命不渝, 汝益弼予而勿替。

敎精忠敵愾功臣追贈嘉靖大夫兵曹參判延川君 車云革:

王若曰: 敵愾抗節, 能無變於險夷; 崇德報功, 豈有間於存沒? 揆義則然, 匪私是徇。 惟爾秉心忠直, 氣力過人, 擢自行伍, 任兼司僕, 以驍勇聞。 日者賊臣李施愛, 與其弟施合, 謀不軌, 竊據一方, 擧兵炰烋, 兇焰方熾。 爾乃不勝忠憤, 請纓經走, 單身入賊陣中, 陰曉親士, 遂擒施合, 方欲檻送, 顧力不敵, 路被施合黨所執。 置重獄中, 及其敗走, 斧腦蓋殺之。 爾之於賊, 誓殄殲乃已, 故賊之報爾, 極慘酷至此。 噫! 未伸三捷之壯志, 而反爲三木之冤魂, 怒賊之目, 死猶不暝矣。 賊今授首, 汝必快心。 予愍汝志, 汝知予心。 褒賞之典, 在所當先。 肆策爾爲云云, 至可領也。 於戲! 忠魂壯魄, 想英靈之猶存; 遺蔭流芳, 庶苗裔之爰及。

功臣等跪受敎書。 召等進前賜酒。 開國功臣趙仁沃之子最老, 特賜酒, 令宦官扶下。 賜御卓於敵愾功臣, 召有沼等, 與語良久。 命孝寧大君 (補)〔補〕 進酒, 上下榻受飮, 極歡乃罷。



인정전(仁政殿)에 나아가서 공신연(功臣宴)을 베푸니, 세자(世子)가 술을 올렸다. 적개 공신(敵愾功臣) 귀성군(龜城君) 이준(李浚) 등이 치사(致詞)하기를,

"이제 천재일우(千載一遇)의 운수를 만나니, 바람이 범을 따르고 구름이 용(龍)을 따릅니다. 요망한 기운이 하늘에 가득찼으나, 한 차례의 정벌로 빨리 쓸어버렸습니다. 신무(神武)를 받들어 선양(宣揚)하니, 큰 공(功)을 능히 이루었습니다. 총응(寵膺)을 내려 주시니, 수운(需雲)342) 의 은혜가 무르익습니다. 대려(帶礪)343) 를 어찌 잊겠으며, 다시 단충(丹衷)을 다하겠습니다. 신들이 절하여 머리를 숙이니, 만복(萬福)이 같을 것입니다."

하였다. 읽기를 끝마치자, 교서(敎書)를 반사(頒賜)하였다.

정충 출기 포의 적개 공신(精忠出氣布義敵愾功臣) 현록 대부(顯祿大夫) 귀성군(龜城君) 겸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 이준(李浚)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일덕 일심(一德一心)으로 유성(維城)의 중한 인망(人望)을 오랫동안 얻었고, 공(功)이 많으니 힘써 상(賞)을 주어야 하므로, 그 공을 크게 보아주는 떳떳한 의절(儀節)을 거행하는데, 사사로운 은혜를 베푸는 것이 아니라, 실로 공의(公義)에서 나오는 것이다. 생각건대 그대는 동기(同氣)의 출생으로 아들과 같이 보는 바이다. 일찍이 강보(襁褓)에 있을 때 갑자기 질병(疾病)의 침노에 걸리니, 친히 조호(調護)를 더하여 도리어 평전(平痊)344) 의 효험을 얻었도다. 더욱 긍휼(矜恤)을 돈독히 하여, 항상 나의 좌우에 있게 하였도다. 나이는 비록 어리지만 기국(器局)은 스스로 노성(老成)하였도다. 생각건대 마음가짐을 충성스럽고 곧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밤낮으로 오로지 공경하는도다. 또한 일을 처리하는데 정통(精通)하고 주선하는데 모두 합당하도다. 일찍이 준량(俊良)을 등용하는 시험에 뽑히니, 더욱 권애(眷愛)를 깊이 하였도다. 진실로 내가 위임하던 날이 곧 그대의 충절(忠節)을 다할 때였도다.

지난번에 적신(賊臣) 이시애(李施愛)가 몰래 이모(異謀)를 품고 널리 간당(姦黨)을 심고서, 와언(訛言)으로 선동하여 여러 사람의 들음을 의혹스럽게 하였다. 조정의 사신[使命]을 구속하고 조정의 관리[朝差]를 죽였으며, 유서(諭書)를 멸시하여 버리고 관작(官爵)을 가짜로 임명하였도다. 망령스레 교토(狡兎)의 굴혈(窟穴)을 믿고 황지(潢池)의 군사를 도적질하여 농락하였도다. 신(神)이 이미 분노하여서 이미 음주(陰誅)하려는 마음이 간절하고, 군중들도 또한 노(怒)하였으므로, 오히려 천토(天討)를 늦추었던 것이다. 이에 내가 진노(震怒)하여 그대에게 명하여 함길도(咸吉道)·평안도(平安道)·황해도(黃海道)·강원도(江原道)의 4도 병마 도총사(四道兵馬都摠使)로 삼아 가서 정벌(征伐)하게 하였도다. 추곡(推轂)345) 에 응하던 처음부터 이미 절충(折衝)의 계책을 수립하고, 모든 장수들을 거느리고 격려하니, 사람들은 적개(敵愾)의 충성을 분발하였고, 삼군(三軍)을 지휘하니, 군사들은 원수(怨讎)를 진멸(殄滅)할 뜻에 협조하였도다. 기각(掎角)의 전술을 측량할 수 없게 이루었고, 기정(奇正)의 병법을 무궁하게 변화하니, 빠르기가 바람과 같았고 느리기가 숲과 같았고, 군사를 하늘에 감추고 땅에 숨기었도다. 예봉(銳鋒)이 맞닿고 칼날을 부딪치자 예봉이 무너지고 굳은 칼날이 꺾기었고, 북 소리 한 번에 뇌정(雷霆)이 진동하고 깃발[麾]을 두 번 흔드니, 산악(山岳)이 동요(動搖)하였도다. 군흉(群兇)들이 이리처럼 도망치니, 쌓인 달걀이 무너지듯 할 뿐만 아니라, 적의 괴수가 쥐처럼 도망치다가 마침내 쇠도끼에 복주(伏誅)되었도다. 일찍이 협순(浹旬)346) 도 되지 못하여 갑자기 이미 첩보(捷報)를 바치도다. 한쪽 지방이 옛날과 같이 안도(按堵)하고 만백성들이 고무(鼓舞)하여 고루 즐거워하도다. 그대의 군공(軍功)을 생각하여, 우리 왕실에서 봉작(封爵)을 주고 총명(寵命)을 주는 데 있어서 어찌 오로지 친친(親親)347) 의 은혜를 펴는 것뿐이겠는가? 덕(德)을 높이고 공(功)을 갚은 것은 또한 현현(賢賢)348) 의 의리를 표창하는 것이로다. 이에 그대를 적개 일등 공신(敵愾一等功臣)으로 책훈(策勳)하고, 유사(宥赦)가 영세(永世)에 미치게 한다. 인하여 노비(奴婢) 13구(口), 전지(田地) 1백 50결(結), 은(銀) 50냥(兩), 의복 1습(襲), 안장 갖춘 내구마(內廐馬) 1필을 주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해를 가히 꿰이고 하늘을 가히 고이듯이 더욱 큰 도모(圖謀)를 반석과 같이 굳게 할 것이며, 태산(泰山)이 숫돌[礪]같이 되고 황하(黃河)가 띠[帶]같이 되도록 아름다움과 짝하기를 구름이 떼지어 모이듯이 많이 누리기 바란다."

하였다. 추충 좌익 출기 포의 적개 공신(推忠佐翼出氣布義敵愾功臣) 대광 보국 숭록 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 좌의정(議政府左議政) 겸 춘추관 감사(春秋館監事) 세자 시강원 부(世子侍講院傅) 창녕군(昌寧君) 조석문(曹錫文)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묘당(廟堂)에서 우모(紆謨)349) 하니, 이미 고굉(股肱)의 높은 위임(委任)에 알맞았고 준조(樽俎)350) 에서 결승(決勝)하니 또 간성(干城)의 중한 인망(人望)에 부응(副應)하였도다. 스스로 문무(文武)의 온전한 재주가 있지 않다고 하는데, 어찌 능히 장상(將相)의 위대한 공적을 겸하겠는가? 마땅히 포상(褒賞)을 더하여 이에 호웅(豪雄)을 나타내야 하겠다. 경은 성품과 자질이 단아(端雅)하고 방정(方正)하며 지식과 도량이 영매(英邁)하였도다. 일찍이 화요(華要)의 벼슬을 거쳤으니, 성명(聲名)이 이미 사람들의 소문에 족하였고, 바위처럼 우뚝이 사람들이 함께 보는 자리에 뽑아 두니, 경국 제세(經國濟世)를 스스로 자기 임무로 삼았도다. 일전에 역적의 무리들이 흉모(兇謀)를 꾸미니, 어리석은 백성들이 잘못 미혹(迷惑)되어 간계(姦計)를 꾸며 백성들을 속이고 마침내 병란(兵亂)을 얽어서 부엉이처럼 날개을 폈도다. 그 죄는 천지(天地)에 용납하지 못할 정도로 찼고, 그 악(惡)은 신인(神人)이 함께 분개할 정도로 많았다. 이에 내가 혁연(赫然)히 노(怒)하여 장수에게 명하여 토벌 평정하게 하였도다. 부월(鈇鉞)을 주어 제단(祭壇)에 오르게 하니, 이미 진공(晉公)의 지휘에 부끄러움이 없고, 유악(帷幄)에 들어가 주책(籌策)을 수립하니, 반드시 장자방(張子房)351) 의 조용한 계책에 힘입는 듯하였다. 이에 경(卿)에게 명하여 함길도·평안도·황해도·강원도의 4도 병마 도총 부사(四道兵馬都摠副使)를 삼으니, 경이 능히 기정(奇正)의 모계(謀計)를 잘 협찬하여 스라소니와 이리의 소굴을 다 소탕하였도다. 어찌 다만 한 지방만이 평정되었을 뿐이겠는가? 또한 사방의 경계가 같이 즐거워하는도다. 공이 많으면 후하게 상을 주는 것은 옛날부터 이루어진 법규이다. 하물며 경은 이미 좌익(佐翼)의 공훈에 참여하였으니, 오직 나는 마땅히 포상(褒賞)의 법전(法典)을 힘써야 하겠다. 이에 경을 적개 1등 공신(敵愾一等功臣)으로 책훈(策勳)하여 그 부모와 처(妻)에게까지 벼슬을 주고, 유사(宥赦)가 영세토록 미치게 한다. 인하여 노비 13구(口), 전지(田地) 1백 50결(結), 은(銀) 50냥(兩), 옷 1습(襲), 안장을 갖춘 내구마(內廐馬) 1필(匹)을 내려 주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나가서는 장수가 되고 들어와서는 재상이 되어 이미 세상에 없는 높은 공을 세웠으니, 태산(泰山)이 숫돌되며 황하(黃河)가 띠가 되도록 길이 무궁한 영문(令聞)352) 을 안보하라."

하였다. 정충 출기 포의 적개 공신(精忠出氣布義敵愾功臣) 대광 보국 숭록 대부(大匡輔國崇錄大夫) 의정부 우의정(議政府右議政) 강순(康純)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적개 절충(敵愾折衝)하여 이미 막대한 공적(功績)을 세웠으니, 책훈(策勳)하고 상을 행하는 데 마땅히 적지 않은 은혜를 더해야 한다. 이것이 어찌 나의 사정(私情)이겠는가? 스스로 옛 전례(典禮)가 있다. 생각건대 경은 마음 가짐이 순직(醇直)하고 기우(器宇)가 넓도다. 척당(倜儻)353) 하게 옛사람의 풍토(風土)를 사모하고 웅심(雄深)하게 대장부(大丈夫)의 방략(方略)이 있도다. 문슬(捫蝨)354) 하는 뜻이 장하니, 국가의 일에 응하여 참되고 다른 생각이 없었고, 소를 엿볼 정도로 기운이 장하니, 유악(帷幄)에 처하여 크게 여유가 있도다. 이에 곤기(閫寄)355) 의 책임을 매양 맡기면 저절로 조두(刁斗)356) 의 소리가 끊어지는도다. 국운(國運)의 길이 평강(平康)함을 이루니, 더욱 간우(干羽)357) 의 교화가 흡족하도다. 근래 역신(逆臣) 이시애(李施愛)가 몰래 다른 뜻을 품고 흉도(兇徒)들을 불러모아서, 난(亂)을 선동하여 군사를 일으켜 흉한 짓을 다하고 악(惡)한 짓이 지극하였도다. 신인(神人)이 함께 분노하니, 천지(天地) 사이에 용납되지 못하였도다. 한 번 노(怒)한 위엄(威嚴)을 떨치고자 하였으나, 누가 삼군(三軍)의 명(命)을 맡을까 하여 군중(群衆)에게 물었더니, 경보다 나은 사람이 없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경에게 명하여 진북 장군(鎭北將軍)으로 삼아 토벌하려고 하였도다. 이미 제단(祭壇)에 올라서 집을 잊고 말가죽에 싸여서 죽더라도 나라에 보답할 것을 맹세하였도다. 경이 북방을 진정(鎭定)한 지가 항상 오래 되었기 때문에 백성들이 마음으로 신복(信服)한 지가 본래 깊었도다. 군사들이 모두 즐겨 써서 먼저 오르니, 적이 이에 싸우지 않고 스스로 쓰러졌도다. 흉도(兇徒)가 넋을 잃었고 큰 괴수가 머리를 바쳤도다. 요기(妖氣)를 천리 땅에서 빨리 쓸어버리니, 경하(慶賀)하는 칭송(稱頌)이 사방에서 서로 들끊는도다. 비록 옛날의 군사를 잘 쓰는 장수라도 진실로 군사와 나란히 말을 몰았던 사람은 없었을 것이다. 금세(今世)의 공(功)을 세운 무신(武臣)들도 그 누가 그대 위에 거(居)할 자가 있겠는가? 어찌 성대한 상(賞)을 더하여 그 특수한 공훈을 보답하지 않겠는가? 이에 경을 책훈(策勳)하여……한다. 아아! 나라의 주석(柱石)이 되어 이미 장수와 재상에 겸하여 이바지하였으니, 산하(山河)가 대려(帶礪)가 되기까지 시종(始終) 아름다움과 짝하기를 바란다."

하였다. 정충 출기 포의 적개 공신(精忠出氣布義敵愾功臣) 정헌 대부(正憲大夫) 공조 판서(工曹判書) 예성군(蘂城君) 어유소(魚有沼)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적개(敵愾)하여 충성을 다하는 것은 오직 신자(臣子)의 위대한 공적(功績)이요, 공(功)에 보답하여 상(賞)을 행하는 것은 곧 국가의 아름다운 법규이로다. 경은 기품이 영호(英豪)하고 조행(操行)은 청렴(淸廉)하고 삼가도다. 호방(虎牓)358) 에 첫째로 뽑혔고 재주가 우림(羽林)의 우두머리였도다. 나가서 변영(邊營)을 진압하니, 사람들이 장성(長城)의 기국(器局)에 비기고, 들어와서 병무(兵務)를 맡으니, 뭇사람들이 큰 나무의 재목에 복종하는도다. 무릇 역임(歷任)한 바가 자못 성적(聲績)이 있었도다. 지난번에 역신(逆臣) 이시애(李施愛)가 감히 불궤(不軌)를 도모하여 마음대로 적살(賊殺)을 행하였도다. 드디어 군중(群衆)을 모으고 거병(擧兵)하여 크게 조량(跳梁)을 자행(恣行)하였도다. 내가 이에 혁연(赫然)히 노(怒)하여 귀성군(龜城君) 이준(李浚)에게 명하여 여러 장수를 거느리고 토벌(討伐)하게 하니, 경이 곧 분연(奮然)히 몸을 돌아보지 않고 친히 시석(矢石)을 무릅썼도다. 정예(精銳)를 다하여 나아가 치니, 드디어 전도(前徒)로 하여금 창을 거꾸로 잡게 하여 원흉(元兇)의 머리를 바치게 하였도다. 불일(不日) 사이에 감정(戡定)하고 개선(凱旋)하는데, 영웅(英雄)의 응양(鷹揚)359) 에 힘입지 않는다면 어찌 신속(神速)한 탕평(盪平)을 이루었겠는가? 이에 기공(奇功)의 많음을 생각하여, 마땅히 후한 보수(報酬)의 상(賞)을 더해야 한다. 이에 경을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단서(丹書)로써 맹세하고, 이미 누구의 공(功)에 보답하는 전례(典禮)를 거행하였으니, 그대의 소절(素節)에 힘써서 더욱 독비(篤棐)360) 의 정성으로 보답하라."

하였다. 정충 출기 포의 적개 공신(精忠出氣布義敵愾功臣) 정헌 대부(正憲大夫) 병조 판서(兵曹判書) 평양군(平陽君) 박중선(朴仲善)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나라에 흉얼(兇孼)이 있으면 이기(利器)361) 로 이에 능히 삼제(芟除)할 수 있는데, 신하가 큰 공적을 아뢰면 총명(寵命)은 마땅히 정상(旌賞)을 더하여야 하는 것은 금세(今世)에 비롯된 일이 아니고 옛날부터 그러한 일이로다. 근래 적신(賊臣) 이시애(李施愛)가 몰래 이모(異謀)를 품고 삭방(朔方)의 땅을 도적질하여 점거하고 궤언(詭言)으로써 의혹을 선동하여 변장(邊將)과 수령(守令)을 교살(矯殺)하였도다. 드디어 군사를 일으켜 반역하니, 예로부터 난적(亂敵)이 이보다 심한 것이 없었다. 생각건대 경(卿)은 평양(平陽)362) 의 공훈이 있는 집 후손이요, 또 척완(戚畹)과 연결되도다. 배나 충분(忠憤)을 일으키니, 이에 명하여 평로 장군(平虜將軍)으로 삼아 황해도(黃海道)의 군사를 거느리고 전쟁에 나가게 하였다. 경이 능히 더욱 의용(義勇)을 분발하여 홀로 하나의 군대를 담당하고 성루(城壘)를 뭉개고 굳은 예봉(銳鋒)을 꺾어서 요얼(妖孼)을 소탕하였다. 이에 신인(神人)의 분노를 씻었으니, 공(功)을 갚는 은전(恩典)을 내가 어찌 감히 뒤에 하겠는가? 이에 경을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정성을 다하여 적개(敵愾)한 것이 이미 선인(先人)의 공훈에 떨어지지 않고 휴척(休戚)을 함께 하였으니, 거의 후손에게까지 태산(太山)이 숫돌[礪]이 되고, 황하(黃河)가 띠[帶]가 되도록 맹세를 어기지 말기를 바란다."

하였다. 정충 출기 포의 적개 공신(精忠出氣布義敵愾功臣) 숭정 대부(崇政大夫) 함길북도 병마 수군 절도사(咸吉北道兵馬水軍節度使) 양천군(陽川君) 허종(許琮)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충성을 바쳐 적개(敵愾)하는 것은 어질고 호걸(豪傑)스런 이가 아니면 누가 능히 하겠는가? 상(賞)을 논하여 공(功)을 갚는 것은 공의(公義)에 있어서 마땅히 급히 해야 할 일이다. 생각건대 경은 기국(器局)이 호일(豪逸)하고 마음가짐이 개통(開通)하였도다. 어려서는 시서(詩書)를 닦았고, 장성해서는 궁마(弓馬)를 겸(兼)하였도다. 일찍이 경세(經世)의 재주를 쌓아서 항상 보국(輔國)의 충성(忠誠)을 품었도다. 지난번에 적신(賊臣) 이시애(李施愛)가 역적을 도모하여 난(亂)을 얽고 군사를 일으켜 죄악(罪惡)이 많았다. 죄가 실로 하늘에 가득하여 차고 넘치니, 군중(群衆)이 날짜를 정하여 진멸(殄滅)하기를 원하였다. 내가 곧 장수(將帥)에게 명하여 정벌하게 하고, 경을 기복(起復)하여 함길도 절도사(咸吉道節度使)로 삼았다. 경이 능히 모계(謀計)에 협찬(協贊)하여 힘을 함께 하니, 드디어 큰 괴수(魁首)를 사로잡아 그 머리[首]를 전(傳)하고 첩보(捷報)를 아뢰었다. 크게 신인(神人)의 분노를 씻었고 능히 변경의 편안함을 이르게 하였으니, 경의 공훈의 특수함을 내가 가상히 여겨서, ‘돈독(敦篤)하다.’고 하였다. 이에 경(卿)을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영수(領受)할지이다. 아아! 효광(梟獷)363) 을 평정하여 공적이 이미 많으니, 옛 일을 상고하여 산하(山河)에 맹세하고 기란각(麒麟閣)364) 에 올려 은총(恩寵)도 또한 융성하니, 처음 먹은 마음을 보전하여서 후손에게까지 미치게 하라."

하였다. 정충 포의 적개 공신(精忠布義敵愾功臣) 정헌 대부(正憲大夫) 우참찬(右參贊) 파평군(坡平君) 윤필상(尹弼商)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덕(德)이 많으면 힘써 벼슬을 주고, 공(功)이 많으면 힘써 상을 주는데, 이것은 고금(古今)에 공통된 의리이요, 국가의 아름다운 법전(法典)이다. 생각건대 경은 품성(稟性)이 단아(端雅)하고 처사(處事)를 정밀(精密)하고 자세하게 하도다. 두루 모든 책임을 맡아보았으나, 시행하는데 불가(不可)함이 없었다. 내가 심히 기국(器局)으로 여겨서 후설(喉舌)365) 의 우두머리로 삼았는데, 경이 능히 계옥(啓沃)366) 하여 헌체(獻替)367) 하고 출납(出納)하기를 오로지 진실되게 하였으니, 가히 선철(先哲)들에 부끄러움이 없는 자라 하겠다. 지난번에 역신(逆臣) 이시애(李施愛)가 화심(禍心)을 품고서 주진(州鎭)의 장수(將帥)와 수령(守令)을 살해하고 변방의 군사를 도둑질해서 농락하여 감히 천주(天誅)에 간범(干犯)하니, 나의 북방을 돌아보는 근심을 일으키게 하였다. 이때에 홀로 금악(禁幄)에 있으면서 비밀히 주책(籌策)을 협찬(協贊)하여, 드디어 군흉(群兇)으로 하여금 기염(氣焰)을 꺾게 하여 원악(元惡)의 머리를 바치게 하였다. 반드시 굳은 갑옷을 입고 예리한 칼을 잡고, 말에 땀을 흐르게 하고 교활한 토끼를 죽이는 것만을 공(功)으로 삼는 것이 아니다. 그대의 공훈과 그대의 업적은 논(論)하면 제일등이라 하겠다. 경을 책훈(策勳)하여……한다. 아아! 황하(黃河)와 태산(泰山)에 맹세코 금일을 잊지 말 것이며, 단서 철권(丹書鐵券)368) 을 길이 후손에게 전하기를 기약하라."

하였다. 정충 출기 포의 적개 공신(精忠出氣布義敵愾功臣) 자헌 대부(資憲大夫) 행 경원 도호부사(行慶源都護府使) 경원진 병마 첨절제사(慶源鎭兵馬僉節制使) 오림군(烏林君) 김교(金嶠)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신하는 정성을 다하여 외적을 방어고, 제왕(帝王)은 덕(德)을 숭상하고 공(功)을 갚는데, 이것은 국가의 떳떳한 법이요, 고금(古今)에 공통된 의리이다. 생각건대 경은 지기(志氣)가 영매(英邁)하고 재예(才藝)가 효웅(驍雄)하였다. 내가 잠저(潛邸)에 있을 때부터 좌우(左右)에서 노고(勞苦)를 하였으므로 내가 심히 기국(器局)으로 여겼고, 내가 즉위(卽位)함에 미쳐서 백리(百里)의 곤기(閫奇)369) 를 맡겼더니, 성문(聲聞)과 치적(治績)이 성하므로 내가 더욱 중히 여긴다. 전번에 적신(賊臣) 이시애(李施愛)가 반역을 도모하여 장수(將帥)와 수령(守令)을 죽이고 조정 사신[使命]을 구류하고 병란(兵亂)을 일으켜 발호(跋扈)하니 죄가 하늘에 가득찼다. 내가 귀성군(龜城君) 이준(李浚)에 명하여 여러 장수를 거느리고 주멸(誅滅)하게 하니, 경이 편비(偏裨)가 되어 만사(萬死)를 떨치고 삼군(三軍)에 앞장서서 기특한 계책을 내어 그 예봉(銳鋒)을 꺾었다. 드디어 승리를 틈타서 크게 이기었다. 군사를 출동한 지 얼마 되지 않아서 원흉(元兇)이 머리를 바치고 삭방(朔方)이 모두 평정되었다. 그 공이 심히 성대하니, 내가 어찌 잊겠는가? 이에 경을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산하(山河)를 가리켜 맹세하여, 이미 썩지 않게 유방(流芳)을 할 것이며, 그 업(業)을 후손에게까지 전하여 무궁하도록 그 아름다움과 짝하기를 바란다."

하였다. 정충 출기 포의 적개 공신(精忠出氣布義敵愾功臣) 자헌 대부(資憲大夫) 공조 판서(工曹判書) 겸 오위도총부 도총관(兼五衛都摠府都摠管) 의산군(宜山君) 남이(南怡)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적(賊)을 토벌하고 적개(敵愾)하는데 반드시 훌륭한 장수의 재주에 힘입는 것이다. 충성을 정표(旌表)하여 책훈(策勳)하는데 마땅히 성대한 상(賞)을 주는 전례(典禮)를 거행해야 하는데, 이것은 공의(公義)에서 나오는 것이요, 사사로운 은혜를 따르는 것이 아니다. 생각건대 경은 지식이 육도(六韜)를 갖추었고 기운이 만인의 무리를 제압하였다. 어려서부터 효건(驍健)한 재예(才藝)를 자부(自負)하였고, 일찍이 금위(禁衛)의 행렬에 끼였었다. 전번에 적신(賊臣) 이시애(李施愛)가 역적(逆賊)의 모계(謀計)를 부려서 간사하게 속이고 흉악한 기염(氣焰)을 선동하여 부엉이가 날개를 벌리듯이 하였다. 곧 원융(元戎)370) 에게 명하여 가서 천토(天討)를 이루게 하였다. 경으로 하여금 따라가서 병졸(兵卒)에 앞장서서 바로 나가게 하니, 오직 진군(進軍)하여 죽는 것이 영화(榮華)인 것을 알고 항상 전장(戰帳)에 나가는 것이 남에게 뒤질까 두려워하였다. 소매를 걷어 올리며 남 먼저 오르는 용기를 떨치고 몸을 빼쳐서 홀로 당하려는 마음을 일으켰다. 친히 시석(矢石)의 교차(交叉)되는 것을 무릅쓰고 시호(豺虎)의 소굴을 바로 쳤도다. 흉도(兇徒)를 세 화살로 죽였고 요기(妖氣)를 한번 호령하는 사이에 쓸어버렸다. 공(功)을 갚으려 하니, 마땅히 총명(寵命)을 더하여야 하겠다. 이에 경을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할지어다. 아아! 황하(黃河)가 띠[帶]와 같이 되고 태산(泰山)이 숫돌[礪]같이 되도록 금일의 아름다움을 잊을 수가 있겠는가? 가물 때는 장마가 되고 내[川]에는 배[舟]가 되어, 더욱 뒷날 공효(功効)에 힘쓰기를 바란다."

하였다. 정충 출기 포의 적개 공신(精忠出氣布義敵愾功臣) 가정 대부(嘉靖大夫) 이조 참판(吏曹參判) 연안군(延安君) 이숙기(李淑琦)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신자(臣子)의 충성은 적개(敵愾)보다 큰 것이 없고, 인군(人君)의 도리는 마땅히 공(功)을 상(賞)주기에 급해야 한다. 생각건대 경은 강의(强毅)하여 무리와 더불지 아니하고 단방(端方)하여 지키는 바가 있었다. 천리(千里)를 절충(折衝)할 재주를 자부(自負)하였고, 백가(百家)에 적용할 학문(學問)을 품었다. 일찍이 호방(虎榜)에 이름이 올랐고 여러 차례 어부(魚符)371) 를 나누어 차니, 위엄(威嚴)과 은혜(恩惠)가 아울러 행하여져서 성적(聲績)이 성하게 나타났도다. 전번에 적신(賊臣) 이시애(李施愛)가 몰래 다른 뜻을 품고 크게 흉모(兇謀)를 부려서, 드디어 중병(衆兵)을 일으켜 스스로 천주(天誅)를 불렀다. 관군(官軍)들이 이미 싸움에 임(臨)하게 되자, 버마재비[螗螂]가 감히 수레를 막는 것과 같았다. 경이 편비(偏裨)의 장수로서 시석(矢石)의 사이에 임하여 신명(身命)을 아끼지 않고 구치(驅馳)하여, 마침내 흉추(兇醜)를 진멸(殄滅)하기에 이르렀다. 공(功)이 이미 크고 위대하니, 의리상 포상(褒賞)하여 존숭(尊崇)함이 합당하다. 이에 경을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그대의 큰 공적을 가상(嘉賞)히 여기니, 이미 산하(山河)를 가리켜 맹세하고, 나라와 더불어 모두 아름다움을 누리고 후손에게까지 길이 보전하기를 기약하라."

하였다.

정충 출기 적개 공신(精忠出氣敵愾功臣) 숭록 대부(崇祿大夫)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 겸 세자 시강원 이사(世子侍講院貳師) 병조 판서(兵曹判書)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 춘추관 지사(春秋館知事) 광산군(光山君) 김국광(金國光)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주책(籌策)을 수립하여 천리(千里) 밖의 승부를 결정하는데 반드시 명세(命世)의 호걸(豪傑)에 힘입는 바이다. 힘을 다하여 만세(萬世)의 공(功)을 세웠으니, 임금으로부터 은총(恩寵)을 마땅히 두텁게 받아야 하는데, 옛날 법을 상고하여도 실로 이것은 변함없는 법규(法規)였다. 생각건대 경은 품성(品性)이 단량(端良)하고 천자(天資)가 침중(沈重)하였다. 일찍이 과거(科擧)에 올랐고 반련(班聯)를 두고 거치었다. 지식(知識)은 옛 사람들의 큰 방략(方略)에 통달하였고, 지혜는 당세(當世)의 요무(要務)에 정통하였다. 옛적에 내가 한번 보고 불기(不器)의 재주를 얻었다고 하였더니, 뒤에 여러 차례 벼슬을 옮김에 미쳐 과연 다문(多聞)의 건의(建議)를 바쳤다. 지난번에 역신(逆臣) 이시애(李施愛)가 천험(天險)을 믿고 난(亂)을 꾀하여 당(黨)을 모아 군사를 일으키니, 누군들 이를 갈면서 마음을 태우지 아니하였겠는가? 그러므로 곧 장수에게 명하여 토벌하게 하였다. 경이 병조 판서(兵曹判書)를 겸하여 항상 나의 좌우에 있으면서 오로지 그 방략(方略)을 맡았다. 군사를 내보낸 지 얼마 아니되어 흉도(兇徒)들이 다 진멸(殄滅)되어, 첩음(捷音)을 문득 아뢰니, 사방에서 함께 즐거워한다. 힘을 바쳐 구치(驅馳)하는데 어찌 홀로 한신(韓信)만이 용맹하였겠는가? 절충(折衝)하고 담소(談笑)하는데 장자방(張子房)의 모계(謀計)보다 많았다. 이미 준위(雋偉)한 공이 있으니, 어찌 포상(褒賞)하는 은전(恩典)이 없겠는가? 이에 경을 책훈(策勳)하여 적개 2등 공신(敵愾二等功臣)을 삼고, 그 부모와 처(妻)에게 벼슬을 주고 사유(赦宥)가 영세(永世)에 미치게 한다. 인하여 노비 10구(口), 전지(田地) 1백 결(結), 은 25냥(兩), 의복 1습(襲), 내구마(內廐馬)를 내려 주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고굉(股肱)과 심려(心膂)가 이미 한 몸이 되어 서로 이바지하니, 대려(帶礪)와 산하(山河)에 만세토록 함께 복을 누리기를 기약하라."

하였다. 정충 출기 적개 공신(精忠出氣敵愾功臣) 가선 대부(嘉善大夫) 행 중추부 첨지사(行中樞府僉知事) 길성군(吉城君) 허유례(許惟禮)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정충(精忠)을 다하여 적(賊)을 사로잡아 이미 특수한 공훈을 세웠으니, 성대한 상(賞)을 베풀어 공을 정표(旌表)하고, 이에 총명(寵命)을 더하여야 하는데, 이것은 공의(公義)를 따르는 것이요, 사사로운 은혜에 따르는 것이 아니다. 생각건대 경은 풍패(豊沛)372) 의 고향에서 출계(出系)하여 금려(禁旅)에 뽑혀서 보충되었도다. 지난번에 역신(逆臣) 이시애(李施愛)가 감히 은혜를 저버리고 불궤(不軌)를 도모하여 드디어 군사를 일으키고, 관군(官軍)에 항거(抗拒)하였다. 경이 능히 의담(義膽)을 떨치고 홀몸으로 길주(吉州)에 달려가서 드디어 적(賊)을 사로잡기를 도모하였다. 이미 아비를 장차 죽을 곳에서 벗어나게 하였고, 또 나의 적개(敵愾)하는 자를 대적(對敵)하였다. 평탄하거나 험난한 때에도 한결같이 절개를 지켰고 충성과 효도를 양쪽으로 온전히 하였다. 이러한 기특한 공(功)을 생각하여 마땅히 이수(異數)를 더하여야 하겠다. 이에 경을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단서(丹書)로써 맹세하고 이미 공(功)을 보답하는 은전을 거행하였으니, 그대의 소절(素節)을 힘써 더욱 돈독한 보필(輔弼)의 정성을 바치라."

하였다. 정충 출기 적개 공신(精忠出氣敵愾功臣) 가선 대부(嘉善大夫) 행 중추부 첨지사(行中樞府僉知事) 종성군(鍾城君) 이운로(李雲露)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적(賊)을 토벌하고 적개(敵愾)하는데 이미 특수한 공을 세웠으니, 책명(策命)하여 공(功)을 정표(旌表)하고 마땅히 총전(寵典)을 더하여야 한다. 경은 멀리 변비(邊鄙)로부터 와서 조정에 시위(侍衛)한 지가 여러 해가 되었다. 근래 고향으로 돌아갔다가 드디어 반역자에게 위협당한 바가 되었지만, 그러나 마침내 능히 적(賊)을 묶어 와서 군문(軍門)에 바치니, 가히 소절(素節)의 굳음을 알겠다. 그대의 마음과 그대의 공(功)으로 오직 내가 그대를 가상히 여기어, 이에 경을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하라. 아아! 공(功)을 크게 보아서 기록하고 이미 그대의 공로를 뽑았으니, 대대로 충정(忠貞)을 돈독히 하여 나의 명(命)에 변함이 없을지어다."

하였다. 정충 출기 적개 공신(精忠出氣敵愾功臣) 가정 대부(嘉靖大夫) 행 회령 도호부사(行會寧都護府使) 회령진 병마 절제사(會寧鎭兵馬節制使) 전의군(全義君) 이덕량(李德良)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비상한 재주가 있어야 이에 능히 난(難)을 이기는 공적을 세울 수 있다. 적지 않은 상(賞)을 베푸는 것은 적개(敵愾)의 공(功)을 갚는 것이다. 생각건대 경은 재예(才藝)가 무리에서 빼어나고 기략(氣略)이 무리에서 뛰어났다. 충의(忠義)를 항상 평소(平素)에 힘썼으니, 구명(軀命)373) 을 어찌 험(險)하고 위태한 때에 아끼겠는가? 지난번에 적신(賊臣) 이시애(李施愛)가 몰래 화심(禍心)을 품고 주진(州鎭)의 장수(將帥)와 수령(守令)을 죽이고, 드디어 군사를 일으켜 돼지같이 돌격하여, 악(惡)이 이미 하늘에 가득찰 정도로 지극하였고 분(憤)이 실로 온 천하(天下)에 같았다. 내가 이에 장수에 명하여 토벌(討伐)하게 하였는데, 경이 능히 충간(忠肝)을 분격하여 사졸(士卒)에 앞장서서 시석(矢石)을 무릅쓰고 용기를 북돋우어 힘써 공격하니, 드디어 적도(賊徒)로 하여금 와해(瓦解)되게 하고, 큰 괴수(魁首)를 복주(伏誅)하게 하였다. 불일(不日)에 평정하게 된 것은 그대의 공(功)이요, 그대의 노고이니, 내가 감히 잊어버리겠는가? 이에 경을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앞뒤에서 분주(奔走)하여 이미 한마음을 다하여 충성을 바쳤으니, 대려(帶礪)와 산하(山河)에 거의 만대(萬代)를 전하도록 절개를 다하기를 바라노라."

하였다. 정충 출기 적개 공신(精忠出氣敵愾功臣) 가정 대부(嘉靖大夫) 행 호분위 상호군(行虎賁衛上護軍) 곤산군(昆山君) 배맹달(裵孟達)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비상한 변(變)을 만나야 바야흐로 초탁(超卓)하고 기이한 재주를 알게 된다. 막대한 공(功)을 세웠으니, 가히 성대한 총명(寵命)을 누려야 하는데, 이것은 옛날 명신(名臣)과 양장(良將)이 부귀(富貴)가 그 몸에서 떠나지 않고, 성명(聲名)이 후세에 남는 까닭이다. 생각건대 경은 품자(稟資)가 웅장(雄壯)하고 마음가짐이 굳고 확실하였다. 처음에 우림(羽林)에서 자취를 드러내니, 사람들이 모두 양장(良將)이라 지목하였다. 지난번에 적신(賊臣) 이시애(李施愛)가 가만히 불궤(不軌)를 도모하여, 장수와 수령을 죽이고 토군(土軍)을 단결(團結)하여, 관군(官軍)에 항거(抗拒)하여 그 발호(跋扈)가 지극하였도다. 내가 이에 장수(將帥)에게 명하여 토벌(討伐)하게 하였는데, 경(卿)이 편비(偏裨)가 되어 그대의 마음과 힘을 합하여 시석(矢石)을 무릅쓰고 드디어 파죽(破竹)의 형세를 이루어, 간흉(奸兇)의 머리[首]를 바치고, 변경(邊境)이 다시 평안해졌다. 그 공(功)이 성하니, 내가 그대를 가상히 여긴다. 이에 경을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띠[帶]가 되고 숫돌[礪]이 되도록 산하(山河)를 가리켜 잊지말 것이며, 모유(謀猷)가 있고 하는 일이 있어서 자손에게 전하여 변하지 말게 하라."

하였다. 정충 출기 적개 공신(精忠出氣敵愾功臣) 가선 대부(嘉善大夫) 행 전라도 절도부사(行全羅道節度副使) 겸 전주 부윤(兼全州府尹) 가평군(嘉平君) 이형손(李亨孫)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외적을 방어하여 난(難)을 이기는 것은 신하(臣下)된 자가 바치는 충절(忠節)이요, 책훈(策勳)하고 상(賞)을 행(行)하는 것은 나라를 가진 임금의 항규(恒規)이다. 예로부터 그러한 것이요, 금세(今世)에 비롯된 것이 아니다. 생각건대 경은 일찍이 준재(雋材)가 있어서 두 차례의 무과(武科)에 급제하였다. 특히 우림(羽林)의 호걸(豪傑)일 뿐만 아니라, 또 양리(良吏)의 명성을 나타냈다. 근래에 적신(賊臣) 이시애(李施愛)가 감히 불궤(不軌)의 음모(陰謀)를 꾸며서 장수와 수령을 죽이고, 드디어 차고 넘치는 악(惡)을 부려서 관군(官軍)에 항거(抗拒)하였다. 이에 내가 장수에게 명하여 토벌(討伐)하게 하였는데, 경이 능히 충의(忠義)를 분발하여, 몸소 사졸(士卒)에 앞장서서 험난(險難)을 피하지 않고 몸소 시석(矢石)을 무릅쓰고, 역당(逆黨)으로 하여금 파죽(破竹)의 형세에 몰리게 하고, 큰 괴수(魁首)가 복부(伏鈇)374) 하였다. 그 평정(平定)한 공(功)을 갚고 견고한 적(敵)을 꺾고 적진(敵陣)을 함락한 공효를 상주어야 한다. 이에 경을 책훈(策勳)하여서……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내가 ‘우익(羽翼)이 있다.’고 하여, 그 공이 이미 옛 사람에게 양보하지 않게 되었으니, 경은 그 산하(山河)를 가리키면서 길이 금일을 잊지 않도록 하라."

하였다. 정충 출기 적개 공신(精忠出氣敵愾功臣) 가선 대부(嘉善大夫) 행 용양위 상호군(行龍驤衛上護軍) 함성군(咸城君) 이종생(李從生)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왕(王)의 적개(敵愾)하는 자를 대적(對敵)하는 것은 신자(臣子)의 특수한 공훈이요, 사람의 공(功)이 있음을 상(賞) 주는 것은 국가의 떳떳한 법전이다. 근래에 적신(賊臣) 이시애(李施愛)가 몰래 반역의 음모(陰謀)를 꾸며 흉당(兇黨)을 불러 모아서, 장수와 수령을 모두 죽이고 크게 거만한 기세를 부렸다. 내가 장수에게 명하여 정벌(征伐)하게 하였는데, 경이 이에 몸소 사졸(士卒)에 앞장서서 견고한 적을 꺾고 적진(敵陣)을 함락시켜서, 능히 평정하기에 이르렸다. 경의 큰 공을 생각하니 어찌 정표(旌表)하여 상주기를 잊겠는가? 이에 경(卿)을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모두 아름다운 의리로 공을 크게 옛 전장(典章)에 따르니, 길이 변함없는 마음으로 후손에게 전하기를 바란다."

하였다. 정충 출기 적개 공신(精忠出氣敵愾功臣) 가선 대부(嘉善大夫) 함흥 부윤(咸興府尹) 함흥진 병마 절도사(咸興鎭兵馬節度使) 전성군(全城君) 이서장(李恕長)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곤란한 일을 당할 때 바야흐로 이기(利器)의 남다른 것을 알고 주책(籌策)을 수립하는데 반드시 좌막(佐幕)의 어진이에게 힘입는 것이다. 이미 비상한 공훈을 세웠으니 마땅히 적지 않은 은총을 더하여야 할 것이다. 생각건대 경은 재주가 많고 기예(技藝)가 많아 지키는 바가 있고 모유(謀猷)가 있었다. 일찍이 과명(科名)에 뽑혔고 번극(繁劇)한 직을 역임하였다. 내가 심히 기국(器局)으로 여겨 장차 크게 쓰기를 기약하였다. 지난번에 적신(賊臣) 이시애(李施愛)가 감히 불궤(不軌)를 도모하여 멋대로 적살(賊殺)을 행하고, 드디어 군사를 일으켜 도량(跳梁)하니 한 도(道)가 흉흉(洶洶)하였다. 내가 귀성군(龜城君) 이준(李浚)에 명하여 큰 군사를 일으켜 토벌하게 하였는데, 경이 종사관(從事官)이 되어 막부(幕府)에 참여하여 도왔다. 모의(謀議)에 계책을 내어서 비보(裨補)한 바가 많았고, 군부(軍簿)를 잘 다스리어 잘못된 점이 있지 않았다. 혹은 위험을 무릅쓰고 위태함을 겪으면서 왕복하여 치보(馳報)하였고, 모산(謀算)을 받들어 주선(周旋)하니 움직이면 기회(幾會)에 맞아서, 드디어 파죽(破竹)의 형세를 이루어 도리어 첩보(捷報)의 소식을 아뢰었다. 경의 공(功)이 성하니, 내가 감히 잊어버리겠는가? 이에 경(卿)을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산하(山河)를 가리켜 맹세하였으니, 만세에 아름다움과 짝할 것을 기약하고, 고굉(股肱)의 힘을 다하였으니, 길이 한마음을 지니기를 바란다."

하였다. 정충 출기 적개 공신(精忠出氣敵愾功臣) 통훈 대부(通訓大夫) 군자감 정(軍資監正) 김순명(金順命)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난(難)을 이기고 적개(敵愾)하는 것은 신하의 지극한 충성이요, 덕(德)을 높이고 수고를 갚는 것은 나라를 가진 임금의 영전(令典)이다. 지난번에 적신(賊臣) 이시애(李施愛)가 부육(覆育)의 은혜를 저버리고 굴혈(窟穴)의 견고함을 믿고서 뜬소문[浮言]을 선동하여 군중(群衆)을 유혹하여서 관리를 죽이고 군사를 일으켰다. 난(亂)이 이미 지극[極]하였고, 만연(蔓延)하여 도모(圖謀)하기가 어려웠다. 내가 귀성군(龜城君) 이준(李浚)에게 명하여 여러 장수를 지휘하여 이를 토벌(討伐)하게 하였는데, 그대가 좌막(佐幕)이 되었다. 군기(軍機)의 일은 비밀히 하므로 멀리서 듣기가 어려운데, 그대가 자주 와서 계달(啓達)하니 털끝만큼도 빠뜨리지 않았다. 돌아와서 성산(成算)을 받들고 장사(將士)에게 밝게 교유(敎諭)해서 그들로 하여금 마음과 힘을 합하여 기회를 살펴 나아가 공격하게 하였다. 큰 괴수(魁首)가 낭패(狼狽)하여 스스로 천주(天誅)에 나아왔도다. 그대의 공(功)을 가상히 여기는데, 내가 어찌 감히 잊겠는가? 이에 그대를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단서(丹書)와 백마(白馬)로 한 마음을 길이 보전하도록 기약하고, 태산(泰山)과 황하(黃河)에 만세토록 잊지 않기를 맹세하라."

하였다. 정충 출기 적개 공신(精忠出氣敵愾功臣) 통훈 대부(通訓大夫) 종부시 정(宗簿寺正) 김관(金瓘)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왕(王)의 적개(敵愾)하는 자를 대적(對敵)하는 것은 실로 충의(忠義)의 마음을 다하는 것이다. 그대의 공(功)이 있음을 생각하니, 감히 포숭(褒崇)하는 전례를 늦추겠는가? 생각건대 그대는 성품과 자질이 총민(聽敏)하고 지식이 정통(精通)하였도다. 일찍이 흥현(興賢)의 과거(科擧)에 뽑혔고, 경세(經世)의 직무에도 두루 밝았다. 어진 명성이 전파되어 들리니, 오직 내가 그대를 가상(嘉賞)하게 여겼다. 지난번에 적신(賊臣) 이시애(李施愛)가 문득 흉(兇)한 음모(陰謀)를 품고 크게 도량(跳梁)을 부려서 천지(天地)에 용납하지 못하고, 신인(神人)이 함께 분개하였다. 내가 귀성군(龜城君) 이준(李浚)에게 명하여 도총사(都摠使)로 삼아 이를 토벌하게 하고, 그대로 하여금 막부(幕府)에 종사(從事)하게 하였다. 그대가 능히 하여금 모획(謀畫)을 협찬하여 왕복하면서 치보(馳報)하고, 움직이면 기회에 맞추어서 마침내 역당(逆黨)을 섬멸(殲滅)하고 드디어 평정(平定)하기에 이르러, 나로 하여금 북방(北方)을 돌아보는 근심을 펴게 하였도다. 그대의 공훈을 생각하니, 가히 성대하다고 이를 만하다. 이에 그대를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화란(禍亂)을 평정하여 국가를 안정시켰고 이미 비상(非常)한 공적이 있어서, 총명(寵命)에 응(膺)하였으니, 대려(帶礪)로 더욱 불이(不貳)의 충성을 다할 것을 맹세하라."

하였다. 정충 출기 적개 공신(精忠出氣敵愾功臣) 절충 장군(折衝將軍) 행 의흥위 대호군(行義興衛大護軍) 겸 오위장(兼五衛將) 구겸(具謙)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비상(非常)한 공(功)을 세운 자가 적지 않은 상(賞)을 받는데, 이것은 고금(古今)에 공통된 법규이다. 지난번에 적수(賊竪) 이시애(李施愛)가 문득 불궤(不軌)를 도모하여 장수와 수령을 적살(賊殺)하고, 드디어 군사를 일으켜 몰래 웅거하고 사람 죽이기를 심히 급하게 하였다. 내가 이에 장수에게 명하여 토벌하게 하였는데, 그대가 능히 마음에 적개심(敵愾心)을 품고 용감하게 바로 나아가서, 친히 시석(矢石)을 무릅쓰고 견고한 적을 꺾고, 정예(精銳)를 패배시켜, 드디어 적(賊)의 소혈(巢穴)을 탕평(盪平)하니, 한 지방이 베개를 평안히 베게 되었다. 그대의 공을 가상히 여기어 ‘돈독하여 잊지 못하겠다.’고 한다. 이에 그대를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천리 땅에 절충(折衝)하여, 이미 사직(社稷)의 신하(臣下)가 되었으니, 한 마음을 길이 지니고 산하(山河)의 맹세를 변하지 말라."

하였다. 정충 출기 적개 공신(精忠出氣敵愾功臣) 절충 장군(折衝將軍) 행 의흥위 대호군(行義興衛大護軍) 박식(朴埴)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충의(忠義)를 분발(奮發)하여 적개(敵愾)하니, 이미 특수한 공훈을 세웠도다. 총명(寵命)을 베풀고 재능을 정표(旌表)하여, 마땅히 후한 상(賞)을 더하는 것은 진실로 공의(公義)라고 하겠으며, 어찌 그 사사로운 은혜라고 하겠는가? 생각건대 그대는 무략(武略)이 무리에 뛰어나고 재예(才藝)가 무리에서 빼어났도다. 지혜는 가히 백려(百旅)를 거느릴 만하고, 용맹(勇猛)은 만부(萬夫)를 대적(對敵)할 만하였다. 지난번에 적신(賊臣) 이시애(李施愛)가 몰래 역모(逆謀)를 품고 적해(賊害)를 멋대로 행하여, 신인(神人)이 함께 노(怒)하고, 천지(天地)에 용납하기가 어려웠다. 그대가 능히 충의(忠義)로 분격(忿激)하여 나의 적개(敵愾)하는 자를 대적(對敵)하고, 몸소 시석(矢石)을 무릅쓰고 여러 추류(醜類)를 다 섬멸(殲滅)하였다. 이러한 큰 공을 생각하여, ‘돈독히 잊지 못하겠다.’고 한다. 이에 그대를 책훈(策葷)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그대의 큰 공적을 가상히 여겨 이미 포장(褒奬)의 은혜를 더하였으니, 나라와 더불어 아름다움을 함께 누리고 더욱 종시(終始)의 절개(節介)를 굳게 하라."

하였다. 정충 출기 적개 공신(精忠出氣敵愾功臣) 통정 대부(通政大夫) 공조 참의(共曹參議) 김백겸(金伯謙)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적개(敵愾)에 용감하여 이미 세상에 드문 공훈(功勳)을 세웠다. 상(賞)을 주어 공(功)을 갚는데 마땅히 이등(異等)의 은총을 더하니, 이것은 고금(古今)의 큰 의리이요, 제왕(帝王)의 항규(恒規)이다. 근래에 적신(賊臣) 이시애(李施愛)가 대역(大逆)의 음모(陰謀)를 꾸며서 장수와 수령을 적살(賊殺)하고, 드디어 관군(官軍)에 항거(抗拒)하여, 스스로 천주(天誅)를 불렀다. 내가 귀성군(龜城君) 이준(李浚)에게 명하여 군사를 거느리고 토벌하게 하였는데, 그대가 오랫동안 금위(禁衛)의 직에 있었다고 하여 중인(衆人)이 효웅(驍雄)을 추대하므로, 그대로 하여금 정벌에 증군하게 하였더니, 그대가 능히 의담(義膽)을 분격(奮激)하여, 험난하고 위급한 것을 무릅쓰고 왕래하면서 계달(啓達)하여 기회를 잃지 아니하니, 드디어 흉(兇)한 추류(醜類)를 진멸(殄滅)시켜 적(賊)의 머리를 전(傳)하고 첩보(捷報)를 바치어 한 지방이 평안하게 되었고, 내 마음도 이에 평안하도다. 그대와 같은 공적을 오직 내가 가상히 여긴다. 이에 그대를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그대를 좋아하여 싫어하지 않으니, 오히려 작상(爵賞)이 가벼움을 혐의스러워 하는 바이다. 나라와 더불어 함께 아름다움을 누리고 길이 대려(帶礪)의 맹세를 생각할지어다."

하였다. 정충 출기 적개 공신(精忠出氣敵愾功臣) 자헌 대부(資憲大夫) 함길북도 관찰사(咸吉北道觀察使) 아성군(牙城君) 어세공(魚世恭)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왕(王)의 적개(敵愾)하는 자를 대적(對敵)하는데 충신(忠臣)이 아니면 능히 하지 못할 것이다. 사람의 공적이 있음을 상주는 것은 전례(典禮)에 있으니, 마땅히 거행해야 할 것이다. 생각건대 경은 마음가짐을 굳고 확실하게 하고 일을 처리하기를 정통하고 밝게 하였다. 또 웅대한 무략(武略)을 겸(兼)하였으니, 한갓 유술(儒術)의 좋은 점만을 갖춘 것이 아니로다. 지난번에 적수(賊竪) 이시애(李施愛)가 감히 불궤(不軌)를 도모하여 장수와 수령을 살해하고, 군사를 일으켜 남쪽으로 향하고자 하여 그 형세(形勢)가 장차 막을 수가 없었고, 죄악(罪惡)이 많아서 하늘에 가득찼다. 내가 이에 장수에게 명하여 가서 정벌(征伐)하게 하였는데, 경이 일찍이 후설(喉舌)을 맡아 나의 뜻을 분명히 알므로 재결(裁決)을 시험할 만하다고 하여 한 방면(方面)을 위임(委任)하였더니, 경이 능히 정성을 다하고 힘을 베풀어 드디어 흉도(兇徒)를 소탕하여 빨리 평정(平定)되기에 이르러, 한 지방을 무집(撫輯)하여 옛날과 같이 안도(安堵)하게 하였도다. 내가 ‘앞뒤에 사람이 있다.’고 하고, 내가 ‘어모(禦侮)할 자가 있다.’고 할진대, 경을 두고 누구라고 하겠는가? 이에 경을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이름을 죽백(竹帛)에 드리우고 그 공적(功績)을 크게 보아 기록하였으니, 산하(山河)를 가리켜 맹세하여 영세(榮世)토록 기도(基圖)375) 를 함께 보전할지어다."

하였다. 정충 출기 적개 공신(精忠出氣敵愾功臣) 어모 장군(禦侮將軍) 행 의흥위 호군(行義興衛護軍) 오자치(吳自治)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덕(德)이 많으면 힘써 벼슬을 주고 공(功)이 많으면 힘써 상(賞)을 주는데, 이것은 나라를 가진 자의 항규(恒規)이다. 생각건대 그대의 재략(才略)이 무리에 뛰어나고 권용(卷勇)이 사람들에게서 빼어났다. 재예(才藝)가 많다고 본래 옛날부터 들었으나, 충성을 바치는 것은 이제 위난(危難)할 때에 보았도다. 지난번에 역신(逆臣) 이시애(李施愛)가 몰래 불궤(不軌)를 도모하여 크게 발호(跋扈)를 하여 우리 웅비(熊貔)와 같은 군사에 항거하여 나에게 소간(宵旰)의 걱정을 끼쳤다. 죄는 천지간에 용납하지 못하였고 분노는 뇌정(雷霆)보다 더하였다. 이에 장수에게 명하여 정벌(征伐)하게 하였는데, 그대가 이에 마음에 맹세하여 살기를 잊고 힘을 다하여 과의(果毅)하니, 도리어 감정(勘定)하기에 이르러, 요망한 진애(塵埃)가 깨끗하게 맑아졌다. 기공(奇功)은 전현(前賢)에 비교할 만하므로 후한 상(賞)은 마땅히 옛 전장(典章)에 따라야 하겠다. 이에 그대를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내가 이미 대려(帶礪)로 맹세를 삼아 길이 큰 공(功)을 생각하니, 그대도 또한 그 마음을 금석(金石)과 같이 하여 더욱 소절(素節)에 힘쓸지어다."

하였다. 정충 출기 적개 공신(精忠出氣敵愾功臣) 절충 장군(折衝將軍) 행 충무위 상호군(行忠武衛上護軍) 정숭로(鄭崇魯)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王)은 이르노라. 힘을 시석(矢石)에 나타내고, 용맹을 삼군(三軍) 앞에 떨치니, 이름을 정종(鼎鍾)에 새겨서 그 빛을 천년(千年) 아래로 보이는데, 이것은 신자(臣子)의 충성을 다하는 큰 절개(節介)이요, 국가에서 공(功)을 갚는 항규(恒規)이다. 생각건대 그대는 무예(武藝)가 무리에서 뛰어나서 숙위(宿衛)에 뽑혀 충당 되었다. 평시에 강개(慷慨)하여 웅지(雄志)가 있었다. 근래에 적신(賊臣) 이시애(李施愛)가 몰래 다른 뜻을 품고 변장(邊將)과 수령[守宰]을 교살(矯殺)하고 병기(兵器)를 도둑질하여 농락하며, 한 도(道)를 문득 점거(占據)하여 돼지가 날뛰듯이 범이 짓씹듯이 크게 흉악하고 광포(狂暴)한 짓을 하였다. 신인(神人)이 함께 분노하였고, 내가 이에 혁연(赫然)히 진노(軫怒)하여, 귀성군(龜城君) 이준(李浚)에게 명하여 군사를 거느리고 토벌(討伐)하게 하였는데, 그대가 비장(裨將)이 되어 분연(奮然)히 몸을 돌보지 않고, 먼저 성에 오르고 바로 적을 치니, 적도(賊徒)들이 풍문(風聞)만 듣고서도 분주(奔走)하여 흩어졌고, 그 큰 괴수(魁首)를 섬멸(殲滅)하여, 한 지방이 평정되기에 이르렀다. 앞뒤에서 분주(奔走)하였으니, 내가 그대의 공(功)을 가상히 여긴다. 이에 그대를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공적(功績)을 크게 보아 기록하고 함께 막대한 휴상(休祥)을 곧게 하였으니, 더욱 처음 먹은 마음에 힘써서 길이 끝없는 왕업(王業)을 도울지어다."

하였다. 정충 출기 적개 공신(精忠出氣敵愾功臣) 조봉 대부(朝奉大夫) 내섬시 첨정(內贍寺僉正) 장말손(張末孫)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주(周)나라에서는 기상(旂常)376) 의 기록이 있었고 한(漢)나라에서는 대려(帶礪)의 맹세를 폈으니, 모두 충성을 당시에 권장하여 공효(功效)를 후세(後世)에 장려하려는 까닭이었다. 생각건대 그대는 성품과 자질(資質)이 순각(醇慤)하고 학식이 소통(疏通)하였다. 일찍이 과거(科擧)에 뽑혀서 자못 명칭(名稱)이 있었고, 충의(忠義)의 도(道)는 실로 마음에 깊이 새긴 바였다. 지난번에 적신(賊臣) 이시애(李施愛)가 몰래 역모(逆謀)를 품고 감히 발호(跋扈)를 마음대로 하여 흉포한 기염(氣焰)이 심히 성하였다. 내가 귀성군(龜城君) 이준(李浚)에게 명하여 군사를 거느리고 토벌(討伐)하게 하였는데, 승산(勝算)을 묘하게 이끌어서 적의 형세가 먼저 수그러져서, 드디어 큰 괴수(魁首)를 원문(轅門)377) 아래에 잡아 바치니, 요기(妖氣)가 깨끗하게 맑아졌고 삭방(朔方) 지역이 안도(安堵)하게 되었다. 이때에 진북 장군(鎭北將軍) 강순(康純)의 종사관(從事官)이 되어 막주(幕籌)에 참여하여 돕고 분주하게 힘을 바쳤도다. 이에 그대를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함께 아름다움을 누리는 의리로 이미 옛 전장(典章)을 크게 보았으니, 길이 보전하는 마음을 오는 후손에게 변하지 말기를 바란다."

하였다. 정충 출기 적개 공신(精忠出氣敵愾功臣) 통훈 대부(通訓大夫) 내섬시 정(內贍寺正) 손소(孫昭)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마음을 함께 하고 힘을 협찬(協贊)하여, 능히 적개(敵愾)의 공(功)을 이루었으니, 상(賞)을 논하며 재능을 정표(旌表)하여 마땅히 공(功)에 보답하는 전례(典禮)를 거행해야 한다. 지난번에 역신(逆臣) 이시애(李施愛)가 흉악한 사람을 모으고 그 당(黨)을 심어 와언(訛言)으로 군중(群衆)을 현혹(眩惑)하여, 관리(官吏)를 적살(賊殺)하고 유서(諭書)를 능멸하여 버리고, 드디어 중병(衆兵)을 일으켜 크게 도량(跳梁)을 멋대로 하였다. 내가 귀성군(龜城君) 이준(李浚)에게 명하여 군사를 이끌고 토벌(討伐)하게 하니, 그대가 평로 장군(平虜將軍) 박중선(朴仲善)의 막부(幕府)에 참여하여 돕고, 군무(軍務)를 총섭(摠攝)하여 험한 것을 겪고 위태한 것을 무릅쓰며, 분주하게 왕래하여 적(賊)의 정상(情狀)을 보고하고, 나의 지시와 계획을 고유(告諭)하여 모두 기회에 맞추어 착오가 있지 아니하니, 승세(勝勢)가 드디어 떨쳐져 역괴(逆魁)의 머리를 바치고 한 지방이 편안해졌다. 그대의 공적(功績)을 생각하니, 감히 포장(褒奬)함을 잊겠는가? 이에 그대를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막부(幕府)에 들어가서 계책을 도와서 이미 불세(不世)에 성대한 공적을 세웠으니, 황하(黃河)가 띠[帶]같이 되고 태산(泰山)이 숫돌[礪]같이 되도록 길이 끝없는 아름다움과 짝하기를 보전하도록 하라."

하였다. 정충 출기 적개 공신(精忠出氣敵愾功臣) 절충 장군(折衝將軍) 행 의흥위 부호군(行義興衛副護軍) 오순손(吳順孫)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적개(敵愾)를 하여 충성을 바치는 것은 신하가 된 자의 특수한 공적(功績)이요, 유공(有功)한 사람에게 상(賞)을 논하는 것은 나라를 가진 자의 항규(恒規)로다. 근래에 적신(賊臣) 이시애(李施愛)가 모역(謀逆)을 꾸미고 악(惡)을 쌓아 몰래 북변(北邊)에 웅거하여 관리(官吏)를 살해하고, 군사를 일으켜서 돼지처럼 돌격(突擊)하고 감히 관군(官軍)에 항거(抗拒)하였는데, 그대가 이에 몸소 만사(萬死)의 용기를 내어 분연(憤然)히 뒤를 돌아보지 아니하고, 칼날을 무릅쓰고 적의 예봉(銳鋒)과 부딪혀 굳은 예봉을 꺾고 적진(敵陣)을 함락하여 큰 원수를 깨끗이 맑게 하였도다. 그 공적(功績)이 이미 성한데 감히 포상(褒賞)하기를 늦추겠는가? 이에 그대를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이미 고굉(股肱)의 힘을 다하여 방가(邦家)에 마음을 바쳤으니, 길이 대려(帶礪)의 맹세를 품고 이에 후손에게 미치게 하라."

하였다. 정충 출기 적개 공신(精忠出氣敵愾功臣) 절충 장군(折衝將軍) 행 용양위 호군(行龍驤衛護軍) 심응(沈膺)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덕(德)이 많으면 높은 벼슬을 주고 공이 크면 후(厚)한 상(賞)으로 갚는데, 이것은 국가의 공의(公誼)이요 고금(古今)의 항규(恒規)로다. 생각건대 그대는 일찍이 무과(武科)에 뽑혀서 오래 금위(禁衛)에 시위(侍衛)하여 조아(爪牙)의 노고가 있었는데, 그대의 재주와 힘을 내가 진실로 마음에 두었던 바였다. 지난번에 역적(逆賊) 이시애(李施愛)가 불궤(不軌)를 도모하여 크게 흉악하고 광포(狂暴)한 짓을 부리니 실로 신인(神人)의 분노(憤怒)가 같이 하므로, 어찌 뇌정(雷霆)의 위엄(威嚴)을 늦추겠는가? 내가 귀성군(龜城君) 이준(李浚)에게 명하여 토벌(討伐)하게 하였는데, 그대가 능히 용맹을 일으켜 바로 치니, 적도(賊徒)들이 와해(瓦解)되고 드디어 큰 괴수(瑰首)를 섬멸하여 삭방(朔方)의 경계가 깨끗이 맑아졌도다. 오로지 그대가 힘을 다하여 충성을 바친 공적(功績)이니, 내가 감히 잊겠는가? 이에 그대를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책훈(策勳)하여 공(功)을 갚는 것이 어찌 일시의 사사로운 은혜이겠는가? 휴척(休戚)을 함께 하여, 거의 만세(萬世)에 길이 감사하기를 바란다."

하였다.

정충 출기 적개 공신(精忠出氣敵愾功臣) 통정 대부(通政大夫) 형조 참의(刑曹參議) 윤말손(尹末孫)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국가에 난(難)이 있으면 오직 호걸(豪傑)이 능히 그 충성을 떨치고 신린(臣隣)이 공적을 세우니, 군상(君上)에 있는 자가 마땅히 그 상(賞)을 성하게 주어야 하는데, 이것은 떳떳한 전례(典禮)에 따르는 것이요, 특수한 공훈을 갚으려는 것이다. 그대는 자취를 항오(行伍)에서 일으켜 금려(禁旅)에 시종(侍從)하면서 나의 조아(爪牙)가 된 지 여러 해 되었다. 지난번에 적신(賊臣) 이시애(李施愛)가 나라의 은혜를 저버리고 몰래 반역(叛逆)할 마음을 품고, 망령스레 생각하기를, ‘험(險)하고 먼 것을 넉넉히 믿고 변지(邊地)의 백성이 어리석다.’고 하고, 뜬소문으로 선동하여 장수와 수령을 적살(賊殺)하고 한 지방에서 부엉이가 날개를 벌리듯이 하여, 죄악이 하늘에 넘치니, 내가 장수에게 명하여 정벌(征伐)하게 하였다. 그대가 이에 군사를 거느리고 가서 싸움터에 나아가, 몸소 사졸에 앞장서서 친히 예리한 칼날을 무릅쓰고, 굳은 예봉을 꺾고 적진(敵陣)에 돌격하여 드디어 병세(兵勢)가 크게 떨치기에 이르러, 적도(賊徒)들이 와해(瓦解)되고 큰 괴수(魁首)의 머리를 바쳤다. 이러한 큰 공을 생각하니, 마땅히 표창하는 은전을 더해야 하겠다. 이에 그대를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산하(山河)를 가리켜 맹세하였으니, 나라와 더불어 함께 아름다움을 누리도록 기약하고, 복심(腹心)이 되어 정성을 다하여 후손(後孫)을 영세(永世)에 넉넉하게 하기를 바란다."

하였다. 정충 출기 적개 공신(精忠出氣敵愾功臣) 절충 장군(折衝將軍) 행 충무위 호군(行忠武衛護軍) 김면(金沔)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적개(敵愾)하여 충성을 바치는 것은 오직 신자(臣子)의 큰 절개(節介)이요, 공(功)을 논하여 상(賞)을 행(行)하는 것은 곧 국가의 항규(恒規)이다. 지난번에 적신(賊臣) 이시애(李施愛)가 흉악(兇惡)하고 완악(頑惡)한 사람을 모아서 군사를 일으키고 임금의 명(命)을 거역하니, 그대가 당시에 금위(禁衛)의 웅걸(雄傑)이라 칭하므로, 뽑아서 편비(偏裨)의 항렬(行列)에 참여하게 하였다. 그대가 능히 충간(忠肝)을 분발하여 적(賊)의 성루(城壘)에 돌격하고 군량(軍糧)의 길을 염탐하여 알아내며, 어렵고 위험한 것을 무릅쓰고 군대의 기운을 장(壯)하게 하여, 마침내 시호(豺虎)와 같은 무리를 섬멸(殲滅)하였도다. 그대의 공적(功績)이 이미 성하니, 내 마음으로 가상하게 여긴다. 이에 그대를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공신의 형상을 그리고 공(功)을 솥[鼎]에 새겨서, 조아(爪牙)의 공로(功勞)를 보답하였으니 태산(泰山)이 숫돌[礪]같이 되고 황하(黃河)가 띠[帶]같이 되도록 길이 후손의 보전을 기약하라."

하였다. 정충 출기 적개 공신(精忠出氣敵愾功臣) 건공 장군(建功將軍) 호분위 대호군(虎賁衛大護軍) 맹석흠(孟石欽)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적개(敵愾)하여 충성을 바치는 것은 신자(臣子)의 큰 절개(節介)이요, 공(功)을 책훈(策勳)하여 상(賞)을 행(行)하는 것은 국가의 통상적인 규칙이다. 옛날을 상고하여도 모두 그러한데, 금세(今世)에 있어서 가히 폐(廢)하겠는가? 생각건대 그대는 지략(智略)이 무리에서 뛰어났고 재주와 용맹이 겸전한 사람이다. 지난번에 적신(賊臣) 이시애(李施愛)가 나라의 은혜를 저버리고, 흉악(兇惡)한 도당(徒黨)을 불러 모아, 장수와 수령을 적살(賊殺)하고 한 지방을 도적질하여 웅거(雄據)하다가, 대병(大兵)이 그 지경에 임(臨)하자, 오히려 버마재비의 어깨로 큰 수레바퀴를 막으려고 그 발호(跋扈)가 지극하였다. 그대가 진북 장군(鎭北將軍) 강순(康純)의 막사(幕士)가 되어, 능히 몸을 빼쳐서 성루(城壘)를 짓뭉개고 시석(矢石)을 무릅쓰니, 드디어 흉한 무리를 섬멸하고, 재빨리 큰 공적을 아뢰었다. 오직 그대의 공적이니, 내가 어찌 감(敢)히 잊겠는가? 이에 그대를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봉작(封爵)을 내려 주어 특수한 공훈에 보답하니, 태산(泰山)이 숫돌[礪]같이 되고 황하(黃河)가 띠[帶]같이 되도록 더욱 소절(素節)을 다할지어다."

하였다. 정충 적개 공신(精忠敵愾功臣) 현록 대부(顯祿大夫) 영순군(永順君) 이부(李溥)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충성을 다해서 적개(敵愾)하는 자를 대적(對敵)하여 이미 비상한 공훈을 세웠으니, 그 재능을 정표(旌表)하여 그 공(功)에 보답하는데 마땅히 적지 않은 상(賞)을 더해야 한다. 이에 지난날의 문헌(文獻)을 상고하여 떳떳한 규칙에 따르는 것이다. 생각건대 그대는 기운을 화악(華萼)378) 에서 나누었고 빼어남을 의란(猗蘭)379) 에서 받았다. 성품이 혼후(渾厚)380) 하고 지식(知識)이 정통(精通)하였다. 수고하지 않고도 마음으로 생각하는 것이 능히 육적(六籍)의 깊음을 다 궁구(窮究)하였고, 수고하지 않고 지시하여 주는 것이 널리 백예(百藝)의 재능을 겸하였도다. 지난번에 임헌(臨軒)381) 하여 선비에게 책문(策問)할 때 이에 과거에 발탁(拔擢)되어 그 영특함을 날렸고, 족히 일취(日就)의 공(功)을 징험(徵驗)하였으니, 또한 천자(天資)의 아름다움에서 말미암은 것이었다. 일찍이 성고(聖考)382) 의 남기신 부탁을 받들어, 특히 중궁(中宮)과 더불어 어여삐 여겨 사랑하였고, 진실로 폐부(肺腑)의 영특함으로 항상 후설(喉舌)의 책임을 대신하였다.

마침 이번 얼아(孼芽)의 무리들이 감히 불궤(不軌)의 음모(陰謀)를 멋대로 부려, 알유(猰揄)383) 가 황지(潢池)에서 발호(跋扈)하듯이, 효경(梟獍)384) 이 변진(邊鎭)에서 연편(聯翩)385) 하듯이 하니, 실로 신인(神人)이 분개를 같이 하였고 바야흐로 소간(宵肝)의 걱정을 끼쳤다. 그대가 홀로 좌우에서 주선(周旋)하고 출납(出納)하여 모의(謀議)하고, 아랫사람에게는 묘한 계책을 주고, 윗사람에게는 군대의 사정을 아뢰니, 움직이면 사의(事宜)에 합하여, 드디어 승첩(勝捷)하기에 이르러 방가(邦家)의 반석(盤石)같은 복조(福祚)를 굳게 하였고, 조야(朝野)에 있는 유성(維城)의 중망(衆望)에 부응(副應)하였다. 이에 그대의 공훈(功勳)을 생각하니, 감히 나의 상(賞)을 늦추겠는가? 이에 그대를 책훈(策勳)하여 적개 3등 공신(敵愾三等功臣)으로 삼아, 유사(宥赦)가 영세(永世)에 미치게 한다. 인하여 노비(奴婢) 8구(口), 전지(田地) 80결(結), 은(銀) 10냥(兩), 옷 1습(襲), 내구마(內廐馬) 1필(匹)을 내려 주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공(功)이 성하니 힘써 상(賞)을 주고, 덕(德)이 성하니 힘써 벼슬을 주어, 이에 책훈(策勳)하는 은전(恩典)을 거행한다. 황하(黃河)가 띠[帶]같이 되고, 태산(泰山)이 숫돌[礪]같이 되도록 더욱 돈독히 보필(輔弼)하는 정성을 바칠지어다."

하였다. 추충 좌익 적개 공신(推忠佐翼敵愾功臣) 숭록 대부(崇祿大夫) 의정부 우찬성(議政府右贊成) 서원군(西原君) 한계미(韓繼美)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간세(間世)의 재능이 있는 자는 비상한 공을 세우고, 비상한 공을 세운 자는 마땅히 세상에 드문 보답을 누려야 하므로, 마땅히 은총(恩寵)의 법전(法典)을 더하여 특수한 공훈을 보답해야 한다. 만약 옛 전장(典章)을 상고하더라도 모두 이 도리에 따랐다. 근래에 적신(賊臣) 이시애(李施愛)가 여러 해 동안 흉모(兇謀)를 품고서 도당(徒黨)을 심고 교활함을 부려, 뜬소문을 선동하여 여러 사람의 의심(疑心)을 북돋우어, 조정의 사신[使命]을 구속하고 장수와 수령을 살해하고, 그 벌처럼 독(毒)을 부려서, 우리의 천주(天誅)를 불렀도다. 경은 본래 먼 친척에 속(屬)하였으나 다시 대쪽 같은 곧은 절조(節操)에 힘썼다. 평안도 대장(平安道大將)으로서 유명(諭命)을 듣고 곧장 나아가서 몸을 잊고 원수(怨讎)를 진멸(殄滅)하기를 맹세하고, 목숨이 다하도록 보국(報國)할 것을 기약하였다. 한 지방의 정예(精銳)한 병졸(兵卒)을 거느리고 문득 복배(腹背)의 형세(形勢)를 잡았고, 삼군(三軍)의 정(精)한 충성을 격려(激勵)하여 기각(掎角)의 형세(形勢)를 이루었다. 각각 그 용맹(勇猛)을 북돋우어 바로 그 예봉(銳鋒)을 치니, 파죽지세(破竹之勢)가 기회(機會)를 발견하는 것보다 나을 수가 없었고, 썩은 무리를 부수듯이 그 발호(跋扈)하는 것을 모두 섬멸하였다. 개선(凱旋)의 소식을 아뢰니, 상(賞)을 논하기를 늦출 수 있겠는가? 이에 경을 책훈(策勳)하여 적개 3등 공신(敵愾三等功臣)으로 삼아, 그 부모와 처(妻)에게 벼슬을 주고, 유사(宥赦)가 영세(永世)토록 미치게 한다. 인하여 노비(奴婢) 8구(口), 전지(田地) 80결(結), 은(銀) 10냥(兩), 옷 1습(襲), 내구마(內廐馬) 1필(匹)을 내려 주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이미 과궁(寡躬)을 익대(翊戴)하여 벌써 이기(彝器)를 전(傳)하였고, 다시 흉악(兇惡)한 추류(醜類)를 평정하여 공훈(功勳)이 태상(太常)에 전습(傳襲)하였으니, 아름답게도 정절(貞節)을 함께 하여 해마다 한결같은 절개(節介)에 힘쓸지어다."

하였다. 정충 적개 공신(精忠敵愾功臣) 중의 대부(中義大夫) 함길 남도 병마 수군 절도사(咸吉南道兵馬水軍節度使) 율원군(栗元君) 이종(李徖)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기운을 용종(龍種)386) 에서 나누었고, 실로 빼어남을 의란(猗蘭)에서 받았으니, 재예(才藝)는 범[虎]같은 도략(韜略)을 지니어 능히 공(功)을 파죽(破竹)과 같이 거두었다. 마땅히 이수(異數)에 응(膺)하여, 여러 사람의 말을 따라야 할지로다. 생각건대 그대는 성품과 도량이 단정(端正)하고 방정하며, 지식(知識)이 통달(通達)하였다. 겸하여 협귀(挾貴)하는 습관이 없었고, 항상 행실(行實)을 삼가는 마음이 있었다. 일찍 《예기(禮記)》를 말하고 《시경(詩經)》을 돈독(敦篤)히 익혔고, 항상 무(武)를 닦아서 재기(才技)가 많았도다. 지난번에 적신(賊臣) 이시애(李施愛)가 모반(謀反)하여 군사를 일으켜서 발호(跋扈)하니, 마침 비고(鼙皷)387) 의 소리를 듣고 장수(將帥)를 생각하였는데, 어찌 폐부(肺腑)를 짝하여 재주를 구(求)하지 아니하겠는가? 드디어 명(命)을 받아 행군(行軍)을 아뢰고 능히 기모(奇謀)를 내어 제승(制勝)하니 곧 큰 도적의 머리를 얻어 첩보(捷報)를 아뢰었고, 수순(數旬) 사이에 한 지방이 평정되었다. 마침 큰 공을 이미 아뢰니, 어찌 총명(寵命)을 늦출 수가 있겠는가? 이에 그대를 책훈(策勳)하여서……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공(功)을 종정(鍾鼎)에 새기는 것은 어찌 한 때의 사사로운 은혜이겠는가? 넉넉함을 기구(箕裘)388) 에 드리워서 만대(萬代)에 이르도록 길이 누리기를 바란다."

하였다. 정충 적개 공신(精忠敵愾功臣) 자헌 대부(資憲大夫) 행 황해도 병마 수군 절도사(行黃海道兵馬水軍節度使) 유성군(諭城君) 선형(宣炯)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몸을 잊고 나라에 순국(殉國)함은 신자(臣子)의 지극한 충성이요, 책명(策命)하여 공훈(功勳)을 정표(旌表)하는 것은 국가의 떳떳한 법전(法典)이다. 생각건대 경은 성품과 자질(資質)이 영특(英特)하였고, 지식과 도량이 크고 넓었다. 재예(才藝)는 호웅(豪雄)의 무리보다 뛰어났고, 지식은 고금(古今)의 변(變)에 통달하였다. 일찍이 변방의 곤기(閫奇)389) 에 응(膺)하였고, 매양 훌륭한 재간(才幹)의 명성(名聲)을 날렸으므로, 은연(隱然)히 나라에서 장성(長城)에 의지하듯이 하였고, 위대함은 세상에서 큰 나무와 같다고 일컬었다. 마침 이번에 적수(賊竪) 이시애(李施愛)가 감히 흉악(兇惡)한 모계(謀計)를 부려서 황지(潢池)에 도량(跳梁)하여 장수와 수령을 살해하여 죄악이 가득차서, 신(神)이 노(怒)하고 사람이 분개하였다. 경이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로서 본도(本道)의 군사를 거느리고 엄숙하게 천위(天威)를 거느리고 능히 용감하게 나아가서 흉악(兇惡)한 무리를 소탕(掃蕩)하고, 돌이켜 첩보(捷報)를 아뢰었다. 내가 그대의 공적을 성하게 여겨서, ‘돈독(敦篤)히 잊지 못하겠다.’고 한다. 이에 경을 책훈(策勳)하여서……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봉작(封爵)을 내려 주어 이에 조아(爪牙)의 노고를 보답하였으니, 철권(鐵券)과 단서(丹書)로써 길이 산하(山河)의 맹세를 보전하라."

하였다. 정충 적개 공신(精忠敵愾功臣) 정헌 대부(正憲大夫) 행 중추부 동지사(行中樞府同知事) 여산군(驪山君) 민발(閔發)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말하노라. 힘을 펴고 적개(敵愾)하여 능히 확청(廓淸)390) 한 공(功)을 이룬다면 공훈(功勳)을 정표(旌表)하고 충성을 장려하는데 어찌 포숭(褒崇)의 법전(法典)을 거행하지 않겠는가? 이것은 사사로운 은혜를 보이는 것이 아니요, 실로 떳떳한 법규(法規)를 따르는 것이다. 생각건대 경은 힘이 웅강(雄强)하였고 굳건한 기질이 남보다 뛰어났도다. 옛날에 잠저(潛邸)에 있을 때 일찍이 조아(爪牙)의 공(功)을 나타냈고, 응도(膺圖)391) 할 때 미쳐서 오랫동안 숙위(宿衛)의 항렬(行列)에서 수고하면서, 밤낮으로 오직 부지런하니 권애(眷愛)가 더욱 더하였도다. 지난번에 적신(賊臣) 이시애(李施愛)가 몰래 흉악(兇惡)한 모계(謀計)를 품고 죽이기를 멋대로 행하며, 드디어 중병(衆兵)을 가지고 감히 관군(官軍)에 항거하였다. 이에 귀성군(龜城君) 이준(李浚)에게 명(命)하여 토벌(討伐)하게 하였는데, 경이 비장(裨將)이 되어 곧 죄악(罪惡)이 하늘에 넘치는 것을 분개하여 불일(不日) 간에 탕평(逿平)할 것을 맹세하고, 몸을 빼쳐 용기를 일으켜 적진(敵陣)에 돌격하여 포위(抱圍)를 뚫어서, 드디어 여러 흉도(兇徒)로 하여금 창(槍)을 거꾸로 잡게 하고, 원악(元惡)의 머리를 바치게 하였다. 경의 공적(功績)이 매우 크므로, 내 마음에 더욱 가상(嘉賞)하게 여긴다. 이에 경을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신하[股肱]로서 분주(奔走)하게 충성(忠誠)을 다하였고, 휴척(休戚)을 더불어 함께 하였으니, 산하(山河) 대려(帶礪)의 맹세를 생각하여 더욱 시종(始終)토록 마땅히 굳게 지킬지어다."

하였다. 정충 적개 공신(精忠敵愾功臣) 자헌 대부(資憲大夫) 행 중추부 첨지사(行中樞府僉知事) 겸 오위장(兼五衛將) 보산군(寶山君) 오자경(吳子慶)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충성을 펴고 힘을 다하여 능히 적개(敵愾)의 공훈(功勳)을 이루면 영재(英才)를 정표(旌表)하여 재능(才能)을 장려하는데 마땅히 보공(報功)의 법전(法典)을 높일 것이다. 예로부터 이와 같았으니, 금세(今世)에 있어서 어찌 의심(疑心)하겠느냐? 생각건대 경은 기국(器局)이 크고 깊으며, 풍의(風儀)가 헌칠하고 크도다. 재주는 만인(萬人)의 적(敵)을 감당했고, 용기는 삼군(三軍)의 선두(先頭)에 서는도다. 이미 깊은 의중(倚重)을 부하(負荷)하여, 더욱 숙위(宿衛)의 책임에 힘썼도다. 지난번에 적신(賊臣) 이시애(李施愛)가 화심(禍心)을 품고서 장수와 수령을 적살(賊殺)하고 미친 개가 그 주인을 짖듯이 독(毒)을 멋대로 내뿜었고 사나운 효경(梟獍)이 어미를 움키듯이 모계(謀計)를 멋대로 부렸다. 죄악이 차고 넘치니, 신인(神人)이 함께 분노하였다. 명하여 비장(裨將)으로 삼아, 절충(折衝)하기를 맡겼더니, 경이 능히 충의(忠義)를 분발하여 적심(赤心)으로 보국(報國)하였다. 사졸(士卒)들을 독려하고 홀로 일우(一隅)를 감당하니, 여러 추악한 무리들을 다 수그러지게 하여 능히 큰 원수를 숙청(肅淸)하였다. 내가 그대의 공적을 가상하게 여겨 ‘돈독히 잊지 않겠다.’고 한다. 이에 경을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예봉(銳鋒)을 꺾고 정예(精銳)를 패배시켜서 이미 번개같이 일소(一掃)하는 공(功)을 이루었으니, 태산이 숫돌이 되고 황하가 띠가 되도록 길이 노년(老年)의 절개(節介)를 보전할지어다."

하였다. 정충 적개 공신(精忠敵愾功臣) 가선 대부(嘉善大夫) 수성군(隋城君) 겸 오위장(兼五衛將) 최유림(崔有臨)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몸을 잊고 순국(殉國)하였으니, 이미 불세(不世)의 공훈(功勳)을 세우면 덕(德)을 높여 공(功)을 보답(報答)하는데, 마땅히 비상(非常)한 은전(恩典)을 거행해야 한다. 만약 옛날을 상고하더라도 그 이루어진 법규(法規)가 있는 것이다. 지난번에 적신(賊臣) 이시애(李施愛)가 여러 백성(百姓)들을 선동 현혹하여 흉악(兇惡)한 도당(徒黨)을 불러 모으고, 몰래 변진(邊鎭)에 웅거(雄據)하여 병과(兵戈)를 도둑질하여 농락하였다. 악(惡)이 이미 하늘에 가득찰 정도로 많아지고 죄가 천지간에 용납치 못할 바이므로, 이에 한번 분노한 군사를 일으켜, 기어이 추악한 무리를 섬멸하기에 이르렀다. 오직 경은 분연(奮然)히 몸을 돌아보지 아니하고, 앞을 다투어 적진에 나아가서, 험난(險難)하고 위태(危殆)한 곳에 출입하고 시석(矢石)을 무릅쓰니, 원흉(元兇)의 머리를 바치고 만 백성들의 생활이 평안해졌다. 이러한 큰 공을 생각하여 감히 포상(褒賞)하여 장려함을 잊겠는가? 이에 경을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태산(泰山)과 황하(黃河)가 숫돌과 띠가 되도록 잊지 않을 것을 맹세하였으니, 단서(丹書)와 철권(鐵券)으로 길이 자손에게 전(傳)하기를 기약하라."

하였다. 정충 적개 공신(精忠敵愾功臣) 자헌 대부(資憲大夫) 행 충무위 상호군(行忠武衛上護軍) 단성군(丹城君) 우공(禹貢)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반역(叛逆)한 사람을 토벌하여 이미 비상한 공훈을 세웠으니, 능한 사람을 정표(旌表)하여 공(功)을 갚는 데 마땅히 적지 않은 상(賞)을 더해야 할 것이다. 생각건대 경은 본래 행동이 청렴하고 충성스러우며, 일찍이 책과 검(劍)을 업(業)으로 삼았도다. 재주는 만인(萬人)의 적(敵)을 감당하고, 기운은 백부(百夫)의 장사보다 뛰어났다. 고을을 다스리니 끼친 은애(恩愛)가 있었고, 직임(職任)을 지내면 공적(功績)을 이룸이 나타났도다. 지난번에 역적(逆賊) 이시애(李施愛)가 감히 불신(不臣)의 마음을 부리고, 군사를 일으켜 막을 수가 없었다. 경이 능히 몸소 사졸(士卒)보다 앞장서서 시석(矢石)을 무릅쓰니, 한번 싸워서 크게 승리하여 드디어 적도(賊徒)들을 섬멸하였다. 내가 그대의 공적(功績)을 가상히 여겨 ‘돈독히 잊지 않겠다.’고 한다. 이에 경을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조아(爪牙)의 심복(心腹)으로 이미 일체(一體)가 되었으니, 서로 모름지기 대려(帶礪) 산하(山河)로 만세에 함께 보전하기를 맹세하라."

하였다. 정충 적개 공신(精忠敵愾功臣) 가정 대부(嘉靖大夫) 행 충무위 상호군(行忠武衛上護軍) 겸 오위장(兼五衛將) 칠산군(漆山君) 정종(鄭種)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충성(忠誠)을 다하여 난(難)을 이기고 이미 불세(不世)이 공훈(功勳)을 세웠으니, 덕(德)을 높이며 공(功)을 갚는데 어찌 비상(非常)한 은전(恩典)을 거행하지 않겠는가? 만약 지나간 문첩(文牒)을 상고하더라도 스스로 떳떳한 전장(典章)이 있었다. 지난번에 역적(逆賊) 이시애(李施愛)가 감히 흉악한 모계(謀計)를 부려서 장수와 수령을 살해하고, 군사를 일으켜 감히 항거(抗拒)하여, 흉악한 기염(氣焰)이 더욱 성하였다. 내가 장수에게 명하여 토벌하게 하였는데, 경이 능히 몸을 돌아보지 않고 시석(矢石)을 무릅쓰고 기계(奇計)를 내어 제승(制勝)하니, 드디어 적도(賊徒)로 하여금 와해(瓦解)되게 하고, 원흉(元兇)의 머리를 바쳤다. 공훈(功勳)이 이미 성하므로, 상을 어찌 늦추겠는가?……아아! 이름이 죽백(竹帛)에 드리워 이미 크게 내려 주는 총애(寵愛)의 법(法)에 응(膺)하였으니, 산하(山河)를 가리켜 맹세하고, 영세(永世)토록 함께 아름다움을 누리기를 보전하도록 바란다."

하였다. 정충 적개 공신(精忠敵愾功臣) 가선 대부(嘉善大夫) 행 호분위 대호군(行虎賁衛大護軍) 풍성군(豊城君) 정준(鄭俊)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절충(折衝)하여 어모(禦侮)하고 능히 적개(敵愾)의 공훈(功勳)을 이루었으니, 덕(德)을 높이고 공(功)에 보답하는데 힘써 상(賞)을 주는 은전(恩典)을 거행하는 것이다. 이것은 나의 사사로운 은혜가 아니라 옛날부터 공통된 법규(法規)이다. 생각건대 일찍이 경은 무직(武職)에 올라서 과궁(寡躬)을 숙위(宿衛)하였고, 변진(邊鎭)의 병부(兵符)를 맡게 되자, 여러 차례 융로(戎虜)에 승첩(勝捷)하였음을 아뢰었으므로, 내가 일찍이 믿고 중(重)하게 여겼다. 지난번에 적신(賊臣) 이시애(李施愛)가 몰래 역적의 모계(謀計)를 품고 멋대로 적살(賊殺)을 행하고, 드디어 중병(衆兵)을 가지고 감히 관군(官軍)에 항거(抗拒)하니, 죄악이 이미 하늘에 넘쳤으므로, 진멸(殄滅)하는 것이 모름지기 극일(克日)392) 에 해당하였다. 내가 귀성군(龜城君) 이준(李浚)에게 명하여 토벌하게 하였는데, 경이 편비(偏裨)가 되어 능히 지휘를 받들어, 사졸(士卒)에 앞장서서 바로 나아가 시석(矢石)을 무릅쓰고 힘을 다하여 공격(攻擊)하였다. 드디어 적도(賊徒)로 하여금 창(槍)을 거꾸로 잡게 하여 스스로 미란(糜爛)하고, 원흉(元兇)이 파죽(破竹)의 형세로 모두 죽었다. 큰 공을 이미 아뢰니, 정표(旌表)하는 상(賞)을 어찌 늦추겠는가? 이에 경(卿)을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공이 많아서 상(賞)을 후(厚)하게 주어 비상(非常)한 은전(恩典)을 보였으니, 노후(老後)에 몸이 늙더라도 더욱 두 마음이 아닌 지조(志操)를 힘쓸지어다."

하였다. 정충 적개 공신(精忠敵愾功臣) 충의 교위(忠毅校㷉) 행 호분위(行虎賁衛) 중부 사직(中部司直) 이양생(李陽生)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적개(敵愾)하여 충성을 바쳐 비상한 공적(功績)을 세웠으니, 공(功)을 기록하고 상(賞)을 주어 마땅히 막대한 은전(恩典)을 더해야 한다. 예로부터 모두 그러하였으니, 금세(今世)에 비롯된 일이 아니다. 생각건대 그대는 용감하기가 무리에서 뛰어났고, 재주와 힘이 남보다 지나쳤도다. 일찍이 시위(侍衛) 수종(隨從)에 재능을 나타냈고 완급(緩急)에 가(可)한 것을 시험하여 보였도다. 지난번에 적신(賊臣) 이시애(李施愛)가 은혜(恩惠)를 저버리고 기강(紀綱)을 등지고 몰래 불궤(不軌)의 모계(謀計)를 품고서 당(黨)을 심고 군사를 일으켜 더욱 감히 항거(抗拒)하려는 세력을 떨치었다. 이에 귀성군(龜城君) 이준(李浚)에게 명하여 빨리 천주(天誅)에 이르게 하였는데, 그대가 이에 간담(肝膽)을 분발하여 정벌(征伐)에 종군하여 목숨을 내던지고 적(敵)을 염탐하여 원흉(元兇)을 사로잡고 평정하기에 이르고, 첩보(捷報)를 아뢰고 공훈(功勳)을 바쳤다. 이에 그대를 책훈(策勳)하여서……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공(功)이 있어서 마땅히 상(賞)을 주어 내가 이미 그대를 비상(非常)한 예로써 대접하였으니, 생명을 버리더라도 변치 않고, 그대는 더욱 나를 도와 변하지 말지어다."

하였다. 정충 적개 공신(精忠敵愾功臣) 추증 가정 대부(追贈嘉靖大夫) 병조 참판(兵曹參判) 연천군(延川君) 차운혁(車云革)에게 하교(下敎)하기를,

"왕은 이르노라. 적개(敵愾)하여 절개(節介)로 항거하고, 능히 험난하거나 평탄하거나 변함이 없었으니, 덕(德)을 높여 공(功)을 보답하는 것이 어찌 살거나 죽거나 간격이 있겠는가? 의리를 헤아려 보면 그러한 것이요, 사사로운 정에 따르는 것이 아니로다. 생각건대 그대는 마음가짐이 충직(忠直)하고 기력(氣力)이 남보다 뛰어났다. 항오(行伍)에서 발탁하여 겸사복(兼司僕)을 맡기니, 효용(驍勇)하다는 명성이 들렸다. 지난번에 적신(賊臣) 이시애(李施愛)가 그 동생 이시합(李施合)과 더불어 불궤(不軌)를 모의(謀議)하여, 몰래 한 지방에 웅거(雄據)하여 군사를 일으켜 기세가 치열하여 흉악한 기염(氣滔)이 바야흐로 성하였다. 그대가 충분(忠憤)을 이기지 못하고 갓끈을 청(請)하여 바로 달려가서 단신(單身)으로 적(賊)의 진중(陣中)에 들어가 몰래 친사(親士)를 효유(曉諭)하고, 드디어 이시합(李施合)을 사로잡아서 바야흐로 수레에 실어 서울로 보내려고 하다가, 도리어 힘이 부적(不敵)하여 길에서 이시합의 도당(徒黨)에게 잡히었다. 중옥(重獄) 속에 유치(留置)되었다가 그들이 패주(敗走)하게 되자, 머리통을 도끼로 쳐서 죽였다. 그대가 적도(賊徒)에게 ‘섬멸시킨 다음에야 그만 두겠다.’고 맹세하였기 때문에 적(賊)들이 그대에게 보복하기를 지극히 참혹한 것이 이 지경에 이르렀다. 아아! 세번 이기려는 장(壯)한 뜻을 펴지 못하고 도리어 삼목(三木)393) 의 원혼(冤魂)이 되었으니, 적(賊)에 대한 분노(憤怒)의 눈[目]을 죽어도 오히려 감지 못하였으리라. 적(賊)이 이제 머리를 바치니, 그대는 반드시 마음에 통괘할 것이다. 내가 그대의 뜻을 불쌍히 여기니, 그대는 내 마음을 알라. 포상(褒賞)하는 은전(恩典)을 마땅히 남보다 먼저 해야 하므로, 이에 그대를 책훈(策勳)하여……하니, 이르거든 수령(受領)할지어다. 아아! 충혼(忠魂)과 장(壯)한 넋이 영령(英靈)으로 오히려 살아 있으리라 생각하니, 끼친 음덕(蔭德)과 꽃다운 이름을 자손에게 미치기를 바란다."

하였다. 공신(功臣)들이 꿇어앉아 교서(敎書)를 받았다. 임금이 이준(李浚) 등을 불러서 앞서 내려 준 술잔을 올리게 하였다. 개국 공신(開國功臣) 조인옥(趙仁沃)의 아들 조관(趙貫)이 가장 늙었으므로 특별히 술을 내려 주고, 환관(宦官)으로 하여금 부축하여 내려가게 하였다. 어탁(御卓)을 적개 공신(敵愾功臣)에게 내려 주고, 강순(康純)어유소(魚有沼)·남이(南怡) 등을 불러서 한참 오랫동안 이야기를 하였다. 임금이 효령 대군(孝寧大君) 이보(李補)에게 명하여 술을 올리게 하고, 임금이 어탑(御榻)을 내려와서 술을 받아 마셨다. 지극히 즐거워하다가 잔치를 파(罷)하였다.


【태백산사고본】 16책 44권 23장 A면 【국편영인본】 8책 138면
【분류】왕실-의식(儀式) / 인사-관리(管理) / 인물(人物) / 변란-정변(政變) / 인사-임면(任免) / 군사-군정(軍政) / 신분-천인(賤人) / 농업-전제(田制) / 왕실-종친(宗親)

[註 342] 수운(需雲) : 《주역(周易)》의 괘이름. 구름이 하늘로 올라가서 비가 올 징조로, 군신(君臣)이 연음(宴飮)할 때 이른다고 함.
[註 343] 대려(帶礪) : 임금이 공신(功臣)의 집안을 영구히 변치 않고 대접한다는 맹세의 말. 한(漢)나라 고조(高祖)가 봉작(封爵)한 서사(誓辭)에, "황하(黃河)가 띠[帶]와 같이 작아지고, 태산(泰山)이 숫돌[礪]과 같이 평지가 되도록 나라에서 영구 보존하리라." 한 데에서 나온 말.
[註 344] 평전(平痊) : 병이 회복됨.
[註 345] 추곡(推轂) : 수레의 살을 미는 것. 곧 옛날 임금이 장수를 보낼 때 스스로 수레를 밀어주던 고사에서 나온 말.
[註 346] 협순(浹旬) : 10여 일.
[註 347] 친친(親親) : 친척을 친하게 여기는 것.
[註 348] 현현(賢賢) : 어진이를 어질게 여기는 것.
[註 349] 우모(紆謨) : 꾀를 얽음.
[註 350] 준조(樽俎) : 제향 때 술을 넣는 그릇과 고기를 담는 도마. 나라의 예의상 베푸는 연회.
[註 351] 장자방(張子房) : 한(漢)나라 장양(張良).
[註 352] 영문(令聞) : 훌륭한 명예.
[註 353] 척당(倜儻) : 뜻이 크고 기개가 있음.
[註 354] 문슬(捫蝨) : 방약무인(傍若無人)한 것. 옛날 진(晉)나라 왕맹(王猛)이 남의 앞에서 꺼리지 않고 옷에 붙은 이를 문지르며 이야기하였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
[註 355] 곤기(閫寄) : 외방의 수령(守令).
[註 356] 조두(刁斗) : 군대에서 야경(夜警)하느라고 치던 동라(銅鑼).
[註 357] 간우(干羽) : 문(文)과 무(武).
[註 358] 호방(虎牓) : 무과(武科).
[註 359] 응양(鷹揚) : 무위(武威)를 드날림.
[註 360] 독비(篤棐) : 돈독하게 돕는 것.
[註 361] 이기(利器) : 날카로운 병기(兵器).
[註 362] 평양(平陽) : 순천(順天)의 이명(異名).
[註 363] 효광(梟獷) : 흉악한 무리.
[註 364] 기란각(麒麟閣) : 한(漢)나라 선제(宣帝)가 지은 누각. 공신(功臣) 11명의 상(像)을 그리어 이 각상(閣上)에 걸었음.
[註 365] 후설(喉舌) : 승지(承旨).
[註 366] 계옥(啓沃) : 신하가 마음에 있는 것을 임금에게 아뢰어 덕(德)을 넉넉하게 하던 일. 《서경(書經)》 열명(說命) 상(上)에, "너의 마음을 열어서 나의 마음을 넉넉하게 하라."라고 하였음.
[註 367] 헌체(獻替) : 임금을 받들어 착한 일을 하도록 권하고 악한 일을 하지 않도록 권함.
[註 368] 단서 철권(丹書鐵券) : 쇳조각에 지워지지 않게 주서(朱書)하여 공신(功臣)에게 주어 대대로 죄를 면하게 하던 증명서.
[註 369] 곤기(閫奇) : 수령(守令)의 직임.
[註 370] 원융(元戎) : 원수(元帥).
[註 371] 어부(魚符) : 조선조 때 군대를 동원하는 표지로 쓰이던 둥글납작한 나무패. 병부(兵符). 발병부(發兵符).
[註 372] 풍패(豊沛) : 한(漢)나라 고조(高祖)가 군사를 일으킨 땅으로서, 제왕(帝王)의 고향을 칭하는 말임.
[註 373] 구명(軀命) : 몸과 목숨.
[註 374] 복부(伏鈇) : 도끼 앞에 엎드림.
[註 375] 기도(基圖) : 기업(基業)을 도모함.
[註 376] 기상(旂常) : 주(周)나라 때 기(旂)에 공(功)을 새기는 것을 말함.
[註 377] 원문(轅門) : 군문(軍門).
[註 378] 화악(華萼) : 꽃과 꽃받침. 곧 형제 동기.
[註 379] 의란(猗蘭) : 중국 한(漢)나라 경제(景帝)의 꿈에 하나의 붉은 돼지가 구름에서 내려와서 의란각(猗蘭閣)에 들어갔는데, 그곳에서 무제(武帝)가 태어났다고 함.
[註 380] 혼후(渾厚) : 사람됨이 크고 원만함.
[註 381] 임헌(臨軒) : 임금이 친히 나와 앉음.
[註 382] 성고(聖考) : 세종(世宗).
[註 383] 알유(猰揄) : 얼룩개와 같은 짐승.
[註 384] 효경(梟獍) : 나쁜 짐승. 효(梟)는 어미를 잡아먹는 새이고, 경(獍)은 아비를 잡아먹는 짐승임.
[註 385] 연편(聯翩) : 잇달아 날아 다님.
[註 386] 용종(龍種) : 용(龍)의 자손. 곧 왕손(王孫).
[註 387] 비고(鼙皷) : 전쟁중에 울리는 북소리.
[註 388] 기구(箕裘) : 가업(家業)을 어어받음. 궁장이 아들은 아버지가 단단한 나무를 구부려서 활을 만드는 것을 보고, 잘 휘는 버들가지를 결으며, 대장장이 아들은 아버지가 굳은 무쇠 조각을 녹이어 솥을 만드는 것을 보고, 부드러운 짐승 자죽을 모아서 갖옷을 짓는 일을 배운다는 뜻에서 나온 말임.
[註 389] 곤기(閫奇) : 장수의 직.
[註 390] 확청(廓淸) : 적을 깨끗이 쓸어 없앰.
[註 391] 응도(膺圖) : 천명(天命)에 응하여 나라를 세움.
[註 392] 극일(克日) : 기한을 정해 싸우는 것. 급히 쳐 없앰.
[註 393] 삼목(三木) : 목과 손과 목과 발에 씌우는 형.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http://sillok.history.go.kr/id/kga_11311002_001